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고대 사회// 6두품 #6

Posted by 기자 =.=
2018. 4. 8. 14:01 한국사/0 기출 TOPIC 분류
반응형

키워드 

6두품(아직)

최치원 

설총(아직)


========================================================



((중복))

2014 9급 국가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8. 다음과 같은 풍속이 행해진 국가의 사회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그 풍속에 혼인을 할 때 구두로 이미 정해지면 여자의 집에는 대옥(大屋) 뒤에 소옥(小屋)을 만드는데, 이를 서옥(婿屋)이라고 한다. 저녁에 사위가 여자의 집에 이르러 문밖에서 자신의 이름을 말하고 꿇어 앉아 절하면서 여자와 동숙하게 해줄 것을 애걸한다. 이렇게 두세 차례 하면 여자의 부모가 듣고는 소옥에 나아가 자게한다. 그리고 옆에는 전백(錢帛)을 놓아둔다.

- 삼국지 동이전 -


① 고국천왕 사후, 왕비인 우씨와 왕의 동생인 산상왕과의 결합은 취수혼의 실례를 보여준다.

② 계루부 고씨의 왕위계승권이 확립된 이후 연나부 명림씨 출신의 왕비를 맞이하는 관례가 있었다.

③ 관나부인(貫那夫人)이 왕비를 모함하여 죽이려다가 도리어 자기가 질투죄로 사형을 받았다.

④ 김흠운의 딸을 왕비로 맞이하는 과정은 국왕이 중국식 혼인 제도를 수용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정답 ④

제시된 자료는 고구려의 서옥제에 대한 사료이다. 

④ 김흠운은 신라 사람으로 태종무열왕의 사위이며, 신문왕의 장인이다. 신문왕은 김흠운의 딸을 왕비로 맞이하여 효소왕을 낳았다.


① 고구려에는 형사취수제의 풍습이 존재하고 있었는데, 고국천왕의 동생인 산상왕과 고국천왕의 왕후 우씨의 결합은 대표적인 실례이다. 

② 고국천왕 때 왕위 계승이 형제상속에서 부자상속으로 바뀌면서 절노부(연나부)의 명림씨가 왕비족으로 정해졌다. 

③ 관나부인은 관나부 출신의 미인으로 고구려 중천왕에게 왕후 연씨를 모함하였으나 그것이 거짓인 것을 안 중천왕에 의하여 251년 가죽주머니에 넣어져 바다에 던져졌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통일신라 6두품>>>>>>>>>>>>>>.





6두품>>>>>>>>>>>>>


도당유학생, 빈공과

6관등인 아찬까지 승진

학문과 종교분야





2018 9급 서울시(6월)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17. <보기>에서 제시된 인물의 공통점으로 가장 옳은 것은?


<보기>

ㄱ. 김운경 ㄴ. 최치원 ㄷ. 최언위 ㄹ. 최승우


고려 출신으로 당나라에서 유학했다.

② 7세기와 8세기에 활약했던 신라의 대문장가이다.

③ 숙위학생으로 당 황제의 호위무사가 되었다.

당나라의 빈공과에 급제한 후 귀국하였다.

정답 ④

[정답 해설]

④ 통일 이후 신라와 당의 문화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당에 건너가 공부한 유학생들이 증가하였다. 6두품 출신이 대다수였는데, 대표적 인물로는 김운경, 최치원, 최언위, 최승우 등으로 이들은 모두 당나라에 유학하여 빈공과에 급제하였다


[오답 피하기]

① 김운경, 최치원, 최언위, 최승우는 모두 통일신라 출신이다.

② 김운경, 최치원, 최언위, 최승우는 신라 하대 9세기 이후에 활약한 인물들이다.

③ 일반적으로 주변국의 왕족들(진골 귀족)이 숙위 학생으로서 당 황제의 호위무사가 될 수 있었다.





2018 9급 한국사 기상직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2. 다음 밑줄 친 인물이 속한 사회 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태종대왕(太宗大王)이 즉위하자 당의 사신이 와서 조서를 전했는데, 그 가운데 해독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왕이 그를 불러 물으니, 그가 왕 앞에서 한번 보고는 설명하고 해석하는데 의심스럽거나 막히는 데가 없었다.

왕이 놀랍고도 기뻐 서로 만남이 늦은 것을 한탄하고 그의 성명을 물었다. 그가 대답하여 아뢰었다. “신은 본래 임나가량(任那加良) 사람이며 이름은 우두(牛頭)입니다.” 왕이 말했다. “경의 두골을 보니 강수 선생이라고 부를 만하다.” 왕은 그에게 당 황제의 조서에 감사하는 회신의 표를 짓게 하였다. 문장이 세련되고 뜻이 깊었으므로, 왕이 더욱 그를 기특히 여겨 이름을 부르지 않고 임생(任生)이라고만 하였다.

- 삼국사기 -


< 보 기 >

ㄱ. 속현에서 농민들의 실질적인 지배세력이었다.

ㄴ. 학문과 종교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였다.

ㄷ. 신분은 양인이었으나 직역이 천해 사회적 차별이 심하였다.

ㄹ. 6관등인 아찬까지만 승진할 수 있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ㄷ, ㄹ

정답 ③

[자료 분석]

강수는 외교 문서 작성에 뛰어난 재능을 보인 인물로 6두품출신이었다.

[정답 해설]

ㄴ. 6두품은 신분상의 제약으로 오를 수 있는 관직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6관등 아찬) 학문이나 종교 분야에서 업적을 남긴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원효, 강수, 설총, 최치원 등이 있다.

ㄹ. 6두품은 제 6관등인 아찬(阿飡)까지는 올라갈 수 있었으나, 제5관등인 대아찬(大阿飡) 이상의 직위에는 취임할 수 없었다. 이같은 법제적 제약에 대한 6두품의 불만을 무마하기 위해 제6관등인 아찬 위에 중아찬(重阿飡)에서 사중아찬(四重阿飡)까지의 중위제(重位制)를 두기 도 하였다.


[오답 피하기]

ㄱ. 속현에서 농민들을 실질적으로 지배한 것은 고려 시대의 향리이다.

ㄷ. 신분은 양인이나 직역이 천해 많은 차별을 받은 것은 신량역천이다. 고려시대 이래 봉수간(烽燧干)·염간(鹽干)·진척(津尺)·화척(禾尺)·양수척(楊水尺) 등 칭간·칭척자를 신량역천이라 하였다






2017 9급 국가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1. ㉠과 ㉡ 두 인물의 공통된 신분상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 은(는) 신문왕에게 화왕계를 통하여 조언하였다.

○ ㉡ 은(는) 진성여왕에게 시무책 10여 조를 올렸다.


① 관등 승진에서 중위제(重位制)를 적용받았다.

② 중앙 관부의 최고 책임자를 독점하였다.

③ 자색(紫色)의 공복을 착용하였다.

④ 왕이 될 수 있는 신분이었다.

1. 골품제도(6두품) 정답 : ①

㉠은 설총, ㉡은 최치원이다. 

설총과 최치원은 6두품 출신의 인물이다. 

① 6두품이 진출할 수 있었던 관등인 아찬, 대나마, 나마에는 중위가 설정되어 있어 제한된 관등을 넘지 않고도 승진을 계속 할 수 있도록 하였다.


② 진골에 대한 설명이다. 

③ 자색 공복은 진골이 입을 수 있었다. 

④ 성골과 진골에 대한 설명이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 사회 (6두품과 연관되기에 유학도 관련) >>>>>>>





2017 9급 지방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5. 다음 글을 지은 사람들의 공통점으로 옳은 것은?


(가)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문(朗慧和尙白月葆光塔碑文)

(나) 대견훤기고려왕서(代甄萱寄高麗王書)

(다) 낭원대사오진탑비명(郎圓大師悟眞塔碑銘)


① 골품제를 비판하고 호족 억압을 주장하였다.

② 국립 교육기관인 태학(太學)에서 공부하였다.

③ 신라뿐만 아니라 고려왕조에서도 벼슬하였다.

④ 당나라에 유학하여 빈공과(賓貢科)에 급제하였다.

5. 정답 ④

해설 주어진 자료가 모두 처음 출제된 이번 시험에서 가장 어렵게 느껴졌던 문제이다. 즉, 주어진 자료는 통일신라 하대에 활동한 6두품 유학자를 묻는 문제로 각각, 

(가)는 최치원의 4산 비문 중의 하나이고, 

(나)는 견훤의 책사였던 최승우가 견훤을 대신해서 고려왕에게 보낸 서신이며, 

(다)는 왕건의 책사였던 최언위가 쓴 글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신라하대 6두품 출신의 도당 유학생으로 당나라 빈공과에 급제하였다. 흔히, 신라의 ‘3최’라고 불리었다.(필기노트 P.28)


① 신라 하대의 6두품은 골품제를 비판하고 반신라화 되어 호족과 결탁하였다. 

② 태학은 고구려의 교육기관이며, 

③ 최치원은 신라 하대 진성여왕 때 활약하였으며, 최승우는 견훤의 책사였고, 최언위만이 고려왕조에서 벼슬을 하였다.









2016 9급 사복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3. 밑줄 친 ‘이 신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 나라에서는 골품을 따져 사람을 쓰기 때문에 그 친족이 아니면 비록 뛰어난재주와큰공이있어도처음정해진한도를넘지못하였다. 이신분의 경우 두품 가운데 가장 높았지만 17관등 중 제6관등인 아찬까지만 오를 수 있었다. 하지만 성주사지 낭혜화상비에 ‘득난(得難)’이라고 표현되어 있듯이 매우 얻기 어려운 신분이었다.


① 어려서부터 경당에 들어가 유학과 활쏘기를 배웠다.

② 신라 말 호족과 함께 사회 개혁을 추구하기도 하였다.

③ 상좌평에 임명되어 군사와 정사를 도맡아 처리하였다.

④ 중추원에 소속되어 군사 기밀과 왕명 출납을 담당하였다.

☞ 답 ②

밑줄 친 ‘이 신분’은 신라의 6두품이다.

②신라 6두품은 신라중대에는 왕의 정치적 조언자로 활약하였으나,신라 하대(말기)에는 지방 호족과 함께 사회 개혁을 추구하였다.


① 고구려, 

③ 백제, 

④ 고려












진골 >>>>>>>>>>>>>>>>>>>>>>>>>>>>>>>>>>>>




2016 9급 국가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18 다음 자료에 나타난 통일신라시대의 신분층과 연관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그들의) 집에는 녹(祿)이 끊이지 않았다. 노동(奴僮)이 3천 명이며, 비슷한 수의 갑병(甲兵)이 있다. 소, 말, 돼지는 바다 가운데 섬에서 기르다가 필요할 때 활로 쏘아 잡아 먹는다. 곡식을 남에게 빌려 주어 늘리는데, 기간 안에 갚지 못하면 노비로 삼아 부린다.

- 신당서 -


① 관등 승진의 상한은 아찬까지였다.

② 도당 유학생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③ 돌무지덧널무덤을 묘제로 사용하였다.

④ 식읍․전장 등을 경제적 기반으로 하였다.

18. 정답 : ④

제시된 사료와 관련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신분층은 진골귀족에 해당한다.

④ 통일신라의 진골귀족 등은 신라 중대 및 하대의 최상위 신분층으로 신분상 왕실 종친도 포함되기에 식읍을 하사받았으며 직역 수행의 대가로 녹읍 또한 지급받았다. 더불어서 이들은 이외에도 자신들이 소유하고 있는 전장(개인이 소유한 논밭으로 대토지)과 수많은 노비들을 기반으로 풍족하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향유하였다.


① 관등 승진의 상한선이 6관등 아찬이었던 것은 6두품에 대한 설명이다. 진골 귀족은 관등 승진의 제한선은 없었으므로 1관등 이벌찬까지 오를 수 있었다.

② 6두품은 능력이 뛰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신분적 한계로 인해 정치 진출의 제한을 받았으므로 이러한 상황을 타계하고자 도당유학생으로 당나라에 건너가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들은 당나라로 건너가 수학하면서 빈공과에 응시하였다.

③ 돌무지 덧널무덤(적석목곽분)은 4~6세기 마립간 시기의 대표적인 묘제로 문제에 언급된 시기와는 맞지가 않다. 통일신라 시기에는 돌무지 덧널무덤 대신 굴식돌방무덤(횡혈식 석실분)이 주로 조성되었다.






포괄>>>>>>>>>>>>>>>>>>>>>>>>>>>>>>>>>>>>>>>>>>



2014 9급 기상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1. 다음은 신라의 관등제와 골품제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가)는 1등급에서 5등급까지의 관직에만 임용되어 중앙 관청의 장관직을 담당하였다.

② (나)는 삼국통일 후 학문적 식견과 실무 능력을 바탕을 정치적 진출을 활발히 하였다.

③ (다)는 신라 말 농민 항쟁을 주도하면서 지방 호족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④ (라)는 삼국 통일 후 골품으로서의 실질적 의미를 잃고 평민과 동등하게 간주 되었다.

정답 및 해설 : ②

② (나) - 6두품 : 옳은 지문


① (가) - 진골 : 진골은 1등급부터 17등급까지 모두 임명될 수 있었다.

③ (다) - 5두품 : 호족의 출신은 5두품이 아니라, 진골 귀족 · 지방 군진 · 해상 세력 등이다.

④ (라) - 4두품 : 통일 이후, 3두품부터 1두품까지는 평민과 동등하게 취급을 받았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