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발해 남북국시대총괄 #4

Posted by 기자 =.=
2018. 4. 8. 11:44 한국사/0 기출 TOPIC 분류
반응형




<발해 왕대사>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무왕>


해동성국 (성 선)

북만주 장문휴--산동




<문왕>


- 왕을 황상이라 칭함==>황제국 표방


<선왕>


- 건흥 연호



무왕>>>>>>>>>>>>>>>>



2016 9급 서울시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10. 빈칸에 들어갈 왕의 재임 시기에 일어난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발해와 당은 발해 건국 과정에서부터 대립적이었으며 발해의 고구려 영토 회복 정책으로 양국의 대립은 더욱 노골화되었다. 당은 발해를 견제하기 위해 흑수말갈 지역에 흑수주를 설치하고 통치관을 파견하였다. 이러한 당과 흑수말갈의 접근을 막기 위하여 발해의 은 흑수말갈에 대한 정복을 추진하였다. 이 계획을 둘러싼 갈등이 비화되어 발해는 산둥 지방의 덩저우에 수군을 보내 공격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당은 발해를 공격하는 한편, 남쪽의 신라를 끌어들여 발해를 제어하려고 하였다.


 3성 6부를 비롯한 중앙 관서를 정비하였다.

② 융성한 발해는 ‘해동성국’ 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왕을 ‘황상(皇上)’이라고 칭하여 황제국을 표방하였다.

④ 일본에 보낸 외교문서에서 고구려 계승 의식을 천명하였다.

10. 정답 : ➃

발해 무왕 대 흑수말갈을 복속하는 과정에 당과 항쟁한 사실과 관련한 내용이다.

➃ 발해 무왕은 일본에 보낸 국서에서 ‘고구려의 옛 영토를 모두 회복하였고 부여의 습속을 이었다’라고 하여 고구려 계승 의식을 나타냈다.


① 정당성, 선조성, 중대성의 3성과 6부의 중왕 관서를 정비한 왕은 문왕이다.

➁ 9세기 선왕 대 요동과 만주를 비롯한 연해주 지역까지 차지하면서 당으로부터 해동성국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➂ 왕을 ‘황상’이라고 칭하며 황제국을 표방한 것은 문왕 대이다.

2017/04/18 -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통일신라, 발해





2013 9급 지방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9. 밑줄 친 ‘왕’이 재위한 시기의 사실로 옳은 것은?

왕이 신하들을 불러 “흑수말갈이 처음에는 우리에게 길을 빌려서 당나라와 통하였다. …(중략)… 그런데 지금 당나라에 관직을 요청하면서 우리나라에 알리지 않았으니, 이는 분명히 당나라와 공모하여 우리나라를 앞뒤에서 치려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리하여 동생 대문예와 외숙 임아상으로 하여금 군사를 동원하여 흑수말갈을 치려고 하였다.


5경 15부 62주의 행정 제도가 완비되었다.

길림성 돈화 부근 동모산 기슭에서 나라를 세웠다.

북만주 일대를 차지하고 산동의 등주를 공격하였다.

수도를 중경에서 상경, 동경으로 옮겨 중흥을 꾀하였다.


해설

자료의 왕은 발해의 무왕이다. 

 무왕은 동북방의 여러 세력을 복속하고 북만주 일대를 장악하면서, 흑수 말갈지역을 통합하여 영토를 확장하였는데 당이 이 지역과 직접 교류를 시도하자 무왕은 장문휴의 수군으로 산둥지방을 공격하게 하고, 요서지역에서 당과 격돌하였다.


 발해 선왕의 업적이다.

② 대조영(고왕)의 업적이다.

④ 발해 문왕의 업적이다.




2014 9급 지방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16. (가), (나) 국왕의 재위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가) 대조영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영토 확장에 힘을 기울여 동북방의 여러 세력을 복속하고 북만주 일대를 장악하였다.

(나) 대부분의 말갈족을 복속시키고, 요동 지역으로 진출 하였다. 이후 전성기를 맞은 발해를 중국에서는 해동성국(海東盛國)이라고 불렀다.


<보 기>

ㄱ. (가)-수도를 중경에서 상경으로 옮겼다.

ㄴ. (가)-장문휴가 수군을 이끌고 당(唐)의 산둥(山東)지방을 공격하였다.

ㄷ. (나)-‘건흥’ 연호를 사용하고, 지방 행정 조직을 정비하였다.

ㄹ. (나)-당시 국왕을 ‘대왕’이라 표현한 정혜공주의 묘비가 만들어졌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16. 정답 ③

해설 

(가) 대조영의 뒤를 잇고, 북만주 일대를 장악한 것은 발해의 무왕이다. 

(나) 대부분의 말갈족을 복속시키고 전성기를 맞이 하여 해동성국이라 불린 것은 발해의 선왕이다. 

ㄴ. 무왕은 흑수말갈과 대문예의 송환 문제를 둘러싸고 당과 대립하였다. 그리하여 732년에 장문휴를 보내어 당의 산둥(山東) 지방을 공격하였다. 

ㄷ. 선왕은 건흥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으며 5경 15부 62주의 지방 행정 조직을 정비하였다. 


ㄱ. 문왕 때의 일이다. 문왕은 수도를 중경에서 상경, 상경에서 동경으로 옮겼다. 성왕 때 동경에서 상경으로 천도한 이후 수도가 바뀌지 않았다. 

ㄹ. 정혜공주는 문왕의 둘째 딸이며, 정효공주는 문왕의 넷째 딸이다. 두 공주는 모두 8세기에 사망하였기 때문에 선왕(818~830) 때 정혜공주의 묘비가 만들어졌다는 내용은 옳지 않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통일신라, 발해>





2015 9급 사복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12. 발해 무왕 대에 있었던 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성기를 맞아 해동성국이라고 불리었다.

 장문휴를 보내어 산둥 지방을 공격하였다.

③ 돌궐, 일본 등과 연결하면서 당, 신라를 견제하였다.

④ 동북방의 여러 세력을 복속하고 북만주 일대를 장악하였다.

☞ 답 ①

① 선왕 때 일이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통일신라, 발해>








문왕>>>>>>>>>>>>>>>>>>>>>>>>.




2018 9급 서울시(3월)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19. <보기>의 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보기>

왕은 당이 내분으로 어지러워진 틈을 타서 영토를 넓히고, 수도를 중경에서 상경으로, 다시 동경으로 옮겼다. 또한 대흥, 보력등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① 산동지방에 수군을 보내 당을 공격하였다.

② 당으로부터 해동성국이라 불렸다.

③ 전륜성왕을 자처하고 황상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였다.

④ 동모산에 나라를 세웠다.

 19. 발해 문왕 정답 : ③

제시된 자료는 발해 문왕의 업적에 대한 내용이다. ③ 발해 문왕은 불교의 전륜성왕 이념을 받아들였으며, 황상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여 황제 국가의 면모를 과시하였다.

오답분석 : 

① 발해 무왕, 

② 발해 선왕 때의 일이다. 

④ 대조영(발해 고왕)은 동모산 기슭에서 나라를 건국하고 국호를 진이라 하였다.












왕순서 시기순서 문제들>>>>>>>>>>>>>>>>>>>>>>>>>>>>>.



2017 9급 국가직(하반기)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12. 발해에서 일어난 일을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장문휴가 당의 산동지방 등주를 공격하였다.

㉡ 수도를 중경현덕부에서 북쪽의 상경용천부로 옮겼다.

㉢ 당으로부터 ‘발해군왕’에서 ‘발해국왕’으로 봉해졌다.

 ‘건흥’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① ㉠→㉡→㉢→㉣ ② ㉠→㉢→㉣→㉡

③ ㉡→㉠→㉣→㉢ ④ ㉠→㉢→㉡→㉣

12. 발해의 발전 정답 : ①

㉠ 장문휴가 당 산둥지방의 등주를 공격한 것은 무왕 때(732)년 의 일이다. 

㉡ 발해 문왕 때 당에서 일어난 안사의 난의 영향을 받아 수도를 중경 현덕부에서 상경 용천부로 천도하였다(755). 

당으로부터 발해국왕으로 봉해진 것은 발해 문왕 때인 762년의 일이다. 

㉣ ‘건흥’이라는 연호를 사용한 것은 9세기 선왕 때의 일이다.


(수도 움직이면서 안정화되면서 중국인정받는 느낌으로 암기)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통일신라, 발해








<통치체제>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통치체제>




<외교>

- 북: 돌궐   // 남: 일본






2018 9급 교행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6. 다음 국가의 지방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곳곳에 촌리(村里)가 있는데 모두 말갈 부락이다. 그백성은 말갈족이 많고 토인(土人)은 적다. 모두 토인을 촌장으로 삼는다.

⚪ 거란도, 영주도, 조공도, 신라도, 일본도가 있어서 주변 세력과 외교 교섭 또는 교역을 벌이는 간선 교통로로 이용된다.

① 22개의 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

② 경-부-주의 체계를 갖추어 다스렸다.

③ 5도에 안찰사를, 양계에 병마사를 파견하였다.

④ 수도의 치우침을 보완하기 위해 5소경을 두었다.

6. 정답 ②

[자료 분석]

말갈족이 많고 토인(고구려인)이 적다는 내용과 5개의 교통로(발해 5도)에 대한 내용을 통해 발해와 관련된 자료임을 알 수 있다.

[정답 해설]

② 발해는 5경 15부 6주의 지방 행정 제도를 갖추고 있었다.(선왕)

[오답 피하기]

①은 백제(무령왕), ③은 고려, ④는 통일 신라에 대한 내용이다.









2017 9급 지방직(하반기)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9. 발해의 통치 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중앙과 지방에 각각 6부와 9주를 두어 다스렸다.

② 정당성 아래에 있는 6부가 정책을 집행하였다.

③ 중앙의 핵심 군단으로 9서당이 있었다.

④ 사정부를 두어 관리를 감찰하였다.

9. 발해의 통치체제 정답 : ②

② 발해는 정당성 아래에 6부를 두어 나라의 일을 나누어 처리하게 하였다.

오답분석 : 

① 신라는 중앙에 6부, 지방에 9주를 두어 다스렸다.

③ 통일 신라의 중앙군에 대한 설명이다. 

④ 사정부는 통일신라의 관부로, 관리를 감찰하였다.





2015 9급 지방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12. 밑줄 친 ‘북국(北國)’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원성왕 6년 3월 북국(北國)에 사신을 보내 빙문(聘問)하였다. … 요동 땅에서 일어나 고구려의 북쪽 땅을 병합하고 신라와 서로 경계를 맞대었지만, 교빙한 일이 역사에 전하는 것이 없었다. 이때 와서 일길찬 백어(伯魚)를 보내 교빙하였다.


① 감찰 기관으로 중정대가 있었다.

② 최고 교육 기관으로 태학감을 두었다.

 중앙의 정치 조직으로 3성 6부를 두었다.

④ 지방의 행정 조직으로 5경 15부 62주가 있었다.

정답 ②

제시된 사료는 『삼국사기』의 기록으로, 밑줄 친 ‘북국’은 발해를 지칭한다. 

② 발해의 최고 교육 기관은 주자감이었다. 신라 경덕왕 때 교육기관을 정비하여 국학을 태학(감)으로 명칭을 바꾸고 박사와 조교를 두어 유교 교육을 강화하였다.

① 발해의 감찰기구는 중정대이다. 

③ 발해의 중앙 정치 조직은 3성(정당성, 선조성, 중대성)과 6부(충부, 인부,의부, 지부, 예부, 신부)를 근간으로 편성하였다. 

④ 발해의 지방 행정 조직은 5경 15부 62주로 구성되어 있었다. 






2013 9급 기상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5. 다음은 발해의 통치조직에 관한 표이다. 이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13_9급_기상직)


① 선조성과 중대성의 장관이 국정을 총괄하였다.

② 관청의 명칭을 유교식으로 변화시켜 사용하였다.

③ 당의 제도를 수용하였으나 명칭과 운영에서 독자성이 나타난다.

④ 좌사정과 우사정이 각각 3부씩 나누어 맡는 이원적 통치체제를 운영하였다.

[ 정답 : ① ]

* 문제해설 : 당의 3성(상서성, 문하성, 중서성) 6부(이 · 호 · 예 · 병 · 형 · 공부)을 받아들였지만 3성은 정당성(상서성)과 선조성(문하성), 중대성(중서성)이라는 이름으로, 6부는 충(이) · 인(호) · 의(예) · 지(병) · 예(형) · 신(공)부라는 이름으로 운영하였다(괄호 안의 글자는 당나라 명칭). 좌사정은 충 · 인 · 의 3부를, 우사정은 지 · 예 · 신 3부를 나누어 관할하는 이원적인 통치체계를 갖추었다. 이를 통해 당의 제도를 모방하면서도 명칭과 운영에 있어서 독자성을 갖추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정대는 관리 감찰, 문적원은 서적 관리, 주자감은 중앙의 최고 교육기관의 기능을 하였다.

* 오답노트 : 

① 정당성의 장관인 대내상이 국정을 총괄하였다.






대외관계 집중>>>>>>>>>>>>>>>>>>>>


2012 9급 국가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4. 발해의 대외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당과 신라를 견제하기 위해 돌궐과 외교관계를 맺기도 하였다.

② 일본과는 서경 압록부를 통해 여러 차례 사신이 왕래하였다.

③ 당에 유학생을 보냈는데 반공과에 급제한 사람이 여러 명 나왔다.

④ 일본은 발해에 보낸 국서에서 발해왕을 ‘고려왕’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정답. ② 동경 용천부가 일본도의 시발이다.

2017/04/18 -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통일신라, 발해









<고구려 연관성>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18 9급 국가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13. 다음은 발해사에 대한 중국과 러시아 입장이다. 한국사의 입장에서 이를 반박하는 증거로 적절한 것은?


○ 중 국: 소수 민족지역의 분리독립 의식을 약화시키려고, 국가라기보다는 당 왕조에 예속된 지방 민족정권 차원에서 본다.

○ 러시아: 중국 문화보다는 중앙 아시아나 남부 시베리아의 영향을 강조하여 러시아의 역사에 편입시키려한다.


① 신라와의 교통로

② 상경성 출토 온돌 장치

③ 유학 교육 기관인 주자감

④ 3성 6부의 중앙 행정 조직

13. 정답 : ②

제시된 자료는 발해사에 대한 중국과 러시아의 입장에 대한 내용으로, 한국사의 입장에서 이를 반박하는 증거를 찾는 문제이다. 즉, 발해 문화가 고구려 문화를 계승하였음을 보여주는 유물이나 유적을 고르면 된다.

② 발해 문화가 고구려 문화를 계승하였음을 보여 주는 근거로는 대표적으로 굴식돌방무덤으로 지어진 정혜공주묘, 상경성의 온돌 장치, 정혜공주묘의 돌사자상, 일본에 보낸 외교 문서 등이 있다.


① 신라도는 발해가 신라와의 대립 관계를 해소하려 했음을 보여준다. 

③, ④ 유학 교육 기관인 주자감과, 3성 6부의 중앙 행정 조직은 모두 당나라 제도의 영향을 받았다.














<< 기타 분야 >>


<사회>==============

<민족 구성>


- 고구려인 + 말갈인


- 고구려 문화 + 당 문화














<농업>



<상업>



<무역>

- 주로 당, 일본과 (신라는 비중 크지않음)

- 신라도 (신라와 무역. 8세기 개척)




<문화>


- 불상 제작 ==> 이불병좌상

















<발해 포괄 특징 >





2019 경찰2차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5. 발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기후가 좋지 않고 토지가 척박하여 농업은 콩, 보리, 조 등을 재배하는 밭농사 중심이었다.

불교가 장려됨에 따라 여러 불상이 제작되었다.

③ 당을 견제하기 위해 북으로는 거란, 남으로는 일본과 통교하였다.

④ 8세기 전반에는 당과 대립하였으나 8세기 후반부터 친선 관계로 바뀌었다.

[정답] ③

[출제 유형] 통합 – 발해(시대사)

[해설]

남북국 시대의 발해는 

④ 8세기 전반에는 당과 대립(고왕, 무왕)하였으나, 8세기 후반(문왕)부터 친선 관계로 바뀌었으며, 

① 기후가 좋지 않고 토지가 척박하여 농업은 콩, 보리, 조 등을 재배하는 밭농사 중심이었고, 

② 불교가 장려됨에 따라 여러 불상(이불병좌상)이 제작되었다.


[오답풀이]

③ 발해는 당을 견제하기 위해 북으로 거란이 아니라 돌궐과 통교하였다.






2019 9급 서울시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4. 발해의 사회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주민은 고구려 유민과 말갈인으로 구성되었다.

② 중앙 문화는 고구려 문화를 바탕으로 당의 문화가 가미된 형태를 보였다.

③ 당, 신라, 거란, 일본 등과 무역하였는데, 대신라 무역의 비중이 가장 컸다.

④ 유학 교육기관인 주자감을 설치하여 귀족 자제에게 유교 경전을 가르쳤다.

[정답] ③

[정답 해설]

① 발해의 주민은 고구려 유민과 말갈인으로 구성되었는데, 발해의 지배층은 왕족인 대씨와 귀족인 고씨 등 고구려계 사람들이 대부분이었고, 주민 중 다수는 말갈인이었다.

② 발해는 고구려 문화를 계승하고 당의 문물을 받아들여 체제를 정비하였다.

④ 발해에서는 유학 교육을 목적으로 주자감을 설립하여 귀족자제에게 유교 경전을 가르쳤다.


[오답 피하기]

③ 발해의 대외 무역은 주로 당, 일본 등과의 사이에 진행되었다. 발해는 신라와도 신라도를 이용하여 무역하였으나, 당과 일본과의 교역에 비해 그다지 활발하지 못하였다.






2016 9급 교행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4.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왕자대봉예가 당조정에 문서를 올려, (가) 이/가신라보다 윗자리에 자리 잡기를 청하였다. 이에 대해 대답하기를, “국명의 선후는 원래 강약에 따라 일컫는 것이 아닌데, 조정 제도의 등급과 위엄을 지금 어찌 나라의 성하고 쇠한 것으로 인해 바꿀 수 있겠는가? 마땅히 이전대로 할것이다.”라고 하였다.


① 인안, 대흥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② 위화부를 두고 관리 인사 업무를 담당케 하였다.

③ 일본에 보낸 문서에 고려국왕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④ 대부분의 말갈족을 복속시켰고 요동 지역으로도 진출하였다.

☞ 답 ②

제시 사료는 당에서 발해 사신이 신라 사신보다 윗자리에 앉을 것을 요청하다가 거절당한 사건〔쟁장(爭長)사건〕으로 (가)는 발해이다.

② 신라

2017/04/18 -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통일신라, 발해

2017/04/18 -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 중앙,지방제도






2013 9급 서울시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5. 다음 밑줄 친 ‘이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13_9급_서울시)


이 나라에서 만들어진 두 분의 부처가 나란히 앉아 있는 이불병좌상은 고구려 양식을 계승한 것으로 현재 일본에 있으며, 수도인 상경에는 당의 장안의 도로망을 본뜬 주작대로가 있다.


① 말(馬)이 주요한 수출품이었다.

② 거란의 침략을 받아 멸망하였다.

당과 교류하면서 빈공과의 합격자를 배출하였다.

④ 동해를 통해 일본과 무역을 활발하게 전개하였다.

9세기에 들어서 비로소 신라와 상설교통로를 개설하였다.

[ 정답 : ⑤ ]

* 문제해설 : 밑줄 친 ‘이 나라’는 발해이다. 발해의 이불병좌상은 고구려 원오리 절터에서 발견된 불상과 흡사하다.

⑤ 신라도는 8세기 무렵 개설되었다.


* 오답노트 : 

① 말은 발해에서 널리 사육된 가축으로 특히 솔빈부의 말이 유명했다. 말은 발해의 주요 수출품이었다.

② 발해는 10세기 초 지배층의 내분으로 국력이 쇠퇴하였고 926년 거란의 침략을 받아 멸망하였다.

③ 발해는 당에 유학생을 파견하였고 빈공과 급제자는 신라인 다음으로 발해인이 많았으며 오소도, 고원고, 오광찬 등이 있다.

④ 발해는 당과 연결된 신라를 견제하고자 일본과 친선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일본과 무역을 활발하게 전개하였으며 동해안을 지나는 일본도를 통해 일본과 교류하였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통일신라, 발해>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한국문화의 일본전파- 통시적>
























<남북국시대 총괄>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건.. 삼국까지도 포함)

2017 9급 기상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2 (가)~(라)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17. 기상직 9급


(가) 에는 감옥이 없다. 범죄가 있으면 제가들이 의논하여 죽이며 처자는 노비가 되게 한다.

(나) 는 남으로 신라와 접하고 사방이 2천 리이며, 십여만 호가 살고, 병사가 수만 명이다. 풍속은 고구려, 거란과 같고, 문자 및 서책도 발달했다.

(다) 의 관직은 17관등이 있다. 문자와 군사는 중국과 같다. 건강한 남자는 모두 뽑아 군대에 편입시켰으며, 군영마다 대열이 조직되어 있다.

(라) 에는 여덟 씨족의 대성이 있는데 사씨, 연씨, 협씨, 해씨, 정씨, 국씨, 목씨, 백씨이다. 나라의 서남쪽에 사람이 살고 있는 섬이 15군데 있다.


① (가)는 국호를 남부여라고 개칭하였다. 

② (나)에는 무천이라는 제천행사가 있었다.

③ (다)에는 골품제라는 신분제가 존재하였다. 

④ (라)는 김해의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번영하였다.

2 정답 ③ 탐구한국사 p 74

상기 자료에서 (가) 고구려 (나) 구당서 발해전 기록에 의하면발해의 영역은 사방 2천리 였고, 남쪽으로는 신라와 접하고 있다 라고 있다. (다) 신라 (라) 백제

③ 17등급은 신라의 관등이고, 백제는 16관등이고, 고구려는 10➔12➔14관등으로 점차 정비되어갔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 사회 (6두품과 연관되기에 유학도 관련) >>>>>>>>








2015 9급 서울시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3. 남북국시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발해는 일본과 교류하며 무역에도 힘썼다.

② 발해의 무왕은 신라와 연합해 당을 공격하였다.

③ 발해는 신라도라는 교통로를 이용해 신라와도 무역하였다.

④ 장보고는 청해진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무역을 장악하였다.

3. 정답 ②

발해 무왕은 돌궐, 일본 등과 교류하며 당과 신라를 견제하였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통일신라, 발해>






2014 9급 사복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18. 남북국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신라는 백제와 고구려 옛 지배층에게 관등을 주어 포용하였다.

② 신라의 6두품 출신들은 학문과 실무 능력을 바탕으로 정치적 진출을 활발하게 하였다.

③ 발해의 주민 중 다수는 말갈인이었는데 이들은 지배층에 편입되지 못하였다.

④ 발해는 당의 제도와 문화를 받아들였으나 고구려와 말갈의 전통을 유지하였다.

18. 남북국 시대

정답 : ③

정답 분석

③ 발해 주민 중 다수를 차지한 것은 말갈인으로, 이들 중 일부는 지배층이 되거나 자신이 거주하는 촌락의 촌장이 되기도 하였다.

오답 분석

① 신라는 통일 전쟁 과정에서 백제와 고구려의 옛 지배층들에게 신라의 관등을 주어 포섭하였다. 

② 신라중대에 6두품들은 학문적 식견과 실무 능력을 바탕으로 국왕을 보좌하면서 정치적 진출을 활발히 하였다.

④ 발해의 상층 지배층들은 당의 제도와 문화를 수용하였으나, 하층 촌락민들은 고구려나 말갈 사회의 전통적인 생활 모습을 오랫동안 유지하였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통일신라, 발해>








2012 9급 기상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13. 다음 남북국 시대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바르게 묶은 것은?


㉠ 독서삼품과는 골품 위주의 관리 등용을 지양하려는 것이었다.

발해는 외교문서에서 발해를 고려로, 발해왕을 고려왕이라 칭하였다.

㉢ 신라는 통일 이후 상대등의 권한이 약화되고 시중의 권한이 강화되었다.

발해의 수도 이동은 당 세력의 팽창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

㉤ 신라의 9서당은 징병에 의해 조직된 국왕에 직속특수부대였다.


① ㉠㉡㉢ 

② ㉡㉢㉣

③ ㉡㉢㉣㉤ 

④ ㉠㉡㉢㉣㉤

정답: ①

해설

이 시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한 문제입니다. 먼저 ㉠부터 살펴보면 독서삼품과는 원성왕 4년(788)에 설치된 제도로 관리의 선발과 함께 신문왕 2년(682)에 설치되었던 국학을 강화하고자 하는 의도도 있었습니다. 독서삼품과는 국학의 졸업시험으로 이 제도를 통해 형성된 관료층은 6두품이 중심이 되었습니다. 이는 이전의 골품제 위주의 관리 등용을 지양하고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는 정책이었습니다.

㉡은 발해의 고구려 계승의식을 묻는 것으로 발해는 스스로 고려국이라 자칭하기도 하였고, 무왕 때 일본에 보낸 국서(727)에 고구려를 계승했음을 밝히고 우호관계를 제의합니다. 이 외에도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하였음을 알 수 있는 것은 발해 지배층의 다수가 고구려인이라는 것과 발해의 문화가 고구려 문화와 비슷하다는 것이 있습니다. 문화의 예로는 온돌, 무덤의 모줄임양식 등이 있습니다.

㉢에서 상대등은 화백회의의 주재자로서 귀족을 대표하고, 시중은 집사부의 장관으로 신라의 통일 이후의 왕권이 강화됨에 따라 시중의 권한도 같이 강화 되었습니다. 통일기에는 전제왕권이 성립되었기 때문에 상대등으로 대표되는 화백회의의 권한 역시 상대적으로 위축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오답풀이

㉣ - 발해는 총 4번 수도를 옮긴다. ①동모산에서 중경 현덕부(742), ②중경 현덕부에서  상경 용천부(755), ③상경 용천부에서 동경 용원부(758), ④동경 용원부에서 상경 용천부(793)이다. 

발해의 수도 이동에는 정치, 군사, 외교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였다. ①의 이동에서는 고조(대조영), 무왕 때의 무치시대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이었고, ②당시 중국에서 발생한 안록산의 난의 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함이었다. ③의 수도이동은 신라와의 군사, 정치적 대치 상황과 일본과의 원활한 교섭을 위한 조치로 생각되고 있다.

발해의 수도 이동 당시 당의 상황은 안록산의 난으로 혼란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당이 팽창하던 시기라는 설명이 맞지 않다.

㉤ - 서당은 모병에 의해서 조직된 군대로 통일 전부터 있었는데, 신문왕 때 9서당으로 완성되었다. 이들은 왕경(경주)에 주둔하며 국왕에 직속된 특수부대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통일 이후에는 고구려, 백제, 말갈 등 피정복민까지도 포함하여 편성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