4 삼국 남북국 발해 문화관련 모두 (원효vs의상) #7

Posted by 기자 =.=
2018. 4. 8. 14:03 한국사/0 기출 TOPIC 분류
반응형









<<<문화 포괄>>>>




2019 9급 서울시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5. 삼국의 사회․ 문화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고구려는 영양왕 때 이문진이 유기를 간추려 신집 5권을 편찬했다.

② 백제의 승려 원측은 당나라에 가서 유식론(唯識論)을 발전시켰다.

③ 신라의 진흥왕은 두 아들의 이름을 동륜 등으로 짓고 자신은 전륜성왕으로 자처했다.

④ 백제 말기에는 미래에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륵신앙이 유행하기도 하였다.

[정답] ②

[정답 해설]

① 고구려에서는 일찍부터 유기가 편찬되었으며, 영양왕 때 이문진이 이를 간추려 <신집> 5권을 편찬하였다.(600)

③ 진흥왕은 큰아들의 이름을 동륜, 둘째 아들의 이름을 사륜이라 짓고 자신을 전륜성왕이라 자처하였다.

④ 백제 말기에는 미래에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륵신앙이 유행하기도 하였다.


[오답 피하기]

② 원측은 백제가 아니라 신라의 승려이다. 그는 당나라에 건너가 유식 불교의 깊은 뜻을 깨닫고 당의 수도에 있는 서명사에서 자기 학설을 강의하기도 하였으며, 불교 경전의 번역에도 힘썼다.






2019 9급 지방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5. 삼국시대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선덕여왕 때에 첨성대를 세웠다.

목탑 양식의 미륵사지석탑이 건립되었다.

③ 가야 출신의 우륵에 의해 가야금이 신라에 전파되었다.

사신도가 그려진 강서대묘는 돌무지무덤으로 축조되었다.

정답 ④

[정답 해설]

① 첨성대는 신라에서 천문을 관측하던 건물로, 선덕여왕 대에 건립되었다.

② 미륵사지석탑은 7세기 백제 무왕 대에 건립된 백제 석탑이다.

③ 가야의 우륵은 제자 이문과 함께 신라에 건너가 가야금을 전파하였다.


[오답 피하기]

④ 강서대묘는 평안남도 강서군에 위치한 고구려의 벽화 고분으로, 굴식돌방무덤 양식으로 지어졌다.







2016 9급 서울시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9. 삼국시대의 사상과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부여 능산리에서 발견된 백제대향로에는 신선이 산다는 봉래산이 조각되어 있어 백제인의 신선사상을 엿볼 수 있다.

② 삼국 불교의 윤회설은 왕이나 귀족, 노비는 전생의 업보에 의해 타고났다고 보기 때문에 신분질서를 정당화하는 관념을 제공하였다.

③ 신라 후기 민간사회에서는 주문으로 질병 치료나 자식 출산 등을 기원하는 현실구복적 밀교가 유행하였다.

④ 고구려의 겸익은 인도에서 율장을 가지고 돌아온 계율종의 대표적 승려로서 일본 계율종의 성립에도 영향을 주었다.

9. 정답 : ➃

➃ 고구려가 아닌 백제의 겸익이 6세기 초 성왕 대에 인도에 가서 구법하고 율장을 가지고 돌아와 백제 신율을 성립시켰고 일본 계율종의 성립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① 백제의 금동대향로는 능산리 절터 공방지에서 발견되었으며 정상부에 봉황이 있고 아래로 다섯악사와 다섯 마리의 기러기, 인면조신상, 인면수신상 등 상상의 동물과 현실 세계에 실재하는 동물 등을 새겨서 신선들이 사는 이상 세계를 표현하였다.

➁ 삼국 불교는 사람의 행위에 따라 업보를 받는다는 업설과 윤회설 및 연기설이 연결되어 왕, 귀족, 노비 등의 신분 질서를 정당화하는 이념으로 제시되어 왕권 강화에 기여하였다.

➂ 밀교는 부처의 깨우친 진리를 직설적으로 은밀하게 표출시킨 대승불교의 한 교파로서 7세기 경 인도에서 성립되었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중국의 밀교를 수용하였으며 신라 후기 민간사 회에서는 현실 구복적 신앙과 연결되어 질병 치료나 자식 출산 등을 기원하는 현실구복적 밀교가 유행하였다.

2017/04/18 -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문화- 불교







2015 9급 서울시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5. 다음 <보기>에서 백제의 문화재를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백률사 석당            ㄴ. 정림사지 5층 석탑

ㄷ. 창왕명석조사리감    ㄹ. 법주사 쌍사자 석등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5. 정답 ③

ㄱ. 석당은(石幢)은 돌을 기둥처럼 길게 만든 것을 의미한다. 백률사 석당은 이차돈 순교비를 말한다. 법흥왕 14년(527)에 불교의 전파를 위하여 이차돈이 순교를 자청했을 때, 그의 목을베자 흰 피가 솟았고, 잘린 목은 하늘 높이 솟구쳐 올랐다가 떨어졌는데, 바로 그 떨어진 곳이 지금의 백률사 자리였다고 한다. 이를 본 사람들이 슬퍼하여 다음해인 법흥왕 15년(528)그 자리에 자추사(刺楸寺)를 건립했다. 이 절은 훗날 백률사(栢栗寺)로 이름이 바뀌었다. 헌덕왕 9년(817) 이차돈을 추모하여 석당(石幢), 즉 이차돈 순교비를 만들었다.


ㄹ. 법주사 쌍사자 석등은 법주사 대웅전과 팔상전 사이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으로, 사자를 조각한 석조물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다. 성덕왕 19년(720)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려 문화 예술>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조선 건축, 공예 - 통시적>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탑 건축 >




===<백제>====

미륵사지 석탑 (목탑양식)


===<신라>====

분황사 모전석탑 (벽돌모양)


황룡사 9측 목탑



===<승탑>====


쌍봉사 철감선사탑





=====<고려 확장>=======

경천사지 10층 석탑 (원 영향)






2018 9급 지방직(사복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2. 다음과 같은 불교 사상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문화재는?


이 불교 사상은 개인적 정신 세계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였기 때문에 지방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이루어 성주나 장군을 자처하던 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다.


① 성덕대왕신종

② 쌍봉사 철감선사탑

③ 경천사지 십층석탑

④ 금동미륵보살 반가사유상

2. 정답 ②

선종 불교와 관련된 유물 (고대 – 문화사)

해설 

제시된 자료에서 ‘개인적 정신 세계 추구’, ‘지방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이루어 성주나 장군을 자처하는 자들로부터 큰 호응’의 내용을 통하여 신라 하대에 유행한 선종에 대한 설명임을 알 수 있다.

정답

② 신라 하대에는 선종이 유행하면서 승려의 사리를 봉안하는 부도(승탑)와 승려의 일대기를 비석에 새긴 탑비가 유행하였다. 대표적으로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이 있다.


① 성덕대왕 신종은 경덕왕이 아버지인 성덕왕의 공덕을 찬양하고 영원히 기리고자 만들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혜공왕 때 완성되었다. 성덕왕의 원찰(願刹)인 봉덕사(奉德寺)에 걸려 있었기때문에 봉덕사종 혹은 에밀레종이라고도 부른다.

③ 경천사지 십층 석탑은 원나라의 영향을 받았으며, 대리석으로 만들어졌다. 경천사지 십층 석탑은 원나라 황제와 황실의 장수와 번영을 기원하고자 건립되었으며, 현재는 국립 중앙 박물관경내에 전시되어 있다.

④ 삼국 시대에는 불교문화를 바탕으로 탑 모양의 관을 쓰고 있는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과 삼산관(三山冠)을 쓰고 있는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이 만들어졌다. 일본의 고류사 목조미륵보살 반가 사유상에 영향을 끼쳤다.








2018 9급 한국사 기상직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7. 다음 조사 작업에 해당되는 문화재로 옳지 않은 것은?


2016년 9월 12일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8km 지역에서 리히터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 문화재청은 경주 지역 문화유적의 정밀 조사를 실시하여 피해 상황을 점검하였다.


① 

       


            

 




 ④

정답 ④

[자료 분석]

제시문은 경주 지역 문화재(신라)와 관련된 설명이다.

[정답 해설]

①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의 모습이다. 현존하는 신라 석탑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현재는 3층만이 남아 있다. 돌을 벽돌모양으로 다음어 쌓은 것이 특징이다.

② 경주 첨성대의 모습이다. 첨성대는 선덕여왕 때 건립된 동양 최고(最古)의 천문대이다.

③ 경주 불국사 3층 석탑(석가탑)의 모습이다. 불국사 대웅전 앞뜰에 동서로 마주서 있는 석탑 가운데 서탑으로 국보 제21호로 지정되어 있다. 석가탑(釋迦塔) 또는 무영탑(無影塔)이라고도 하는데, 석가탑은 동탑인 다보탑(多寶塔)에 대칭되는 호칭이다. 1966년 해체수리 과정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발견되었다.

[오답 피하기]

 익산 미륵사지 석탑 모습이다. 목탑 양식을 간직한 백제의 석탑으로, 현재 서탑 일부만이 남아 있다. 2009년 1월해체수리 중에 초층 탑신 내부 심주에서 완전한 형태의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다.







2017 9급 지방직(하반기)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6. 밑줄 친 ‘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신인(神人)이 말하기를, “황룡사의 호법룡은 나의 아들로서 범왕(梵王)의 명을 받아 그 절을 보호하고 있으니, 본국에 돌아가 그 절에 탑을 세우시오. 그렇게 하면 이웃 나라가 항복하고 구한(九韓)이 와서 조공하여 왕업이 길이 태평할 것이오.”라고 하였다. …… 백제에서 아비지(阿非知)라는 공장을 초빙하여 이 탑을 건축하고 용춘이 이를 감독했다.

―『삼국유사』―


① 선종이 보급되면서 승려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세웠다.

② 목조탑의 양식을 간직하고 있는 석탑이다.

③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았다.

④ 자장 율사가 건의하여 세워졌다.

6. 황룡사 9층 목탑 정답 : ④

제시된 자료는 삼국유사에 황룡사 9층 목탑은 자장의 건의에 따라 백제 기술자 아비지의 지도를 받아 세운 목조탑이다. 9층은 주변 9개의 나라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들의 침입을 부처님의 힘으로 막는다는 것을 뜻한다. 이후에 몽골의 침입 과정에서 소실되었다.


① 승탑에 대한 설명이다. 

 미륵사지 석탑에 대한 설명이다. 

 분황사 모전 석탑에 대한 설명이다.





2014 9급 기상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14. 아래 각 석탑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가) - 석재를 벽돌 모양으로 만들어 쌓은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탑이다.

② (나) - 신라 말 선종이 유입되면서 나타난 양식으로 팔각원당형의 승탑이다.

③ (다) - 3층 석탑의 기단과 탑신에 부조로 불상을 새겨 장식성이 강하다.

④ (라) - 원의 석탑을 본 뜬 것으로 원각사지 10층 석탑에 영향을 주었다.

정답 및 해설 : ④

(가) 미륵사지 석탑(백제 7세기 무왕)

① 7세기 분황사 모전석탑 - 석재를 벽돌 모양으로 만들어 쌓은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탑


(나) 불국사 다보탑(통일신라 중대)

② 통일신라 하대 부도(승탑)에 대한 설명


(다) 쌍봉사철감선사탑(통일신라 하대)

③ 양양 진전사지탑 - 3층 석탑의 기단과 탑신에 부조로 불상을 새겨 장식성이 강하다.


④ (라) 경천사 10층석탑(고려 후기) - 조선 원각사지 10층 석탑(세조)에 영향을 주었다.








조형 공예>>>>




2016 9급 사복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14. 삼국시대 금속 제작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철광석 생산이 풍부하고 제작기술이 발달한 가야에서는 철로 만든 불상이 유행하였다.

② 백제에서 제작해 왜에 보낸 칠지도는 강철로 만들고 금으로 글씨를 상감해 새겨 넣었다.

③ 고구려 고분 벽화에는 철을 단련하고 수레바퀴를 제작하는 인물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④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금관은 뛰어난 제작기법과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14. 고대 과학 기술의 발달

정답 : ①

해설 : 

① 철불이 유행한 시기는 통일신라 말에서부터 고려 초까지이므로 가야와는 시기 상 맞지 않다. 대표적인 철불로는 신라 말에 제작된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과 고려초에 제작된 광주 춘궁리 철불(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이 있다.


② 4세기 후반에 백제에서 만들어 일본에 보낸 칠지도는 강철로 만들고 금으로 글씨를 상감해 새겨 넣은 것으로, 백제 제철기술의 우수함을 잘 보여 주고 있다. 

③ 철제 기술이 발달한 고구려의 고분 벽화에서는 철을 단련하고 수레바퀴를 제작하는 기술자의 모습이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다. 

④ 신라에서는 금세공 기술이 발달하였는데,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금관들은 순금으로 만든 것과 금으로 도금한 것이 있는데, 제작 기법이 뛰어나며 독특한 모양이 돋보인다.

2017/04/18 -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 단군, 고조선, 연맹왕국, 가야

2017/04/18 -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려 문화 예술





















<비석 금석문 및 그에 기반한 포괄>=============================================


2014 9급 지방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11. 삼국시대 금석문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호우총 출토 청동 호우의 존재를 통해 신라와 고구려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② 사택지적비를 통해 당시 백제가 도가(道家)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③ 울진 봉평리 신라비를 통해 신라가 동해안의 북쪽 방면으로 세력을 확장하였음을 알 수있다.

④ 충주 고구려비(중원 고구려비)를 통해 신라가 고구려에게 자신을 ‘동이(東夷)’라고 낮추어 표현했음을 알 수 있다.

11. 정답 ④

해설 중원 고구려비에, 고구려가 신라를 동이(東夷)로 칭하는 동시에 의복을 하사하라는 교를 내리는 내용이 있는데, 이를 통해 스스로를 천하의 중심으로 자부하는 고구려인의 천하관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금석문에 신라가 자신을 ‘동이’라고 낮추어 표현한 적은 없다.


① 청동 호우 즉, 호우명 그릇은 경주의 호우총에서 발견되었다. 청동 호우의 밑바닥에는 “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乙卯年國岡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이라는 명문이 양각으로 새겨져 있는데, ‘국강(國岡) 위에 있는 광개토 대왕릉용 호우’라는 의미이다. 이 호우는 광개토 대왕을 기념하는 의례 행위에 사용하기 위해 고구려에서 만든 것이다. 이를 통해 당시 신라에 대한 고구려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다. 

② 울진 봉평비(법흥왕, 524)는 신라의 영역이 동북 방면으로 확대되어가는 과정에서 울진 지방의 주민들이 반발하자 6부 회의를 열어 군대를 보내 진압하고 관련자들을 처벌한 사건에 대해 기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율령의 존재와 복속민 정책 등을 알 수 있다. 

③ 사택지적비는 좌평을 역임한 사택지적이란 인물이 말년에 늙어가는 것을 탄식하며 인생의 무상함을 이야기하고(도교적 요소), 불교에 귀의해 불당과 탑을 건립하였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비문이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 문화- 고분, 금석문>






2014 9급 국가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1.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는 삼국시대의 금석문은?


○ 고구려의 군대가 신라 영토에 주둔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록이 보인다.

○ 고구려가 신라의 왕을 호칭할 때 ‘동이 매금(東夷寐錦)’이라고 부르고 있다.

○ 고구려가 신라의 왕과 신하들에게 의복을 하사하는 의식을 거행한 것으로 보인다.


① 광개토왕비

② 집안고구려비

③ 중원고구려비

④ 영일냉수리비

정답 ③

정답분석

제시된 자료의 ‘동이 매금’, 고구려 군대의 신라 주둔 등의 내용을 통해서 중원 고구려비에 대한 문제임을 추측할 수 있다. 중원고구려비의 비문을 통해 고구려의 남한강 유역 진출과 고구려가 스스로를 천하의 중심에 놓고 신라를 종속관계로 파악하는 천하관을 볼 수 있다.

① 광개토왕비에는 대무신왕~광개토 대왕까지의 연혁과 광개토 대왕의 업적 등이 기록되어 있다. 

② 집안고구려비는 총 218자 중 156자가 판독 가능하며 ‘부유한 자들이 수묘자를 사고팔았다, 수묘자는 함부로 사고팔 수 없다’ 등의 문구가 적혀 있어 수묘비로 추정하고 있다. 

④ 재산 관련 분쟁 판결을 기록한 영일 냉수리비에는 신라의 국호로서 ‘사라’라는 명칭이 최초로 보이고, 지증왕을 사훼부 지도로 갈문왕으로 표현하고 있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삼국 왕대사><가야><삼국항쟁사> (역사서)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 문화- 고분, 금석문>>>>>>






2012 9급 사복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2. 밑줄 친 ‘두 사람’이 살았던 나라의 교육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임신년6월16일에 두사람이 함께 맹세하여 쓴다. 지금부터 3년 후에 충도(忠道)를 지키고 허물이 없게 할 것을 하늘 앞에 맹세한다. 만일 이 서약을 어기면 하늘에 큰 죄를 짓는 것이라고 맹세한다. 또한 신미년 7월 22일에 크게 맹세한 바 있다. 곧 시경(詩經), 상서(尙書), 예기(禮記), 춘추전(春秋傳)을 3년 안에 차례로 습득하겠다고 하였다.


① 유교 경전을 통하여 유학을 공부하였다.

② 경당에서 유교와 활쏘기 등 무예를 배웠다.

③ 원광법사가 제정한 세속오계의 윤리를 배웠다.

④ 화랑도에 소속되어 산천을 돌아다니며 심신을 연마하기도 하였다.

☞답 ②

지문은 임신서기석으로 화랑도들이 유교경전을 공부하였음을알려주는 신라의 금석문이다.

② 고구려 장수왕때 둔 사립학교이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 문화- 고분, 금석문>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려의 유학과 성리학 & 예학ㆍ보학 >>>>>>>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문화- 불교>>>>>>>>





2010 9급 국가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2. 금석문의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➀ 울진 봉평신라비 - 이 지역에 발생한 중대 사건을 처리하고 관련자를 처벌하였다.

➁ 임신서기석 - 공부와 인격 도야에 관해 맹세하였다.

➂ 광개토대왕릉비 - 광개토대왕이 침략해 온 북위를 크게 무찔렀다.

➃ 사택지적비 - 사택지적이 지난 세월의 덧없음을 한탄하였다.

정답. 3 당시 강국인 북위에 대해서는 융통성을 보여 화친관계를 유지했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삼국 왕대사><가야><삼국항쟁사> (역사서)











초기 고구려 백제>> 그리고 신라

- 초반 백제는 고구려에서 내려왔기에 둘다 돌무지==>  서울 석촌동 고분  // 장군총

- 신라는 돌무지덧널(큰무덤) ==> 황남대총, 천마총, 호우총



백제>>

- 굴식돌방 넘어가기 전에 벽돌무덤 (중국 남조의 영향==>남조 돌 별로 없어서 벽돌로)

==> 1. 송산리 6호분 (누구무덤인지 모름/ 벽화 있다)  // 2. 무령왕릉 (묘지석 발견 =>연대 정확)



후기>>

- 후기엔 삼국이 비슷==> 굴식 돌방무덤 (통로있고 벽있고 돌로쌓은후 봉토로 덮음)

==> 도굴 매우쉽다/ 합장 쉽다/ 벽이 있기에 벽화있다



통일이후 신라>>


- 불교 발달로 화장유행

- 무덤주위 둘레돌 12지신상





<고분>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20 경찰1차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5. 고대국가의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고구려에는 초기에 돌무지무덤(積石塚)이 유행했는데, 이른 시기의 것들은 단순한 돌무지였지만 점차 기단을 만들고 피라미드 형태로 정교하게 돌을 쌓아 올렸다.

② 고구려의 고분벽화는 초기에는 생활상을 표현한 그림이 많았지만 후기로 갈수록 추상화되었다.

무령왕릉과 송산리 6호분은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벽돌무덤(塼築墳)이다.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은 고구려와 백제의 영향을 받았다. 황남대총, 호우총을 그 사례로 들 수 있다.

정답 ④

[정답 해설]

① 고구려 초기에는 돌무지무덤이 유행했다. 돌을 정밀하게 쌓아 올린 돌무지무덤은 만주의 지안 일대에 1만 2,000여 기가 모여 있다. 화강암을 계단식으로 7층까지 쌓아 올린 장군총은 피라미드의 모습을 하고 있어 동방의 피라미드라 불리기도 한다.

② 고구려는 초기에는 무덤 주인의 생활을 표현한 벽화를 남겼으나 후기로 갈수록 사신도와 같은 추상적 그림을 남겼다.

③ 벽돌무덤은 중국 남조 양나라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공주 송산리 고분군에 위치한 송산리 6호분과 무령왕릉이 유명하다.


[오답 피하기]

④ 돌무지덧널무덤은 신라의 독특한 무덤양식이다. 무덤 구조상 도굴이 어렵기 때문에 많은 껴묻거리가 남아 있으며, 황남대총, 호우총, 천마총 등이 대표적이다.







2018 9급 교행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3. 다음은 어느 유적의 사진과 내부 구조도이다. 이 유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널방 벽에서 사신도(四神圖)가 발견되었다.

묘지석이 발굴되어 무덤 주인공이 밝혀졌다.

③ 화강암을 다듬어 쌓은 계단식 돌무지무덤이다.

④ 광개토 대왕 제사 때 쓰인 호우명 그릇이 출토되었다.

3. 정답 ③

[자료 분석]

사진은 계단식 돌무지무덤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정답 해설]

③ 돌을 정밀하게 쌓아 올린 돌무지무덤은 만주의 지안 일대에 1만 2,000여 기가 모여 있다. 

화강암을 계단식으로7층까지 쌓아 올린 장군총은 피라미드의 모습을 하고 있어 동방의 피라미드라 불리기도 한다.


①은 굴식돌방무덤, 

②는 벽돌무덤(무령왕릉), 

④는 돌무지덧널무덤(신라 호우총)에 대한 설명이다.






2015 9급 사복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11. 다음에 설명한 무덤 양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돌로 방을 만들고 그것을 통로로 연결한 무덤으로 그 위에 흙으로 덮어 봉분을 만들었다. 일반적으로 앞방과 널방으로 구분하고 벽에 그림을 그려 넣기도 하였다.


① 쌍영총    ② 무용총

③ 각저총    ④ 장군총

☞ 답 ④

제시문은 굴식돌방무덤이다.

④ 장군총은 돌무지 무덤이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 문화- 고분, 금석문>






2014 9급 사복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20. 신라의 돌무지 덧널무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돌로 방을 만들고 외부와 연결되는 통로를 설치하였다.

황남대총, 장군총, 천마총 등의 사례가 있다.

③ 무덤 안에 벽돌로 널방을 만들고 그 안에 돌로 덧널을 설치하였다.

④ 무덤 안에서 많은 부장품이 출토되었는데 서봉총 등의 사례가 있다.

20. 신라의 묘제 양식

정답 : ④

정답 분석

④ 서봉총은 신라 돌무지덧널무덤으로 금관, 금제과대와 요패 등의 부장품이 출토되었다.


① 굴식돌방무덤에 대한 설명이다. 

② 황남대총과 천마총은 대표적인 돌무지 덧널무덤이지만, 장군총은 고구려를 대표하는 돌무지무덤이다. 

③ 돌무지 덧널무덤은 시신과 껴묻거리를 넣은 나무 덧널을 설치하고 그 위에 냇돌을 쌓은 다음 흙으로 덮은 무덤이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 문화- 고분, 금석문>






2013 9급 서울시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4. 다음에서 설명하는 왕릉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13_9급_서울시)


이 왕릉은 송산리 고분군의 배수로 공사 중에 우연히 발견되었다. 이 왕릉은 피장자가 누구인지를 알려주는 묘지석이 발견되어 연대를 확실히 알 수 있는 무덤이다.


① 왕릉 내부에 사신도 벽화가 그려져 있다.

② 왕릉 주위 둘레돌에 12지신상을 조각하였다.

③ 왕릉의 천장은 모줄임 구조를 지니고 있다.

④ 무덤의 구조는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았다.

⑤ 말꾸미개 장식에 천마의 그림이 그려진 유물이 발견되었다.

[ 정답 : ④ ]

* 문제해설 : 제시문은 무령왕릉과 관련된 내용이다. 충남 공주 송산리 고분군에서 발견된 무령왕릉은 무덤의 주인공과 사망일 등을 알려주는 지석이 발견되어 연대를 명확히 알 수 있는 고분이다.

④ 연꽃 등 우아하고 화려한 무늬를 새긴 벽돌로 쌓은 중국 남조 양식의 벽돌무덤(전축분)이며 토지 매지권, 양나라 동전, 금관 장식 등 많은 껴묻거리(매장할 때 함께 묻는 물건)가 출토되었다.


① 무령왕릉에는 벽화가 없다.

② 통일신라의 무덤양식 가운데 하나로 경덕왕릉, 헌덕왕릉, 김유신묘를 예로 들 수 있다.

③ 고구려와 관련된 내용이다. 발해 정혜공주 무덤 천장에 보이는 모줄임 구조는 고구려의 것과 유사한 형태이다.

⑤ 신라 경주 천마총에서 말의 안장 양쪽에 달아 늘어뜨리는 장니에 그려진 천마도가 발견되었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 문화- 고분, 금석문>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문화- 도교 등>







2012 9급 지방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4. 다음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신도의 하나로, 북쪽 방위신이다.

돌무지 덧널무덤의 벽면에 그려진 것이다.

③ 죽은 자의 사후 세계를 지켜 주리라는 믿음을 표현하였다.

④ 고구려 시대의 고분에 그려졌는데 도교의 영향이 나타나 있다.

정답. 

② 돌무지 덧널무덤에는 벽화가 그려져 있지 않다. // 

그림은 사신도이다. 도교의 4 방위신(청백주현→동서남북)으로 도교적 세계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문화유산이다. 

대개 후기에 그려지기 시작했다. 

집안에도 그려져 있으나, 평양일대인 강서군에 그려진 것(강서대묘)이 가장 예술적으로 뛰어난 작품이다. 


① 제시된 그림은 4신도 중 ‘현무’ 그림으로 북쪽을 관장하는방위신이다. 

③ 무덤 속에 그려진 벽화는 죽은 자의 사후세계와 관련이 있다. 

④ 도교의 영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고구려 벽화이다(cf. 백제에도 사신도 벽화가 남아 있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 문화- 고분, 금석문





2012 9급 국가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14. 삼국시기의 고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고구려 돌무지무덤 : 백제 초기 무덤에 영향을 미쳤다.

② 백제 벽돌무덤 :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았다.

③ 신라 돌무지덧널무덤 : 나무덧널을 설치하고 그 위에 돌만 쌓았다.

④ 굴식 돌방무덤 : 삼국은 모두 굴식 돌방무덤을 조영했다.

정답. ③ 돌무지 덧널무덤은 지상에 널(관)과 나무덧널을 설치하고 그 위에 돌을 쌓은 다음 봉토로 덮은 무덤 형식이다. 





<<서적 글 문예>>>>>>>>>>>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풍수지리설 도교>>




2016 9급 국가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7 밑줄 친 ‘이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신라 말기에 도선과 같은 선종 승려들이 중국에서 유행한 이 사상을 전하였다. 이는 산세와 수세를 살펴 도읍․주택․묘지 등을 선정하는, 경험에 의한 인문 지리적 사상이다. 아울러 지리적 요인을 인간의 길흉 화복과 관련하여 생각하는 자연관 및 세계관을 내포하고 있다.


① 신라 말기에 안정된 사회를 염원하는 일반 백성의 인식이 반영되었다.

② 신라 말기에 호족이 자기 지역의 중요성을 자부하는 근거로 이용하였다.

③ 고려시대에 묘청이 서경 천도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논리로 활용하였다.

④ 고려시대에 국가와 왕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초제로 행하여졌다.

7. 정답 : ④

제시된 자료의 밑줄 친 ‘사상’은 풍수지리설이다.

④ 도교와 관련된 내용이다. 고려시대 궁중에서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초제(醮祭)가 성행하였는데, 예종 10년(1115)에 도교 사원(복원궁)을 처음 건립하였으며, 이곳을 비롯한 여러 곳에서 하늘과 별들에 제사를 지내는 도교 행사를 개최하였다


① 풍수지리설은 경주 중앙 귀족들의 부패와 무능, 지방 호족들의 대두, 오랜 전란에 지쳐 통일의 안정된 사회를 염원하는 일반 백성들의 인식을 종합하였다.

② 풍수지리설은 경주를 중심으로 한 국토 관념을 비판하면서 지방을 중심으로 국토를 재편성할것을 주장하였다. 이는 신라 중앙 정부의 권위와 통제력을 약화시켰으며, 각 지방에서 호족이 나타나게 된 사상적 근거로 제시되었다.

③ 고려 시대에는 개경·서경 길지설이 널리 유행하였으며, 개경과 서경이 명당이라는 설이 유포되면서 서경 천도 및 북진 정책 추진의 이론적 근거가 되기도 하였다. 또한, 서경 길지설은 개경 세력과 서경 세력의 정치적 투쟁에 이용되어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문화- 도교 등>



<< 불교 그 외 신앙 및 포괄종교>>








===============================================================

< 고대 승려----원효 의상 >



< 원광>>


- 세속오계


<원효>

- 아미타 정토신앙

- 일심사상

- 대승기신론소==> 대승불교의 중관파와 유식파를 통합하여 일심사상을 체계화

- 십문화쟁론, 금강삼매경론, 화엄경소




<의상>

- 진골출신

- 원융사상

- 화엄종

- 화엄일승법계도




<자장>

- 선덕여왕에게==>황룡사 9층탑 건설 건의



<원측>




<혜초>





<<< 원효 >>>



2018 9급 한국사 기상직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5. 다음 밑줄 친 ‘이 승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보기>에서 고른 것은?

 

이 승려가 입적한 후 100여 년이 지난 애장왕대(800∼809)에 후손 중업과 각간 김언승 등이 중심이 되어 그를 추모하는 비(고선사 서당화상비)를 세웠으며, 1101년 8월 고려 숙종이 화쟁국사(和諍國師)라는 시호(諡號)를 추증(追贈)하였다.


< 보 기 >

ㄱ. 아미타 정토신앙을 널리 전도하였다.

ㄴ. 진골 출신으로 화엄종을 개창하여 융성시켰다.

ㄷ. 진평왕의 명으로 수나라에 군사를 청하는 글을 지어바쳤다.

ㄹ. <대승기신론소>, <금강삼매경론> 등을 저술하였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ㄹ

정답 ④

[자료 분석]

서당화상, 화쟁국사 등의 내용을 통해 원효(617∼686)에 대한 사료임을 알 수 있다.

[정답 해설]

ㄱ. 원효는 누구나 ‘나무아미타불’만 염불하면 극락으로 갈수 있다는 아미타 신앙을 통해 불교 대중화에 기여했다.

ㄹ. 원효는 『대승기신론소』, 『십문화쟁론』, 『금강삼매경론』, 『화엄경소』등의 저서를 남겼다.


ㄴ. 진골 출신으로 화엄종을 개창한 인물은 의상이다. 원효는 6두품 출신이다.

ㄷ. 걸사표(乞師表)는 608년(진평왕 30) 신라의 승려 원광이 수나라의 군사를 청하기 위해 쓴 글이다.





2015 9급 사복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인물로 옳은 것은?


이 인물은 불교 서적을 폭넓게 이해하고, 모든 것이 한마음에서 나온다는 일심 사상을 바탕으로, 다른 종파들과의 사상적 대립을 조화시키고 분파 의식을 극복하려고 노력하였다. 대승기신론소 , 십문화쟁론 등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① 원측 ② 원광

③ 의천 ④ 원효

☞ 답 ④

단답형 문제라 해설 생략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문화- 불교>>>>>>>>







<<< 의상 >>>>>>>>>>>>>>>






2015 9급 지방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11. 다음에서 설명하는 인물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성은 김씨이다. 29세에 황복사에서 머리를 깍고 승려가 되었다. 얼마 후 중국으로 가서 부처의 교화를 보고자 하여 원효(元曉)와 함께 구도의 길을 떠났다. … 처음 양주에 머무를 때 주장(州將) 유지인이 초청하여 그을 관아에 머물게 하고 성대하게 대접하였다. 얼마 후 종남산 지상사에 가서 지엄(智儼)을 뵈었다.

-삼국유사-


『화엄일승법계도』를 저술하여 화엄사상을 정리하였다.

② 중국에서 풍수지리설을 들여와 지세의 중요성을 일깨웠다.

『십문화쟁론』을 지어 종파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④ 인도와 중앙아시아 지역을 여행하고 돌아와 『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하였다.

정답 ①

제시된 자료에서 설명하고 있는 인물은 의상이다. 의상은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화엄종의 교조인 지엄에게서 화엄학을 배우고 귀국하였다. ① 의상은 『화임일승법계도』를 저술하여 화엄 사상의 요지를 간결한 시로 축약하여 정리하였다.


② 신라 말기에 도선과 같은 선종 승려들은 중국에서 유행한 풍수지리설을 국내로 들여왔다. 

③ 원효, 

④ 혜초에 대한 설명이다.





7. 밑줄 친 ‘승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무왕이 도읍의 성을 새롭게 하고자 승려에게 문의하였다. 승려는 말하였다. “비록 궁벽한 시골과 띳집(茅屋)이 있다 해도 바른 도(道)만 행하면 복된 일이 영구히 지속될 것이요, 만일 그렇지 못하면 여러 사람이 수고롭게 하여 훌륭한 성을 쌓을지라도 아무 이익이 없을 것입니다.” 왕이 곧 공사를 그쳤다.

-삼국사기 -


① 김제 금산사를 중심으로 미륵불이 지상에 와서 이상사회를 건설한다는 믿음을 가르쳤다.

십문화쟁론 등 수많은 저술을 통하여 화쟁사상을 주창하면서 불교를 대중화하였다.

③ 삼장법사 현장에게 유식학을 배워 서명학파를 이루었으며, 티벳불교에 큰 영향을 주었다.

화엄일승법계도를지었으며, 부석사, 낙산사등의 화엄종 사찰을 중심으로 불교의 가르침을 폈다.

☞답④

지문의 승려는 의상이다.

① 진표, ② 원효, ③ 원측에 대한 설명이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문화- 불교>>>>>>>>




19. 밑줄 친 ‘그’의 저술로 옳은 것은?


그는 당나라에 유학하여 지엄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돌아와 영주에 부석사를 창건하고 문무왕의 정치적 자문도 맡았다. 그는 모든 우주만물이 대립적인 존재가 아니라 서로 조화하고 포용하는 관계를 가졌다고 주장해 유명한 ‘일즉다 다즉일(一卽多 多卽日)’이라는 독특한 논리를 폈다. 즉 하나가 정체요 전체가 하나라는 것이다.


십문화쟁론 ② 해심밀경소

③ 천태사교의 ④ 화엄일승법계도

정답. ④ 신라의 고승 의상에 대한 설명이다.





20. 다음 설명이 가리키는 인물과 관련된 사실로 옳은 것은?


지엄의 문하에서 현수와 더불어 화엄종을 연구하고 귀국했다.

국가지원을 얻어 부석사를 짓고 화엄의 교종을 확립하는데 힘썼다.


① 진골 귀족 출신으로 원융사상을 설파하였다.

여러 종파의 사상을 융합하는 화쟁사상을 주창하였다.

아미타 신앙을 보급해 불교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중관파와 유식파의 대립문제를 연구해 일심사상으로 체계화하였다.

답 ①

지문은 의상으로 진골출신인 의상은 당에서 수학한 후부석사에서 화엄종을 개창하고 원효와 마찬가지로 원융사상(圓融思想), 즉 모든 사상을 분리시켜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더 높은 차원에서 하나로 엮는 교리통합론을 주장하였다.

▶오답피하기/②③④는 다 원효에 대한 내용으로 특히 원효는 『대승기신론서』에서 대승불교의 중관파와 유식파를 통합하여 일심사상을 체계화하였다.








ㅡㅡㅡㅡ<<원효 vs 의상>>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15 9급 국가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9. 신라 승려 ㉠과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은(는) 불교 서적을 폭넓게 이해하고, 일심(一心)사상을 바탕으로 여러 종파들의 사상적 대립을 조화시키며, 분파 의식을 극복하려고 노력하였다. 한편 ( ㉡ )은(는) 모든 존재가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 있으면서 서로 조화를 이룬다는 화엄 사상을 정립하고, 교단을 형성하여 많은 제자를 양성하였다.


① ㉠은 미륵 신앙을 전파하며 불교 대중화의 길을 열었다.

② ㉠은 무애가라는 노래를 유포하며 일반 백성을 교화하였다.

③ ㉡은 관음 신앙과 함께 아미타 신앙을 화엄 교단의 주요 신앙으로 삼았다.

④ ㉡은 국왕이 큰 공사를 일으켜 도성을 새로이 정비하려 할 때 백성을 위해 이를 만류하였다.

9. 정답 : ①

제시된 자료의 ㉠은 원효, ㉡은 의상이다.

① 원효는 미륵 신앙이 아닌 아미타 신앙을 바탕으로 불교 대중화의 길을 열었다.

② 원효는 무애가를 유포하며 일반 백성을 교화하는 등 화엄일승사상을 무애행을 통해 실천적으로 전개하였다.

③ 의상은 관음신앙과 함께 아미타 신앙 체계를 화엄경설을 바탕으로 정립하여 화엄 교단의 중심 신앙으로 전개하였다.

④ 의상은 문무왕이 새로 성곽을 쌓으려 하자 바른 정치를 통해 백성들의 마음에 성을 쌓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하여 공사를 만류하였다.







2015 9급 교행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4. ㉠ 인물의 활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은/는 모든 진리는 한 마음에서 나온다는 일심(一心)사상을 바탕으로 종파 간 논쟁을 조화롭게 승화시키려고 하였다. 또한 중생의 마음이 부처의 마음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하며, 불교의 교리를 쉬운 노래로 만들어 부르며 백성에게 아미타 신앙을 적극 전파하였다.


① 여러 경전을 섭렵하여 금강삼매경론을 저술하였다.

중관 사상과 유식 사상의 대립을 해소하고자 화쟁 사상을 전개하였다.

③ 귀족 중심의 불교에서 소외된 계층을 구제하고자 불교 대중화 운동을 벌였다.

모든 존재가 서로 의존하며 조화를 이룬다는 논리가 담긴 화엄일승법계도를 펴냈다.

4. 정답 : ④ - 출처 : 황제국사 고대 불교(원효 Vs 의상)

정답 해설 : 사료의 인물은 불교통합을 주도하였던 원효이다. ④ 의상

오답 해설 : 

① 원효의 저서 

② 원효의 불교통합 사상 

③ 원효는 불교대중화를 시도하였다.(아미타신앙)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문화- 불교>>>>>>>>

.










선종 및 종파중심 >>>>>>>>>>>>>>>>>>>>>>>>>>>>

문 2. 신라 하대 불교계의 새로운 경향을 알려주는 다음의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불립문자(不立文字)라 하여 문자를 세워 말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복잡한 교리를 떠나서 심성(心性)을 도야하는 데 치중하였다. 그러므로 이 사상에서 주장하는 바는 인간의 타고난 본성이 곧 불성(佛性)임을 알면 그것이 불교의 도리를 깨닫는 것이라는 견성오도(見性悟道)에 있었다.


① 전제왕권을 강화해주는 이념적 도구로 크게 작용하였다.

② 지방에서 새로이 대두한 호족들의 사상으로 받아들여졌다.

③ 왕실은 이 사상을 포섭하려는 노력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④ 인도에까지 가서 공부해 온 승려들에 의해 전파되었다.

정답 ②

제시된 사료는 신라 말에 발달한 선종에 대한 내용이다. 

② 선종은 신라 말기 교종을 중심으로 한 진골 귀족들과 대립했던 6두품, 호족들의 지지를 받아서 크게 성장할 수 있었다. 선종은 이후 9개의 종파로 구성되면서 체계를 갖추었다.


① 교종의 한 종파인 화엄종에 대한 설명이다. 

③ 신라 왕실도 선종을 포섭하고자 했으나 선종은 지방호족과 더욱 밀착되었다. 성주산문은 경문왕 11년(871)에 왕실의 부름을 받아 응하기도 하였고, 헌안왕과 정강왕의 귀의를 받았지만 결국은 왕실보다는 지방호족과의 결연에 더 집중하였다. 

④ 인도에 간 구법승들에 의해서 전파된 것은 교종이고, 선종은 중국에서 탄생한 종파이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문화- 불교>>>>>>>>





<<<그 외 인물 및 포괄>>>>

문 9.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그는 중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다음, 국왕에게 황룡사에 9층탑을 세울 것을 건의했다. 그가 9층탑 건립을 건의한 데에는 주변 나라의 침입을 막고자 하는 호국정신이 담겨 있다.


화랑이 지켜야 할 세속오계를 지었다.

② 대국통으로 있으면서 계율을 지키는 일에 힘을 보탰다.

③ 통일 이후의 사회갈등을 통합으로 이끄는 화엄사상을 강조하였다.

④ 일심(一心) 사상을 주장하여 불교 교리의 대립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정답 ②

[자료 분석]

제시문의 밑줄 친 ‘그’에 해당하는 인물은 자장이다. 국왕(선덕여왕)에게 황룡사 9층탑 건립을 건의했다는 내용을 통해 이를 알 수 있다.

[정답 해설]

② 선덕여왕은 당나라에서 귀국한 자장을 대국통에 임명하여 승니의 모든 규범을 위임하여 주관하게 하였다.


[오답 피하기]

① 세속오계를 지은 인물은 원광이다.

③ 화엄사상을 강조한 대표적 인물은 의상이다. 자장은 삼국통일 이전인 무열왕 대(658년)에 입적했기 때문에 통일 이후의 사회 갈등 통합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④ 일심 사상을 강조하며 종파 간의 대립을 극복하려 한 인물은 원효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