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권리와 의무
3. 권리와 의무
1. 법률관계에 대한 이해
◇사실관계 - 도덕, 종교, 관습( 교회에 가는 일, 제사를 지내는 일, 교통질서를 지키는 일,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는 일)
◇법률관계 - 법이 규율하는 관계 (재판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관계) - 권리와 의무의 관계로 이루어짐
법률관계의 의미 | 법의 규율 대상이 되는 생활 관계 |
법률관계의 특징 | ․ 권리와 의무의 대응 관계 ․ 권리만 있고 의무가 없는 경우도 있음 예)대리권, 참정권 ․ 의무만 있고 권리가 없는 경우 예)납세의 의무 |
법률관계의 변천 | ․ 중세: 신에 대한 의무 강조 ․ 근대이후: 자유민주주의 발전 → 권리의식과 기본적 인권 중시 - “신분에서 계약으로”(의 무에서 권리로) ․ 현대사회: 복지국가 원리의 대두 → 자유에 수반되는 책임 강조, 권리와 의무 함께 중시: 의무와 권리의 종화 - “계약에서 자유로” |
2. 권리와 의무에 대한 이해
(1)권리: 특정인에게 부여되는 법률상의 힘, 일정한 이익을 누릴수 있도록 법이 인정한 힘
(2)권리의 종류
공권 | 의미 | 공법상 인정된 권리 |
종류 | ․ 국가적 공권: 국가가 국민에 대해 가지는 공밥상의 권리 - 입법, 사법, 행정권 ․ 개인적 공권: 국민이 국가에 대해 가지는 권리 - 자유권, 생활권, 정치권, 청구권 등 | |
사권 | 의미 | 사법상 인정 되는 개인 상호간의 권리 |
종류 | ․ 재산권: 물권, 채권, 지적재산권 등 ․ 비재산권: 인격권, 가족권 등 | |
사회권 | 사회법상의 권리: 노동법, 사회보장법 등 |
(3)의무(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일정한 행위를 요구하거나 금지시키는 법률상의 구속)의 종류
공법상 의무 | 의미 | 공법상 규율에 의하여 구속을 받는 것 |
종류 | ․ 국가의 의무: 재외국민 보호의무, 환경보전 의무 등 ․ 개인의 의무 고전적 의무 - 국방, 납세의 의무 현대적 의무 - 근로, 교육, 환경보존, 재산 권 행사의 의무 | |
사법상 의무 | ․ 사법상의 법률관계에서 발생하는 의무 ․ 당사자간의 자유로운 의사표시에 의하거나 법률의 규정에 의해 발생 함 | |
사회법상 의무 | 노동법, 경제법, 사회보장법상에 규정된 의무 |
권리와 의무의 대응 : 보통, 권리와 의무는 서로 대응(채권, 채무)
의무만 있고 권리가 없는 경우: 등기의무
권리만 있고 의무가 없는 경우: 법정대리인의 동의권, 취소권
3. 권리와 의무의 주체
(1)자연인
의 미 | 출생하면서부터 사망하기 가지의 살아있는 사람 |
출생시점에 관한 학설 | ․ 수태설: 잉태된 시기부터 사람으로 보는 입장 ․ 진통설: 진통이 시작된 때부터 ․ 일부노출설: 모체에서 태아의 일부가 노 출 될 때 ․ 완전노출설: 민법상 통설 ․ 독립호홉설: 분리된후 자신의 폐로 호홉 하기 시작 한 때 |
사망시점에 관한 학설 | ․ 뇌사설: 뇌기능의 상실된 때부터 ․ 심폐기능정지설: 호홉과 심장이 영구적으 로 정지한 시점 |
(2)법인: 사람(사단법인) 또는 재산의 결합체(재단법인)에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법인격을 부여 한 것 → 자연인에 비해 권리행사의 범위가 좁다.
4. 권리의 객체: 권리행사와 의무 이행의 대상
물권의 객체 | 동산, 부동산 |
채권의 객체 | 채무자의 일전한 행위: 급부 |
가족권의 객체 | 일정한 친족관계에 있는 사람 |
지적재산권의 객체 | 정신적 노무에 의한 산물 산업재산권 - 특허권, 실용신안권, 의장권, 상표권 저작권 - 문예, 학술, 미술, 음악 |
인격권 | 신체. 명예. 정조 |
5. 법치국가의 시민상
① 법적관심과 법 지식의 습득 요청 - “법의 무지는 용서 되지 않는다.”
② 자신의 권리를 올바르게 행사하고 법적의무를 성실하게 이행
③ 다른 사람의 권리 존중
④ 법치주의 실현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
'사회 > 1 사문 법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범죄와 형벌, 재판의 원칙과 절차 (0) | 2017.04.10 |
---|---|
8. 행정법과 행정구제제도 (0) | 2017.04.10 |
7. 기본권의 보장 (0) | 2017.04.10 |
6 사회생활과 법 (0) | 2017.04.10 |
5. 민법의 기본원리와 법 문제 (0) | 2017.04.10 |
4.권리 능력과 미성년자의 권리 (0) | 2017.04.10 |
2. 법의 일반원칙과 법의 적용 (0) | 2017.04.10 |
1. 법의 의의와 구조 (0) | 2017.04.10 |
정치 (0) | 2017.03.21 |
법 (0) | 2017.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