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고려 경제, 무역>

Posted by 기자 =.=
2017. 4. 18. 22:11 한국사/1 전근대 요약
반응형

047 고려의 경제제도와 대외무역

1. 귀족의 경제 생활

1) 녹봉: 문종 때 완비

- 현직관리들은 쌀, 보리 등 곡식으로 지급받았으나 때에 따라 베나 비단으로 지급받기도 함

- 녹봉은 1년에 두번씩 녹패라는 문서를 창고에 제시하고 수령

2) 외거 노비의 신공: 외거노비로부터 매년 노동력을 징발하고, 베나 곡식 등을 신공으로 징수

 

2. 농민의 경제 활동

1) 진전의 개간: 진전(황폐해져 농사가 불가능한 토지)이나 황무지를 개간한 경우, 국가에서 일정 기간

(=공전) 소작료나 조세를 감면(주인이 있으면 소작료 감면, 없으면 개간한 사람의 토지로 인정)

2) 경작지 확대: 대몽 항전 시기에는 강화도 지방을 중심으로 간척 사업이 추진

3) 수리 시설 개선 : 김제 벽골제와 밀양 수산제를 개축하고, 소규모의 저수지(제언)도 확충

4) 고려는 재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토지와 호구를 조사하여 토지대장인양안

호구장부인호적호부에서 작성관리. (삼사에서 작성X)

5) 호적은 부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가족을 등재하되, 경우에 따라 여러세대의 가족이 한 호적에 기록

6) 삼사는 재정의 수입과 지출관련 사무만 담당, 실제 조세수취와 집행은 각관청과 향리가 담당.

7) 수리시설의 보수와 신축으로 벼농사가 발달하여 밭농사에서 논농사 중심으로 전환 * 논 비율 > : 정조

 

3. 고리대의 성행

1) 삼국시대부터 곡식이나 베()를 꾸어주고 이자를 받음, 고려시대에 귀족사원호족들에 의해 더욱 성행

2) 사원에서 하는 고리대(장생고) 성행 - 불교의 세속화, 농민생활의 악화

3) 보의 발달(조선은 없음)

- 기금을 조성하여 이자로 공공사업을 전개 목적 고리대로 변질 농민생활 악화 정부의 빈민구제책(의창상평창)

- 종류: 제위보(광종), 학보(장학제단), 광학보(승려의 면학을 목적), 팔관보, 경보, 금종보 등

- 보의 법정이식은 원금의 1/3 (*10% X)

 

4. 무역활동: 사무역보다 공무역이 중심 (고려: 친송북진 / 조선: 사대교린)

1) 벽란도(예성강 어귀)가 국제무역항으로 번성. (신라: 당항성 / 통일신라: 울산항)

2) 송과의 무역: 광종 때부터 시작 (고려는 문화적 경제적 목적 / 송은 정치적 군사적 목적)

- 대외무역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수입품: 비단, 서적, 약재 * 나전칠기: 통신(수입품), 고려(수출품)

- 수출품: 나전칠기, 화문석, 종이, , , , 인삼 등의 수출(완제품이 많음)

* 고려의 종이와 먹은 질이 뛰어나 송에 비싼 값으로 수출되었다.

* 의 영향: 쇄술, 입사, 월정89층탑, 성악, 자기

3) 기타 각국과의 무역

- 거란()과 여진: 모피를 가지고 와서 농기구식량 등과 교환

- 아라비아: 수입(수은향료산호), 수출(비단). 고려(Corea)라는 이름을 서방에 알리게 됨,

송의 중계무역에 의해 지속적 무역관계는 이루어지지 않음.

- 일본: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못함. 수입(수은유황감귤), 수출(식량인삼서적문방구)

- 원간섭기 무역: 공무역이 행해지는 한편 사무역이 다시 활발해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