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라하대><후삼국>

Posted by 기자 =.=
2017. 4. 18. 22:06 한국사/1 전근대 요약
반응형

034 신라하대 지방세력의 대두

1. 왕위 쟁탈전의 시작 (왕권의 약화)

1) 무열왕계의 약화 : 혜공왕은 5묘제를 통해 왕권유지 시도 실패


2) 혜공왕의 피살: 대공의 난(768, 96각간의 싸움) 김지정의 난(780)으로 혜공왕 피살 내물왕

10대손인 상대등 김양상이 선덕왕 즉위 무열왕계 진골에 의한 왕위 세습은 끝남(신라하대 시작)


3) 진골 간(무열계 vs 내물계)의 왕위 쟁탈전: 김헌창의 난(822) 김범문의 난(825) 장보고의 난(846)

김헌창의 난: 아버지 김주원(무열계)이 김경신(내물계)에게 밀려 원성왕이 되지 못하자 국호를 장안으로

연호를 경운으로 정하고 무열왕계 웅천도독 김헌창이 일어킨 반란 실패

김범문의 난: 김헌창의 아들, 고달산(여주)를 근거지로 산적 수신과 연합하여 반란 실패

장보고의 난: 문서왕이 장보고의 딸을 차비로 들이려 했으나 진골귀족들의 반대로 성사되지 못하자 반란,

중앙정부는 무력으로 토벌할 능력이 없었고, 장보고의 부하 염장을 통해 살해, 진압

* 김흠돌의 난: 신문왕때(중대) 진골귀족들의 무열왕계 왕위독점에 반발


4) 원성왕: 독서삼품과의 실시(효경 필수) - 왕권강화의 목적 진골귀족의 반대로실패


5) 흥덕왕(826~836) 때 사치를 금하는 왕명이 내려지기도 하였다.


6) 상대등 세력 강화, 족당정치


7) 녹읍 부활, 사원의 면세전 확대, 국가 재정의 파탄과 농민수탈 강화 민란 발생(원종애노의 난(889))

.



2. 새로운 세력의 등장

1) 호족의 등장 (지방에서 성주, 장군을 자칭하는 독립적인 세력으로 성장)

(1) 특징

선종도교풍수지리 수용

반골품제 성향: 6두품세력과 결탁하여 골품제를 비판하고 새로운 정치이념을 제시

(2) 호족세력의 종류

중앙의 권력투쟁에서 밀려나 지방에서 세력을 키운 몰락한 중앙귀족

무역에 종사하면서 재력과 무력을 축적한 세력

군진세력 

지방의 토착세력인 촌주출신


2) 해상세력의 확대: 장보고의 청해진 설치, 왕의 승낙을 얻어 전남 완도에 청해진 설치(828),

서남해안에서 활동, 신무왕의 옹립, 당의 서주에서 무령군 소장을 지냄.

견당매물사 : 당과 교역 활동을 벌이기 위한 사절단

회역사 : 일본과의 경제 활동을 위한 사절단 이후 견당매물사와 통칭하여 부르기도 함

교관선 : 무역 활동을 위해 파견한 무역선 [ 장 교 견 청 법 신 민 회 완 ]

법화원 건립 : 신라원을 통칭하는 말로 사용되기도 함


3) 6두품세력이 반발 (최치원, 최언위, 최승우 등)




036 고대에서 중세, 중세에서 근세사회로의 변화

고대국가(연맹국가)

중세고려사회(고대사회)

근세조선사회(중세고려)

중앙집권국가

왕권강화

제도정비

율령반포

신분제(관료와 계급사회)

불교수용

영토확장

중앙귀족화

대중국투쟁 철기문화

문벌귀족사회(족보편찬),호족이 문화주체

대가족단위(평민도 성씨본관 사용)

유불융합 

과거제실시

전시과 

4계급(중인의 등장)

귀족문화와 지방문화 함께 발달

평민 사용 (노비의 이름사용)

왕권견제책 발달(서경,간쟁,봉박,상소)

대장경(8), 금속활자, 금속화폐

교선통합(천태종,조계종)

문무양반 

억불숭유

향소부곡X

모든 군현에 지방관 파견

향리지위

자작농증가

호패법 

오가작통법

이원적행정 일원체제

향촌자치 강조

성문법치국가(경국대전)



=====================================================================



№ 035 후삼국

x

x

x

x

o

900

901

904

907

911

918

926

935

936

960


1. 후백제의 건국(900)

1) 상주 가은현 출신인 견훤이 전라도 지방의 군사력과 호족세력을 토대로 건국 (견훤=군진+호족)

2) 완산주(전주)에 도읍

 

2. 후고구려의 건국(901, 송악) → 마진(철원무태성책→ 태봉(철원수덕만세정개)

1) 신라왕족(헌안왕)출신인 궁예가 호족세력과 초적을 토대로 건국 (궁예=초적+호족)

2) 미륵신앙의 이용하여 전제정치의 도모

3) 양길에게 부탁 → 강원도경기도 일대의 중부 지방 점령 → 예성강 유역의 황해도까지 점령

4) 양길을 몰아낸 다음 송악에 도읍 → 철원으로 옮기고 국호를 마진연호를 무태로 정함

5) 6두품을 중심으로 새로운 관제를 마련하고 골품제도를 대신할 새로운 신분제도를 모색.

6) 국정을 총괄하는 광평성을 비롯한 9관등제의 실시미륵신앙을 이용하여 전제정치 도모하다가 신망 잃음

 

3. 고려의 건국(918)

1) 궁예를 축출한 신하들에 의해 추대된 왕건이 철원에서 즉위하여 이듬해 송악(개경)으로 천도(919)

2) 호족세력해상세력, 6두품선종 등이 연합

3) 왕건의 통일정책 (송악지방의 호족출신궁예의 신하로 있을때 신망을 얻어 광평성 시중까지 오름)

대외적 중국 5대 여러 나라들과 외교관계를 맺음

대내적 왕건은 지방 호족 세력을 흡수통합신라에는 우호정책후백제에는 고립정책

후삼국의 대외관계 고려+북중국(5)+신라+발해(유민↔ 후백제+남중국(오월)+거란()+일본()


4. 발해가 거란족에 멸망 당함(926)


5. 후백제가 대야성을 점령하고 경주를 공격하여 경애왕을 죽이고공산전투에서 고려군 격파(927)


6. 고창(안동)전투에서 고려군이 후백제군을 격파(930)


7. 운주성전투에서 왕건은 견훤의 후백제군을 격파(934)


8. 신라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신라 멸망935)


9. 후백제에 왕위계승 문제의 발생 → 신검이 견훤을 금산사에 감금 → 견훤이 고려에 투항 → 선산전투(일리천전투)에서 고려가 후백제를 멸망시킴(936) → 민심수습 및 후삼국통일기념으로 충남논산에 개태사건립


우리나라와 중국의 시대별 상황

고 조 선 춘추전국시대 진 

삼 국 후한 위촉오 삼국시대(3C) - 516(4C) - 남북조(5,6C) - 수통일

통일신라 당건국(618)

후 삼 국 : 5대 10(10C)

고 려 : 5대 10(10C) - (960) - (거란,11C) - (여진,12C) - (몽고,13C)

조 선 (14C) - (후금,15C)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