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대 중앙,지방제도>

Posted by 기자 =.=
2017. 4. 18. 21:57 한국사/1 전근대 요약
반응형

021 고대국가의 중앙지방제도

고려 (조선)

발해

백제

통신

담당사무

도병마사(의정부)

정당성

정사암

집사부

최고행정기관

이부 ()

좌평

화부

인사 공훈

호부 ()

좌평

재정 공부

예부 ()

좌평

의례 외교

병부 ()

좌평

국방 군사

형부 ()

좌평

좌우방부

형사 노예

공부 ()

사좌평(경비)

장부 예작부

토목 건축



구 분

고 구 려

백 제

신 라

통일신라

발 해

관 등

10여 관등(~, ~사자)

16관등(~, ~)

17관등(~)

17관등(~)

 

중앙관제

내평, 외평, 주부

(내무)(외무)(재정)

6좌평(고이왕)

22(성왕)

병부 등 10

집사부 등 14(신문왕)

36(유교식-독자적 성격)

수 상

대대로

상 좌 평

선거

상대등(선거)

중시(임명)

대내상

막리지

내신좌평

합 의

제가회의

정사암회의

화백회의

화백회의

정당성

수도

5

5(도솔)

6

6(사로 6촌의 전통계승)

상경

지방

5(욕살)

(려근지,도사)

5(방령)

()

5(군주)

()

(현령)

9(총관도독)

(태수)(현령)(촌주),. 부곡

15(도독)62(자사)(현승)

특수구역

3경제

(통구, 평양, 재령)

22담로

(왕족파견)

2소경(사신)

(강릉,충주)

5소경(원주,충주,청주,남원,김해)-사신 파견

5경제

(고구려의 영향)

군사제도

평 시(성주, 족장)

유사시(대모달, 말객)

, 군장이 주관

서당,6

(군주가 주관)

9서당, 10

10

(대장군,장군)

 

귀족합의 기구 변천

삼국시대

발해

고려전기

고려후기

조선전기

조선후기

제가 회의()

정사암회의()

화백 회의()

정당성

도병마사

도평의사사

의정부

비변사

 

고구려 신분구조: (부족장) 호민(경제부유층) 하호(농민) 노비

cf) 고추가(전왕족, 왕비족 등의 왕권버금세력) = 백제(길사), 신라(갈문왕)

 

감찰 기구 변천

사정부() 중정대(발해) 어사대(고려) 감찰사(원간섭) 사헌부(조선) 도찰원(고종) 감사원(현재)

 

역대 최고 교육기관

태학(고구려, 소수림) 국학(, 신문왕) 태학감(경덕왕) 국학(혜공왕)

주자감(발해, 문왕) 국자감(고려, 성종) 성균관(조선)

.


===============================================================

<암기>

발해: 감정 도적 대주자 접사 (감찰-중정대, 도서관-문적원, 대학-주자감, 외빈접대- 사빈시)



===============================================================


주제 10 고대의 통치 체제

1. 제가 회의, 정사암, 화백 회의는 부(部) 대표자 회의에 뿌리를 둔 것이다. (2009년 지방직 7급)

2. 백제의 욕살은 각각 700~1,200명의 군사를 거느렸다. (2010년 경찰정보통신)

3. 무령왕 때 관등제를 정비하고 관복제를 도입하였다. (2011년 법원직 9급)

4. 삼국의 지방 행정 조직은 그대로 군사 조직이었으므로 지방관은 곧 군대의 지휘관이 되었다. (2008년 서울세무직 9급)

5. 신라의 관등은 크게 솔계 관등과 덕계 관등으로 나뉜다. (2010년 국가직 7급)

6. 고구려의 관등은 크게 형계 관등과 사자계 관등으로 나뉜다. (2010년 국가직 7급)

7. 연맹 왕국에서 국가의 중요한 일은 각부의 귀족들로 구성된 회의체에서 결정되었다. (2011년 지방직)

8. 지방군인 9서당은 고구려와 백제의 사람은 물론 말갈족까지 포함하였다. (2009년 서울시 9급)

9. 신라 중대에는 화백 회의의 의장인 상대등보다 왕명에 의해 실제 정무를 처리하는 집사부(집사성)가 최고의 행

정 관부로 중요시되었고, 책임자인 시중의 권한이 보다 강화되었다. (2009년 경찰정보통신)

10. 통일 후 신라는 9주 5소경의 지방 제도를 마련하였으나, 통일 과정에서 강대한 위력을 발휘한 군사력을 확신

하게 되었으므로 군사 제도에는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았다. (2009년 경찰정보통신)

11. 통일 신라의 중앙 정부는 자연촌락에까지 지방관을 파견하여 농민을 통제하였다. (2009년 국가직 7급)




주제 10 고대의 통치 체제 OX 정답 및 해설

1. ( ◯ ) 삼국 초기에 각부의 부족장들이 모여 회의하던 전통에서 제가 회의, 정사암, 화백 회의가 이어져 내려온 것이다. 

2. ( X ) 욕살은 고구려의 지방 장관이다. 백제의 지방 장관은 방령이라고 한다. 

3. ( X ) 관등제 정비와 관복 제도 도입은 3세기 고이왕 때의 사실이다. 

4. ( ◯ ) 삼국의 지방 행정 조직은 그대로 군사 조직이기도 하여, 고구려의 5부 욕살, 백제의 5방 방령, 신라의 5주 군주는 모두 군사지휘관

이었다. 그 밑의 성주 역시 행정과 군사를 담당하였다. 따라서 삼국 시대 국가의 주민 통치는 본질적으로 군사적 지배의 성격을 띠고 있었

다. 

5. ( X ) 신라의 관등은 크게 ~찬의 간군 관등과 그 이하의 관등으로 나뉜다. 솔계 관등과 덕계 관등으로 나뉘는 것은 백제의 관등제이다. 

6. ( ◯ ) 고구려에서 태대형, 조의두대형, 대형, 소형, 제형 등의 형(兄)은 연장자의 뜻으로, 족장의 성격을 지닌 세력이 중앙 집권 국가로 전

환하는 과정에서 그 지위에 상응하는 관등으로 개편된 것이다. 사자, 조의 등은 과거 족장 세력의 신하였다가 중앙관제로 편입된 계층이다. 

7. ( ◯ ) 삼국 초기에는 고구려와 백제의 5부나 신라의 6부가 중앙의 지배집단이 되었다. 따라서 국가의 중요한 일이나 여러 부의 힘을 통합

하여 국가의 동원력을 강화하는 일의 결정은 각부의 귀족들로 구성된 회의체에서 하였다. 

8. ( ◯ ) 신문왕 때 고구려, 백제, 말갈 등의 피정복민까지 포함하여 편성한 9서당을 두었다. 통일 이후 요구되는 삼국민 사이의 상호신뢰와

동질성 회복을 꾀한 것으로도 평가된다. 

9. ( ◯ ) 신라 중대에 집사부는 신라 최고의 행정 관서로 왕정의 기밀사무를 관장하였다. 즉, 위로는 왕명을 받들고, 아래로는 행정을 분장하

는 여러 관부를 거느렸다. 그 장관을 중시라 하였다가 경덕왕 때(747)에 시중으로 바꾸었다. 시중은 진골 출신만이 취임할 수 있었으며 국

왕의 행정적인 대변자 역할을 하였다.

 10. ( X ) 통일 신라는 지방군으로 10정을 설치하였는데 아홉 개의 주마다 1개의 정(停)을 두었다. 그러나 다른 주에 비해 관할 구역이 넓고

군사적으로도 그 중요성인 높았던 한주(漢州)에는 2개의 정을 설치하였다. 

11. ( X ) 통일 신라는 각 지방에 도독을 비롯한 지방관을 파견하였지만, 자연촌락까지 지방관을 파견하지는 못하였다. 자연촌락은 토착 세력

을 촌주로 임명해 국가 대신 농민을 통제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