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국제법과 국제분쟁
10. 국제법과 국제분쟁
1. 국제법에 대한 이해
(1)국제법과 국제사회
국제법의 의의 | ․ 국가를 구성원으로 하여 성립된 국제사회의 법 ․ 규율대상: 국제사회 및 국제조직, 국가 간의 관 계, 국제조직과 개인 간의 관계 |
국제사회 성격 | ․ 강력한 중앙정부의 부재 ․ 자국의 이익추구 ․ 힘의 논리가 지배 ․ 갈등과 충돌, 대화와 협력이 공존하는 사회 |
(2)국내법과 국제법의 비교
구 분 | 국 내 법 | 국 제 법 |
제정주체 | 국민대표기관인 입법부 | 국가간의 협상이나 합의 |
집행기관 | 행정부→효율적 집행 | 무정부→강력한 집행곤란 |
구속력 | 강함(사법부) | 약함(국제사법재판소) |
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 | 헌법에 의하여 체결, 공포된 조약과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는 국내법과 동일한 효력을 인정함 |
2. 국제법의 법원과 최근의 국제법 동향
(1)법원
조 약 | ․ 국제법 주체 간에 명시된 합의를 통해 문서 형식 으로 제정 된 것 예)한미방위조약 ․ 조약체결권자: 대통령 ․ 효력: 조약을 체결한 당사국만 구속 |
국제관습법 | ․ 국제사회에서 장기간 관행으로 인정되어 법적 효 력을 가지게 되는 법 예)외교관의 면책특권, 포로에 대한 인도적 대우 등 ․ 국가 간의 묵시적 합의로 성립됨, 국제사회의 모 든 구성원들을 구속 |
법의 일반원칙 | 여러 나라의 국내법상 공통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원칙(여러 문명국가에서 승인된 법의 일반원칙) |
(2)최근의 국제법 동향
경제분야의 중요성 부각 | 국제경제법, 국제거래법 등장 |
새로운 분야 등장 | 국제인권법, 해양법, 우주항공법, 지역국 제법 등 |
국가역할 축소 | 비정부기구, 다국적 기업, 국제기구, 개 인의 역할 증대 |
'사회 > 1 사문 법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Ⅳ. 인간과 문화현상의 이해 (0) | 2017.04.10 |
---|---|
Ⅲ. 공동체 생활과 지역 사회 (0) | 2017.04.10 |
Ⅱ. 개인과 사회 구조의 이해 (0) | 2017.04.10 |
Ⅰ. 탐구 대상으로서의 사회 ․ 문화 현상 (0) | 2017.04.10 |
11. 법 생활의 발전과 과제 (0) | 2017.04.10 |
9. 범죄와 형벌, 재판의 원칙과 절차 (0) | 2017.04.10 |
8. 행정법과 행정구제제도 (0) | 2017.04.10 |
7. 기본권의 보장 (0) | 2017.04.10 |
6 사회생활과 법 (0) | 2017.04.10 |
5. 민법의 기본원리와 법 문제 (0) | 2017.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