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 중세불교 - 조계종과 천태종>>>>>>>>>>

Posted by 기자 =.=
2017. 4. 18. 22:15 한국사/1 전근대 요약
반응형

051. 조계종과 천태종


[9꿈사 한국사] 2017 공무원 출제순위 3강 - 고려의 불교 (출제 3위) - YouTube


신라

상대(열반종계율종), 중대(화엄종법상종법성종), 하대(선종 9)

고려

초기

5교 양종의 대립 광종 때 교종은 화엄종을 중심으로 균여가 정리(귀법사),

*호족이 신라하대 선종을 민것은 단지 백성들이 좋아하니까, 정권을 잡고난뒤는 역시 교종을 좋아함.


선종은 혜거가 법안종을 중심으로 통합


천태학 발전 - 제관(천태사교의), 의통(중국 천태종13대 교조) (시기문제로 나올수도)


문벌기

의천 - 천태종개창 (왕자님 사후 교단분열)

, [원종문류][석원사림][천태사교의]

무신기

조계종(지눌), 혜심, 백련사 요세.

교종탄압 - 귀법사 승려의 난(교종들의 반란)

각훈(화엄종의 대가, 해동고승전), 최우(8만대장경)

원간섭기

불교타락(신진사대부의 척불론 제기), 

라마불교 유행

보우(임제종(선)), 일연(가지산파 승려)

지공(인도선종 전래 석종형 승탑), *조선 명종 때 보우: 승과실시

조선

억불

억불숭유, 도첩제(태조), 척불론(정도전,불씨잡변), 사원 토지노비몰수(태종),

교 양종으로 통합 정리, 36사만 인정(세종)

부흥

내불당 건립(세종), 원각사지 10층석탑간경도감(세조)

개화기

억불정책에서 벗어남 을사늑약후 일본불교에 예속 조선불교유신론(한용운):

불교의 자주성회복과 근대화 운동



천태종

조계종

고려 전기(숙종) 왕실과 귀족지원, 안정기

고려 후기(무신지원)무신지원, 혼란기

교종중심(+절충) 교관겸수(이론연마+실천강조)

선종중심(+통합) 선교겸수(예불,독경,참선,노동)

대각국사 의천(원효의 화쟁사상을 계승)

보조국사 지눌(사굴산파 출신)

내외겸전, 성상겸학

지관(생각중단, 지혜로서 사물관조),

정혜쌍수, 돈오점수

(내가 곧 부처라는 깨달음 + 수행으로 깨달음 확인강조)

중심사찰: 국청사(개경)

중심사찰: 송광사(전라도 순천)

화엄종으로 교선통합

조계종으로 교선통합

신편제종교장총록

9산선문 통합

정화운동: 백련사(요세,전라도 강진) 묘련사(변질)

* 지눌에 대항하는 결사

정화운동: 수선사(지눌, 혜심)

--> 의천보면 거의 정치가, 승려 본연으로 돌아가자



1. 불교 정책 (초기 국가 지원, 사원에 특혜, 승병 조직(자신들의 재산보호) 권력 쟁탈전이나 국가 위기시 동원)


1) 태조: 숭불정책(훈요10-연등회(115)와 팔관회(1115)의 거행), 승록사


2) 광종: 승과제도실시, 왕사국사제도, 승록사운영, 귀법사창건, 면세해택, 법안종수입, 교종과 선종으로 통합


3) 성종 : 연등회, 팔관회 폐지(현종 때 부활)

* 승과제도: 교종선과 선종선으로 구분. 합격한 승려에 한해서 승계(법계)를 주었는데, 합격한 승려에게 처음에는 대덕 승계를 부여하였고 점차적으로 승진토록 하였다.


* 국사왕사 제도의 설치: 교종 승려에게는 승통, 선종 승려에게는 대선사라는 법계를 주었으며 그 위에는 왕사와 국사를 둠으로써 불교의 권위가 상징적으로나마 왕권 위에 존재하게 됨.


* 승록사의 운영: 불교 관계 업무를 담당하는 관청. 초기에는 승정(僧政)을 위해 설치되었으나, 주로

승적(僧籍)의 관리나 불교 행사의 주선 또는 지방 사원과 중앙 관청의 매개업무 등을 담당하였을 뿐

승려의 인사 행정에는 관여하지 못했다. 승정(僧政: 승계(僧階)에 대한 임명)은 대개 일반 행정기

구에 의해 일반 관료들과 마찬가지의 절차를 밟아 수행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사실은 당시 실제적

으로 교권(敎權)보다 통치권을 우위에 두고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 면세 혜택과 폐단 : 사원에는 사원에는 토지를 지급하고 승려들에게 면역의 혜택을 주었다. 이러한 특권을 바탕으로 사원들은 막대한 노비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수공업품을 제조하여 시장에 팔기고하였고, 불보나 장생고 등의 기금을 만들어 고리대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국통주통군통: 신라 진흥왕 대 불교교단을 정비하면서 조직

왕사국사제도: 고려 광종 대 불교 승단을 정비하면서 조직






2. 불교 운동


1) 고려초기

교종과 선종병립: 화엄종(균여)선행, 선종에 대하 관심이 높았음

교종의 확립: 흥왕사, 현화사(왕실과 귀족의 지원) 화엄종법상종 융성 (교종과 선종의 통합X,각 교단만 통합)

광종의 교단 통합 시도: 교종은 균여가 화엄종 중심, 선종은 혜거가 법안종 중심으로 통합

천태학의 발전: 의통(중국천태종 13대 교조) 제관(천태사교의)을 중국에 보내 천태학 전파.

* 천태학 : 하나와 전체의 조화를 강조하는 교종 불교이면서도 대중성을 띠고 있어서  교·선의 대립을 교종입장에서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여겨짐



2) 고려 중기 이후

 

천태종과 조계종

무신정변이후 불교계에서 본연의 자세

확립을 주창한 불교의 정화운동,

원 간섭기에 중단

 

 

 

 

교종과 선종의 통합시도(5교양종)

 

결사운동의 전개

지눌, 혜심, 요세 (의천,보우×)

 

 

 

 

 

의천(중기, 대각국사)

지 눌(후기, 보조국사)

요 세(후기)

1.교단통합운동의 전개 (흥 국)

1) 교종 통합시도: 흥왕사(교종만 우선 통합), 화엄종

2) 선종 통합시도: 해동천태종 개창

국청사가 중심

교종의 입장에서 선종의 통합

교관겸수(수행방법도 합치자)-이론의 연마와 실천을 아울러 강조(성상융회-균여(광종))

내외겸전, 성상겸학

왕실, 문벌귀족이 지지기반

3) 한계성: 불교의 폐단을 적극적으로  시정하는 대책이 뒤따르지 않음 , 왕자님포스로 이루어진것이기에 사후에 분열.


2. 원효의 일심사상 계승

화정국사로 추존(임명×)


3. 주전도감 설치(숙종): 화폐 주조


4. 저서

1) 석원사림, 원종문류, 천태사교의

2) <신편제종교장총록>: 불서목록

(교종의 내용만 있음)

1.수선사(정혜)결사운동의 전개(송광사)

1) 개혁적 승려와 지방민의 지지

2) 선수행, 예불독경, 참선, 노동강조



2. 조계종의 개창

1) 선종의 입장에서 교종의 통합 선교일치사상의 완성

2) 정혜쌍수: 참선과 이론(지혜)을 아울러 닦고 선을 중심으로 교를 포용

3) 돈오점수: 내가 곧 부처(내 안의 미니미)라는 깨달음,단번에 깨닫고 꾸준히 실천!(미니미를 키움)

4) ·교 일치사상 완성

(불교교리중심의 통합)

5) 최씨 무신정권이 지지기반

6) 좌선등 심성의 도야를 강조하여 불교에서  성리학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역할 수행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 혜심(진각국사): 수선사 2

1) 지눌의 문하(조계종의 승려)(이미 과거합격한 유학자였음)

2) 유불일치설 주장(내가보니 올라가면 결국 똑같다) 성리학을 수용할 수 있는 사상적 터전 마련


* 최우와 연관된것은 혜심.

1.백련사 결사운동 (만덕사)


1) 지방민의 지지를 받음(교종임에도 불구하고 백성을 위해 정토신앙을 가져옴)


2) 법화신앙 중시-참회 강조 (세속화타파를 위해 일단 참회부터)


3) 천태종과 관련(선종과 관련)


4) 대몽항쟁에 적극적

무신정권과 연결


5) 원간섭기에 묘련사로 변질

 


*유불일치설 : 전에는 제가 공(公)의 문하에 있었지만 지금은 공이 우리 절에 왔으니, 공은 불교의 유생이고 저는 유교의 불자입니다. 서로 손님과 주인이 되고 스승과 제자가 되는 것은 옛날부터 있었던 일입니다. 불교와 유교는 그 이름만을 생각한다면 아주 다르지만, 그 실제로 알면 다른 것이 아닙니다.                                                                                                                                                 - 진각국사 어록 

                                                        (혜심의 예전 유교스승을 만나서 얘기하는 상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