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도교 -- 통시적>>>>>>>>>

Posted by 기자 =.=
2017. 4. 18. 22:05 한국사/1 전근대 요약
반응형

033 도교도참사상풍수지리설

1.도교 - 불로장생사상, 현세이익의 추구를 목적, 무위자연, 노자(도덕경), 장자(노장사상)“상선약수

- 방법: 양생술, 숭무, 방술, 비법, 둔갑술, 신선사상, 무위자연사상

- 특징: 교단이 성립되지 못함(비조직적 신앙 고려 : 민간신앙으로 발전)

일관성의 결여, 불교의 요소가 강함


삼국시대

(고구려만 성행)


고구려: 강서고분의 사신도, 주몽신화, 을지문덕장군의 여수장 우중문 시(지족)

연개소문이 불교세력을 억압하기 위해 장려(보덕이 반발하여 백제가서 열반종(열받았종) 개창)


백제

산수무늬벽돌

사신도


사택지적비(사택지적=의자왕의 대좌평한사람이 인생무상)


무령왕릉지석(지석의 의미가 매지권= 즉, 땅을 샀다)---사료:영동대장군 백제사마왕이 토지신에 보고하고 무덤을 만듬: 거기서 토지신이 도교의영향), 벽돌무덤이면 중국남조 양나라와 교류했던증거 (반대로 양나라 쪽엔 양직공도가 증거로)


금동대향로



신라: 국선도풍류도라는 화랑도 명칭


통일신라

향락적퇴폐적인 지배층의 생활에 반발

김유신묘 12지신상

최치원사산비문


발해: 공주묘 비문(불로장생이라는 용어)


고려시대


가장 성행했던 시기 - 참성단, 도관(도교사원)--교단은 성립안함(교리가 불분명해서), 팔관회, 묘청의 팔성단, 구월산 삼성사


조선시대


해동이적(홍만종), 마니산 초제(소격서) 민족의식 높이는 기능//소격서폐지하자(조광조), 원구단



* 금동용봉봉래산향로 (금동대향로):  부여 능산리 에서 발견 (사비시대) 

봉황의 턱밑에 여의주다섯악사인면조신상인면수신상호랑이코끼리멧돼지사슴----불교(하단) + 도교(상단)


* 원구단: 우리나라와 중국의 역대왕조에서 유교적인 의례에 따라 하늘에 제사를 지낸 제천단(하늘모양의 둥근 형태)

고대국가부터 제천의식이 행해졌으나 유교적인 예의 관념에 따라 제도화된 원구제는 고려시대 부터 실시

지금의 환구단은 1897년 고종의 황제 즉위식과 제사를 지낼 수 있도록 고종이 제천의식을 하면서 다시 설치


* 삼성사(황해도 구월산): 단군을 제사하기 위한 단군사당

* 참성단(강화도 마니산):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사당

* cf) 만동묘대보단(충북 화양동): 조선시대 명나라 황제를 제사하기 위해 세운 사당

 




2. 풍수지리설의 발달

신라말기 도선과 같은 선종 승려들이 중국에서 수입 (유교사상과 적대적)

지기쇠왕설, 비보사탑설 관련, 신라정부의 권위 약화


고려시대


1) 송악길지설: 고려왕조의 사상적 배경


2) 개경길지설서경길지설(고려시대) 남경길지설(한양명당설)


3) 훈요십조(서경길지설, 비보사찰: 호국+풍수지리)


4) 성종: 분사제도, 3(개경서경동경) 남경길지설(문종): 북진정책의 침체 + 풍수지리


5) 인종: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 3경폐지후 3소제 설치


6) 관련서적 : 도선비기, 해동비록(예종, 풍수지리설 집대성, 전하지 않음), 산천비보도감, 잡업의 지리업


조선시대


1) 한양명당설(조선의 수도선정)


2) 16C 산송문제 3) 정감록토정비결(예언서): 조선후기 도교와도 관련



 



3. 선종 + 도교 + 풍수지리 사상 고려개창의 사상적 토대


 

.


=============================================================

주제 27-2 도교 사상과 민간신앙의 흐름

1. 신라 말기에 도선이 당에서 들여온 풍수지리설이 호족과 연결되어 발전하였다. (2011년 경찰정보통신)

2. 도선은 중국에서 유행한 풍수지리설을 들여와 경주 중심의 지리 관념에서 벗어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2007년

법원직)

3. 고려 시대 초기에 풍수지리설이 수입되어 새로운 사회 건설에 이바지하였다. (2010년 9급 경북교행)

4. 고려 무신 집권기에는 풍수지리설에 바탕을 둔 수선사 결사 운동이 일어났다. (2008년 9급 지방직 상반기)

5. 고려 문종 때 복원궁이라는 도교 사원을 세우고 본격적으로 도교를 보급하였다. (2013 국가직 7급) - 교체

기존 문항 5번 삭제

5. 갑오개혁으로 왕실과 일반 행정이 제도적으로 분리되게 되었다. (2008년 선관위 9급)

해당 파트의 문제가 아니라서 삭제.




주제 27-2 도교 사상과 민간신앙의 흐름 OX 정답 및 해설

1. ( ◯ ) 풍수지리설은 전국을 유기적으로 파악하는 인문지리적 관점에서 경주 중심의 국토관을 지방 중심으로 바꾸었다. 그리고 신라 말기

지방 호족들은 각기 자신의 근거지를 명당이라고 정당화하면서 풍수지리설을 차용하였다. 

2. ( ◯ ) 도선은 풍수지리설을 도입하여 전국을 유기적으로 파악하면서 한쪽에 치우친 경주의 운수가 다하였다고 하여 경주 중심의 지리관을

부정하였다. 한편, 저마다 자신의 근거지를 명당으로 정당화할 수 있었던 호족들은 풍수지리설을 선종과 함께 사상적 기반으로 삼았다. 

3. ( X ) 풍수지리설은 신라 말에 도선이 중국으로부터 들여온 것이다. 그는 경주의 기운이 쇠약해졌다고 주장하여 고려 건국을 가능하게 했

다. 

4. ( X ) 풍수지리설은 신라 말기에는 신라 정부의 권위를 약화시켰으며,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등 고려 시대에 추진된 북진 정책과 조선 초

기에 있었던 한양 천도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수선사 결사 운동은 고려 후기에 선종과 교종을 통합하고 불교를 개혁하려는 운동이다. 

5. ( X ) 고려의 첫 도교 사원인 복원궁은 예종 때 처음 세워졌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