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9급 지방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Posted by 기자 =.=
2017. 4. 10. 14:49 한국사/00 기출 정답 해설 ----
반응형

2014 9급 지방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PDF





ㅡㅡ

1. 다음 유물이 만들어진 시대의 사회상으로 옳은 것은?


○ 충북 청주 산성동 출토 가락바퀴

○ 경남 통영 연대도 출토 치레걸이

○ 인천 옹진 소야도 출토 조개 껍데기 가면

○ 강원 양양 오산리 출토 사람 얼굴 조각상


① 한자의 전래로 붓이 사용되었다.

② 무덤은 일반적으로 고인돌이 사용되었다.

③ 조, 피 등을 재배하는 농경이 시작되었다.

④ 반량전, 오수전 등의 중국 화폐가 사용되었다.

1. 정답 ③

해설 제시된 사료의 유물들은 신석기 시대에 제작되었다. 

③ 신석기 시대에 처음으로 조, 피 등을 경작하는 농경이 시작되었다. 황해도 봉산 지탑리와 평양 남경 유적에서 탄화된 좁쌀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신석기 시대에 잡곡류를 경작했음을 알 수 있다.

①, ④ 철기시대에는 철기와 함께 명도전, 오수전, 반량전 등의 화폐가 출토되었고, 경남 다호리 유적지에서 붓이 출토되었다. 이를 통해 중국과 경제적,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② 고인돌, 돌널무덤 등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이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려와 조선의 화폐제도-통시적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역사, 선사시대>-------------시작




ㅡㅡ

2. 통일신라시대 민정문서(장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구, 가호, 노비 및 소와 말의 증감까지 매년 작성하였다.

② 토지에는 연수유전답, 촌주위답, 내시령답이 포함되어 있다.

③ 사람은 남녀로 나누고, 연령을 기준으로 하여 6등급으로 구분하였다.

④ 호(戶)는 상상호(上上戶)에서 하하호(下下戶)까지 9등급으로 구분하였다.

2. 정답 ①

해설 ① 통일신라시대의 촌주는 매년마다 해당 촌락의 호구, 인구, 토지, 수목, 가축 등의 변동사항을 조사하여 3년마다 민정문서를 작성하였다. 

② 민정문서에 기록된 토지로는 내시령에게 지급한 내시령답, 관청의 경비를 충당할 목적으로 지급된 관모답, 촌주에게 배당된 일종의  직전인 촌주위답, 농민들의 소유지인 연수유답 등이 있었다. 

③ 민정문서에서 인구는 성별로 나누고, 연령에 따라 6등급으로 구분하였다. 

④ 민정 문서에서 호구는 인정의 다소에 따라 9등급으로 나누고 있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민정문서




ㅡㅡ

3. 밑줄 친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나는 도(道)를 구하는 데 뜻을 두어 덕이 높은 스승을 두루 찾아다녔다. 그러다가 진수대법사 문하에서 교관(敎觀)을 대강 배웠다. 법사께서는 강의하다가 쉬는 시간에도 늘 “관(觀)도 배우지 않을 수 없고, 경(經)도 배우지 않을 수 없다.”라고 제자들에게 훈시하였다. 내가 교관에 마음을 다 쏟는 까닭은 이 말에 깊이 감복하였기 때문이다.


① 해동 천태종을 창시하였다.

② 이론과 실천의 양면을 강조하였다.

③ 교종의 입장에서 선종을 통합하였다.

④ 정혜쌍수로 대표되는 결사운동을 일으켰다.

3. 정답 ④

해설 제시된 사료는 대각국사문집에서 일부 내용을 발췌한 것이다. 대각국사 의천은 송나라에 들어가 여러 고승들을 만나 깨달음을 얻고 고려에 돌아와 해동 천태종을 창시하였다. 

지눌에 대한 내용이다. 지눌은 당시 불교계의 타락을 비판하고 송광사를 중심으로 정혜결사를 만들어 승려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 독경과 선 수행, 노동에 힘쓸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선과 교학이 근본에 있어 둘이 아니라는 사상 체계인 정혜쌍수를 사상적 바탕으로 철저한 수행을 선도하였고, 내가 곧 부처라는 깨달음을 위한 노력과 함께, 꾸준한 수행으로 깨달음의 확인을 아울러 강조한 돈오점수를 주장하였다.

①②③ 의천에 대한 내용이다. 의천은 교종을 중심으로 선종을 통합하기 위해서 해동 천태종을 창시하였고, 이론의 연마와 실천을 같이 강조하는 교관겸수를 사상적 기반으로 삼았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 중세불교 - 조계종과 천태종>>>>>>>>>>




ㅡㅡ

4. 다음 활동을 전개한 단체로 옳은 것은?



평양 대성학교와 정주 오산학교를 설립하였고 민족 자본을 일으키기 위해 평양에 자기 회사를 세웠다. 또한 민중 계몽을 위해 태극 서관을 운영하여 출판물을 간행하였다. 그리고 장기적인 독립운동의 기반을 마련하여 독립전쟁을 수행할 목적으로 국외에 독립운동 기지 건설을 추진하였다.


① 보안회

② 신민회

③ 대한 자강회

④ 대한 광복회

4. 정답 ②

해설 자료의 내용과 같은 활동을 전개한 단체는 애국계몽단체인 신민회이다. 

② 신민회는 1907년에 결성된 단체로 평양에 대성학교와 정주에 오산학교를 세웠으며, 대구에 태극서관과 평양에 자기회사를 설립하였다. 또한 남만주에 신흥강습소를 세우고, 북만주에 밀산부 한흥동을 설립하여 무장 독립 항쟁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① 보안회는 1904년에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에 반대하기 위해서 결성된 단체이다. 보안회의 활동으로 결국 일본은 황무지 개간 요구를 철회시켰다. ③ 대한 자강회는 윤치호, 장지연 등이 중심이 되어 1906년에 결성된 단체로 월보 간행, 연설회 개최 등을 통해 국권 회복을 위한 실력 양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국채보상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결의하였다. 

④ 대한광복회는 1915년에 국내에서 결성된 비밀결사로. 독립군 양성을 위한 군자금 모집, 친일부호 처단 등의 활동을 하였다.

[한국사/1 근현대 요약] - <--- 독립단체, 신민회, 독립군 기지건설, 해외이주>




ㅡㅡ

5. 다음 글을 쓴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른바 3대 문제는 무엇인가. 첫째는 유교계의 정신이 오로지 제왕측에 있고, 인민 사회에 보급할 정신이 부족함이오, 둘째는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천하를 변혁하려 하는 정신을 강구하지 않고, 내가 동몽(童蒙)을 찾는 것이 아니라 동몽이 나를 찾는다는 생각을 간직함이오, 셋째는 우리 대한의 유가에서 쉽고 정확한 법문을 구하지 아니하고 질질 끌고 되어 가는 대로 내버려 두는 공부만을 숭상함이다.


① ‘조선심’의 개념을 중시하고 한글을 그 결정체로 보았다.

② ‘5천년간 조선의 얼’이라는 글을 써서 민족 정신을 고취하였다.

③ 실천적인 새로운 유교 정신을 강조하는 유교구신론을 주장하였다.

④ 3.1운동 때 민족 대표 33인의 한 사람이며, 일제의 사찰령에 반대하였다.

5. 정답 ③

해설 제시된 사료는 1909년 서북 학회 월보에 실린 박은식의 유교구신론에서 일부 내용을 발췌한 것이다. ③ 박은식은 새로운 시대에 맞게 유교를 전승시키려면 양명학을 보급하여 한다고 주장하였고, 여기에 유교의 실천 윤리적 측면을 강조한 유교구신론을 제창하였다.

① 문일평은 민족정신을 조선심으로 보았으며, 근대 대외 관계사를 중심으로 민족 문제를 인식하여 『대미 관계 50년사』를 서술하였다. 

② 정인보는 1930년대에 동아일보에 ‘5천년간조선의 얼’을 연재하여 민족정신을 고취하였으며, 이것이 이후 『조선사연구』로 편찬되었다. 

④ 승려였던 한용운은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명으로 독립선언서를 보완한 공약3장을 작성하기도 하였으며, 총독부에 사찰령의 폐지를 요구하였다.


[한국사/1 근현대 요약] - <근대 교육, 역사, 신문>

[한국사/1 근현대 요약] - <일제 문화정책, 식민사관>


.




ㅡㅡ

6. (가)∼(다)는 고려시대 대외관계와 관련된 자료이다. 이를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가) 윤관이 “신이 여진에게 패한 이유는 여진군은 기병인데 우리는 보병이라 대적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라고 아뢰었다.

(나) 서희가 소손녕에게 “우리나라는 고구려의 옛 땅이오. 그러므로 국호를 고려라 하고 평양에 도읍하였으니, 만일 영토의 경계로 따진다면, 그대 나라의 동경이 모두 우리 경내에 있거늘 어찌 침식이라 하리요.” 라고 주장하였다.

(다) 유승단이 “성곽을 버리며 종사를 버리고, 바다 가운데 있는 섬에 숨어 엎드려 구차히 세월을 보내면서, 변두리의 백성으로 하여금 장정은 칼날과 화살 끝에 다 없어지게 하고, 노약자들은 노예가 되게 함은 국가를 위한 좋은 계책이 아닙니다.”라고 반대하였다.


① (가)→(나)→(다)

② (나)→(가)→(다)

③ (나)→(다)→(가)

④ (다)→(나)→(가)

6. 정답 ②

해설 (나)는 고려사 서희전에서 부분 발췌한 기록으로, 거란의 1차 침입(993) 당시에 있었던 서희-소손녕의 담판에 대한 내용이다. (가)는 고려사절요에서 윤관이 숙종에게 올린 상소문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윤관은 1104년(숙종 9)에 여진족에게 패한 뒤, 그 해 10월에 숙종에게 별무반의 창설을 요구하는 상소문을 올렸다. 이와 같은 윤관의 건의가 수용되어 별무반이 편성되었다. (다)는 고려사에서 부분 발췌한 기록으로, 1232년에 강화도 천도를 논의하고 있을 때 유승단이 올렸던 강화도 천도 반대에 대한 상소문이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려의 대외항쟁>




ㅡㅡ

7. 조선 후기 예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갑인예송에서 남인은 조대비가 9개월복의 상복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② 기해예송은 서인의 주장대로 조대비가 효종을 위해 1년복을 입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③ 기해예송은 효종이 사망하자 조대비가 상복을 3년복으로 입을 것인가, 1년복으로 입을것인가를 둘러싸고 일어났다.

④ 갑인예송은 효종비가 사망하자 조대비가 상복을 1년복으로 입을 것인가, 9개월복으로 입을 것인가를 둘러싸고 일어났다.

7. 정답 ①

해설 효종의 왕위 계승에 대한 정통성 문제와 관련하여 현종 때 2차례 예송이 발생하였고 이 과 정에서 서인과 남인의 대립이 격화되었다. 효종 사후 인조의 계비였던 자의대비 조씨의 복상기간을 놓고 일어난 1차 기해예송(1659)에서 서인은 1년을, 남인은 3년을 주장하였는데, 왕권과 신권의 보편성을 주장하던 서인의 1년설이 채택되었다. 효종비 사후 또다시 조씨의 복상기간을 놓고 2차 갑인예송(1674)이 일어났는데 이때 서인은 9개월, 남인은 1년을 주장하였다. 결국 왕자례부동사서를 주장한 남인의 1년설이 채택되었다. ① 갑인 예송에서 남인은 1년설을 주장하였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2 당쟁의 구체적 전개상 >>>>>>>>>




ㅡㅡ

8. (가) 시기에 볼 수 있는 장면으로 적절한 것은?

               

                 (가)

이인좌의 난   //    규장각 설치


① 당백전으로 물건을 사는 농민

② 금난전권 폐지를 반기는 상인

③ 전(錢)으로 결작을 납부하는 지주

④ 경기도에 대동법 실시를 명하는 국왕

8. 정답 ③

해설 이인좌의 난은 1728년(영조4)에 발생한 사건이며, 정조는 즉위한 해인 1776년에 규장각을 궐내에 설치할 것을 명하였다. 따라서 위 문제는 영조 4년~정조 즉위년 사이에 있었던 역사적 사건을 고르는 것이다. 

③ 1750년에 영조가 균역법을 실시함에 따라 부족한 재정을 보충하기 위해서 결작, 선무군관포, 잡세 등을 거두었다.

① 흥선 대원군은 경복궁 중건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서 당백전을 발행하였다. 

② 1791년에 정조는 신해통공정책을 실시하여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인의 금난전권을 폐지하였다. 따라서 규장각 설치 이후이기 때문에 (가)시기에는 볼 수 없다. 

④ 광해군은 1608년에 경기도에서 대동법을 시범적으로 실시하였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2 당쟁의 구체적 전개상 >>>>>>>>>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조선 후기 정치 변화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조선 군역제




ㅡㅡ

9. 다음 글을 쓴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제 이 도(圖)와 해설을 만들어 겨우 열 폭밖에 되지 않는 종이에 풀어 놓았습니다만, 이것을 생각하고 익혀서 평소에 조용히 혼자 계실 때에 공부하소서. 도(道)가 이룩되고 성인이 되는 요체와 근본을 바로잡아 나라를 다스리는 근원이 모두 여기에 갖추어져 있사오니, 오직 전하께서는 이에 유의하시어 여러 번 반복하여 공부하소서.


① 일본의 성리학 발전에 크게 영향을 끼쳤다.

② 방납의 폐단을 개선하기 위해 수미법을 주장하였다.

③ 노장 사상을 포용하고 학문의 실천성을 강조하였다.

④ 성리학을 중심에 두면서도 양명학의 심성론을 인정하였다.

9. 정답 ①

해설 제시된 사료는 이황이 선조에게 바친 성학십도로, 도식과 해설을 함께 넣어서 군주의 수기와 치인의 실천을 소극적으로 권유한 것이다. ① 이황의 사상은 일본 성리학의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② 율곡 이이에 대한 설명이다. 

③ 노장사상에 포용적이었던 조식은 학문의 실천성을 특히 강조하였고, 경(敬)과 의(義)를 근본으로 삼았다. 

④ 소론 학자들의 학문적 경향에 대한 내용이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이황과 이이 >>>>>>>>>




ㅡㅡㅡ

10. 다음은 일제 강점기 국외 독립운동에 관한 사실들이다. 이를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지청천을 총사령으로 하는 한국 광복군을 창설하였다.

ㄴ.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이상설, 이동휘 등이 중심이 된 대한 광복군 정부가 수립되었다.

ㄷ. 홍범도가 이끄는 대한 독립군을 비롯한 연합 부대는 봉오동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ㄹ. 양세봉이 이끄는 조선 혁명군은 중국 의용군과 연합하여 영릉가 전투에서 일본군을 무찔렀다.


① ㄱ→ㄹ→ㄴ→ㄷ

② ㄴ→ㄷ→ㄹ→ㄱ

③ ㄷ→ㄴ→ㄹ→ㄱ

④ ㄹ→ㄷ→ㄱ→ㄴ

10. 정답 ②

해설 ㄴ. 1914년 이상설, 이동휘 등을 중심으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망명정부인 대한광복군정부가 세워졌다. ㄷ. 1920년 6월,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안무의 국민회군, 최진동의 군무 도독부군 등은 연합 부대를 편성해 봉오동 주변의 야산에서 매복하고 있다가 공격해오는 일본군을 기습하여 크게 격파하였다. ㄹ. 영릉가 전투는 1932년 2월의 일이다. ㄱ. 임시정부는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을 받아 1940년에 충칭에서 지청천(이청천)을 총사령관으로 하는 한국 광복군을 창설하였다. 

[한국사/1 연표모음] - <근현대사 연표>

[한국사/1 근현대 요약] - <--- 독립단체, 신민회, 독립군 기지건설, 해외이주>




ㅡㅡ

11. 삼국시대 금석문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호우총 출토 청동 호우의 존재를 통해 신라와 고구려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② 사택지적비를 통해 당시 백제가 도가(道家)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③ 울진 봉평리 신라비를 통해 신라가 동해안의 북쪽 방면으로 세력을 확장하였음을 알 수있다.

④ 충주 고구려비(중원 고구려비)를 통해 신라가 고구려에게 자신을 ‘동이(東夷)’라고 낮추어 표현했음을 알 수 있다.

11. 정답 ④

해설 중원 고구려비에, 고구려가 신라를 동이(東夷)로 칭하는 동시에 의복을 하사하라는 교를 내리는 내용이 있는데, 이를 통해 스스로를 천하의 중심으로 자부하는 고구려인의 천하관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금석문에 신라가 자신을 ‘동이’라고 낮추어 표현한 적은 없다.

① 청동 호우 즉, 호우명 그릇은 경주의 호우총에서 발견되었다. 청동 호우의 밑바닥에는 “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乙卯年國岡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이라는 명문이 양각으로 새겨져 있는데, ‘국강(國岡) 위에 있는 광개토 대왕릉용 호우’라는 의미이다. 이 호우는 광개토 대왕을 기념하는 의례 행위에 사용하기 위해 고구려에서 만든 것이다. 이를 통해 당시 신라에 대한 고구려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다. 

② 울진 봉평비(법흥왕, 524)는 신라의 영역이 동북 방면으로 확대되어가는 과정에서 울진 지방의 주민들이 반발하자 6부 회의를 열어 군대를 보내 진압하고 관련자들을 처벌한 사건에 대해 기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율령의 존재와 복속민 정책 등을 알 수 있다. 

③ 사택지적비는 좌평을 역임한 사택지적이란 인물이 말년에 늙어가는 것을 탄식하며 인생의 무상함을 이야기하고(도교적 요소), 불교에 귀의해 불당과 탑을 건립하였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비문이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 문화- 고분, 금석문>




ㅡㅡ

12. (가), (나)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가) 살인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은 노비로 삼았다. 도둑질을 하면 12배로 변상케 했다. 남녀 간 에 음란한 짓을 하거나 부인이 투기하면 모두 죽였다. 투기하는 것을 더욱 미워하여, 죽이고 나서 시체를 산 위에 버려서 썩게 했다. 친정에서 시체를 가져가려면 소와 말을 바쳐야 했다.


(나) 귀신을 믿기 때문에 국읍에 각각 한 사람씩 세워 천신에 대한 제사를 주관하게 했다. 이를 천군이라 했다. 여러 국(國)에는 각각 소도라고 하는 별읍이 있었다.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을 매달아 놓고 귀신을 섬겼다. 다른 지역에서 거기로 도망쳐 온 사람은 누구든 돌려 보내지 않았다.

- 삼국지 -


<보 기>

ㄱ. (가)-왕 아래에는 상가, 고추가 등의 대가가 있었다.

ㄴ. (가)-농사가 흉년이 들면 국왕을 바꾸거나 죽이기도 하였다.

ㄷ. (나)-제천 행사는 5월과 10월의 계절제로 구성되어 있었다.

ㄹ. (나)-동이(東夷) 지역에서 가장 넓고 평탄한 곳이라 기록되어 있었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12. 정답 ③

해설 (가)는 부여의 법률에 대한 사료이다. 부여의 법으로는, 살인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 족은 노비로 삼으며, 남의 물건을 훔쳤을 때에는 물건값의 12배를 배상하게 한 것이 전해진다. 또한, 간음한 자와 투기가 심한 부인은 사형에 처하는 일부다첩(一夫多妾)을 옹호하는 내용이 전해지고 있다. (나)는 삼한의 제정분리에 대한 사료이다. 삼한에는 정치적 지배자 외에 제사장인 천군이 있었다. 그리고 신성 지역으로 소도가 있었는데, 이곳에서 천군은 농경과 종교에 대한 의례를 주관하였다. 천군이 주관하는 소도는 군장의 세력이 미치지 못하는 곳으로, 죄인이라도 도망을 하여 이곳에 숨으면 잡아가지 못하였다. 이러한 제사장의 존재에서 고대 신앙의 변화와 제정의 분리를 엿볼 수 있다. ㄴ. 부여에서 가(加)들은 왕을 추대하기도 하였고 수해나 한해를 입어 오곡이 잘 익지 않으면 그 책임을 왕에게 묻기도 하였다. ㄷ. 삼한에서는 해마다 씨를 뿌리고 난 뒤인 5월과 가을 곡식을 거두어들이는 10월에 계절제를 열어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ㄱ. 고구려는 왕 아래 상가, 고추가 등의 대가들이 있었으며 대가들은 사자, 조의, 선인 등 관리를 거느렸다. 

ㄹ.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의하면 부여는 산릉과 넓은 연못이 많아서 동이 지역에서 가장 넓고 평탄했다고 한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 단군, 고조선, 연맹왕국, 가야>




ㅡㅡ

13. 다음 중 해외로 유출된 우리 문화재는?


① 신윤복의 미인도

② 안견의 몽유도원도

③ 정선의 인왕제색도

④ 강희안의 고사관수도

13. 정답 ②

해설 몽유도원도는 1447년(세종 29) 안견의 후원자였던 안평대군이 도원(桃源)을 꿈꾸고그 내용을 안견에게 설명하여 그리게 한 것으로 현재 일본 덴리대학(天理大學)중앙도서관소장되어 있다. ① 미인도는 조선 후기 풍속화가 신윤복의 작품으로, 성북동의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간송미술관은 1966년 전형필의 수집품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민족미술연구소 부설 미술관으로 발족하였다. ③ 인왕제색도는 조선 후기 정선의 진경산수화로, 한남동에 위치한 리움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④ 고사관수도는 조선 초기인 15세기의 문인화가 강희안의 산수도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조선 불교 및 종교, 화가, 과학기술>




ㅡㅡ

14. 조선시대 의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왕실의 행사에 사용된 도구, 복식 등을 그림으로 남겨 놓았다.

② 이두와 차자(借字) 및 우리의 고유한 한자어(漢字語)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이다.

③ 왕실 혼례와 장례, 궁중의 잔치, 국왕의 행차 등 국가의 중요한 행사를 기록하였다.

④ 프랑스 국립도서관에는 신미양요 때 프랑스군이 약탈해 간 어람용 의궤가 소장되어 있다.

14. 정답 ④

해설 의궤는 조선시대 왕실의 주요 행사, 즉 결혼식, 장례식, 연회, 사신영접 등 뿐 아니라, 건축물・왕릉의 조성과 왕실 문화 활동 등에 대해 그림으로 남긴 것으로, 왕실의 생활상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희소성을 가지고 있다. 

④ 병인양요(1866) 때 강화도를 침입한 프랑스군은 강화도의 외규장각을 약탈하여 의궤 등 우리 문화재를 약탈해갔다. 이 때 약탈된 의궤들은 2011년 5년마다 갱신 대여하는 형식으로 반환되었다. 

①② 의궤는 반차도 등 각종 도식을 통해 당시의 복제·의물(儀物) 등 제도 및 풍속적 자료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고, 또한 이두(吏讀)·차자(借字)와 각종 제도어(制度語) 및 한국 한자어(韓國漢字語)를 많이 사용하고 있어 이 방면의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도 한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려대장경, 유네스코 지정유산- 통시적>

[한국사/1 근현대 요약] - <흥선대원군, 위정척사운동, 개화사상>




ㅡㅡ

15. 밑줄 친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우리가 기다리던 해방은 우리 국토를 양분하였으며, 앞으로는 그것을 영원히 양국의 영토로 만들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 나는 통일된 조국을 건설하려다가 38도선을 베고 쓰러질지언정 일신의구차한 안일을 취하여 단독정부를 세우는 데에는 협력하지 아니하겠다.


①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남북 협상을 추진하였다.

② 한국 민주당을 결성하여 미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③ 미국에서 귀국한 후 독립 촉성 중앙 협의회를 구성하였다.

④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를 조직하고 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15. 정답 ①

해설 제시된 자료는 김구의 ‘삼천만 동포에게 읍고함(1948. 2. 10)’이다.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의 입북이 거부되고 유엔 소총회에서 남한만의 단독선거를 결정하는 등 단정 수립이 기정사실화 되어가는 상황에서 단정 수립을 막고자 김구가 발표한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김구는 북한에 정치 지도자 회담의 개최를 제안하였고, 1948년 4월 남북협상이 개최되었다.

①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에 가담하지 않은 송진우, 김성수 등의 우익 세력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지지한다고 선언하고 미군 진주 직후에 한국 민주당을 창당(1945. 9)하였다. ③1945년 10월에 이승만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 민주당, 국민당을 비롯한 2백여 단체가 모여 구성한 협의체로, 총재에 미국에서 귀국한 이승만을 추대하였다. ④ 여운형에 대한 설명이다. 여운형은 1945년 8월 15일 조선 건국 동맹을 모체로 친일 세력을 제외한 각계각층을망라한 좌우 연합의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를 조직하였다.

[한국사/1 근현대 요약] - <해방기, 김구, 이승만, 좌우합작운동,(농지개혁, 반민특위, 6,25)>





16. (가), (나) 국왕의 재위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가) 대조영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영토 확장에 힘을 기울여 동북방의 여러 세력을 복속하고 북만주 일대를 장악하였다.

(나) 대부분의 말갈족을 복속시키고, 요동 지역으로 진출 하였다. 이후 전성기를 맞은 발해를 중국에서는 해동성국(海東盛國)이라고 불렀다.


<보 기>

ㄱ. (가)-수도를 중경에서 상경으로 옮겼다.

ㄴ. (가)-장문휴가 수군을 이끌고 당(唐)의 산둥(山東)지방을 공격하였다.

ㄷ. (나)-‘건흥’ 연호를 사용하고, 지방 행정 조직을 정비하였다.

ㄹ. (나)-당시 국왕을 ‘대왕’이라 표현한 정혜공주의 묘비가 만들어졌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16. 정답 ③

해설 (가) 대조영의 뒤를 잇고, 북만주 일대를 장악한 것은 발해의 무왕이다. (나) 대부분의 말갈족을 복속시키고 전성기를 맞이 하여 해동성국이라 불린 것은 발해의 선왕이다. ㄴ. 무왕은 흑수말갈과 대문예의 송환 문제를 둘러싸고 당과 대립하였다. 그리하여 732년에 장문휴를 보내어 당의 산둥(山東) 지방을 공격하였다. ㄷ. 선왕은 건흥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으며 5경 15부 62주의 지방 행정 조직을 정비하였다. ㄱ. 문왕 때의 일이다. 문왕은 수도를 중경에서 상경, 상경에서동경으로 옮겼다. 성왕 때 동경에서 상경으로 천도한 이후 수도가 바뀌지 않았다. ㄹ. 정혜공주는 문왕의 둘째 딸이며, 정효공주는 문왕의 넷째 딸이다. 두 공주는 모두 8세기에 사망하였기 때문에 선왕(818~830) 때 정혜공주의 묘비가 만들어졌다는 내용은 옳지 않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통일신라, 발해>





ㅡㅡ

17. 다음에서 서술하고 있는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 인물을 중심으로 한 도적 무리는 조선 전기 도적 가운데 그 세력이 가장 컸으며, 명종 14년부터명종 17년까지 주로 활동하였다. 이들이 거점으로 삼았던 지역은 백정들이 많이 사는 지역과 공물이운송되며 사신들의 왕래가 빈번하여 농민들의 부담이 무거웠던 역촌(驛村) 지대 및 주변에 갈대밭이 많은 곳 등이었다. 이들은 이러한 곳을 거점으로 약탈, 살인, 방화를 서슴지 않았다.


① 광대 출신으로 승려 세력과 함께 봉기하여 서울로 들어가려고 하였다.

② 허균이 이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여 정치의 부패상을 비판한 소설을 썼다.

③ 황해도를 중심으로 경기. 강원. 평안. 함경도 주변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④ 대동계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새 왕조를 세우려는 역성혁명을 꿈꾸었다.

17. 정답 ③

해설 명종 때 주로 활동을 하였으며 백정들이 많이 사는 지역(임꺽정은 백정 출신), 공물이 운송되며 사신들의 왕래가 빈번하여 농민들의 부담이 무거웠던 역촌 지대 및 주변에 갈대밭이 많은곳(황해도를 의미) 등에서 주로 활동한다는 내용을 통해 임꺽정임을 알 수 있다. 

③ 조선의 3대도적 중 한 사람인 임꺽정은 황해도를 중심으로 경기, 강원, 평안, 함경도 주변 지역에서 활동하며 의적 행각을 벌였다. 때로는 서울에까지 출몰하며 기세를 높였으나, 1562년 토포사 남치근에 의해 체포된 뒤 서울로 압송되어 사형을 당하였다. 

① 장길산에 대한 설명이다. 장길산은 광대출신으로 숙종 때 서얼, 승려 세력과 함께 봉기하여 거사를 도모하려고 하였다. 

② 허균은 연산군 때 활동한 도적인 홍길동을 주인공으로 하여 정치의 부패상을 비판한 홍길동전을 저술하였다.

④ 정여립에 대한 설명이다. 정여립은 본래 서인이었다가 동인으로 돌아선 인물로 선조 때 대동계를 조직하고, 역성혁명을 꿈꾸었다. 그러나 계획이 탄로나 자결을 하였는데, 이로 인해 많은동인이 피해를 입었다(기축옥사). 

[한국사/1 연표모음] - <조선 연표>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조선 서체, 시, 음악, 후기경향성>





ㅡㅡ

18. (가), (나)는 조선이 외국과 맺은 조약이다. 이와 관련한 설명 중 옳은 것은?


(가) ○ 조선국은 자주국으로 일본국과 평등한 권리를 보유한다.

      ○ 경기, 충청, 전라, 경상, 함경 5도 연해 중에서 통상하기 편리한 항구 두 곳을 택하여 지정한다.

(나) 이 수륙 무역 장정은 중국이 속방(屬邦)을 우대하는 뜻에서 상정한 것이고, 각 대등 국가 간의 일체 동등한 혜택을 받는 예와는 다르다.


① (가)는 ‘운요호 사건’ 이후 체결된 것이다.

② (가)에는 일본 상인의 내지 통상권에 대한 허가가 규정되어 있다.

③ (나)는 갑신정변 이후 체결된 것이다.

④ (나)에는 천주교의 포교권 인정이 규정되어 있다.

18. 정답 ①

해설 (가)는 강화도 조약(1876)의 내용이고 (나)는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1882)의 내용이다. 

일본은 1875년 운요호 사건을 일으킨 뒤 이를 빌미로 우리나라와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였다.

② 일본은 조일수호조규속약(1882)에 따라 간행이정이 50리로 확대되었다(2년 후에는 100리로확대). 이후 조일통상장정(1883)에서 최혜국 대우를 얻음으로써 완전한 내지 통상이 가능해졌다.

③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은 임오군란 이후 청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가운데 체결되어 내지 통상권이 인정되는 등 청 상인의 특권이 강화되었다. ④ 1886년에 체결된 조불수호통상조약에 따라천주교의 포교권이 인정되었다. 

[한국사/1 근현대 요약] - <강화도조약, 미국과의 조약>




ㅡㅡㅡ

19. 다음 선언을 지침으로 삼았던 애국 단체의 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우리는 ‘외교’, ‘준비’ 등의 미련한 꿈을 버리고 민중 직접 혁명의 수단을 취함을 선언하노라. 조선 민족의 생존을 유지하자면 강도 일본을 내쫓을지며, 강도 일본을 내쫓을지면 오직 혁명으로써 할 뿐이니, 혁명이 아니고는 강도 일본을 내쫓을 방법이 없는 바이다.


① 이재명이 이완용을 습격해 중상을 입혔다.

② 나석주가 동양 척식 주식 회사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③ 장인환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외교 고문 스티븐스를 사살하였다.

④ 안중근이 만주 하얼빈 역에서 초대 통감이었던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19. 정답 ②

해설 제시된 자료는 신채호가 작성한 조선혁명선언(1923)이다. 의열단은 조선혁명선언을 지침으로 삼고 일제 요인의 사살 및 식민지배 기구 파괴 등의 활동을 하였다. 

② 의열단원인 나석주는 1926년에 동양 척식 주식 회사와 식산 은행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① 이재명은 1909년에 이완용을 습격하여 중상을 입혔다. 

③ 장인환은 1908년에 샌프란시스코에서 일제의 한반도 지배에 역할을 한 외교 고문 스티븐스를 사살하였다. 

④ 안중근은 1909년 만주 하얼빈 역에서 침략의 원흉인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그리고 재판에 넘겨져 이듬해에 순국하였다.

[한국사/1 근현대 요약] - <- 독립군에서 광복군까지 (20년대 국외)>

[한국사/1 근현대 요약] - <--- 독립단체, 신민회, 독립군 기지건설, 해외이주>




ㅡㅡ

20. 다음은 근대 개혁 방안에 관한 자료이다. 이를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내시부를 없애고 그 가운데서 재능 있는 자가 있으면 뽑아 쓴다.

ㄴ. 왕실 사무와 국정 사무를 모름지기 나누어 서로 뒤섞지 아니한다.

ㄷ. 대한국 대황제는 육해군을 통솔하고 편제를 정하며 계엄과 해엄을 명한다.

ㄹ. 재정은 모두 탁지부에서 전담하여 맡고, 예산과 결산은 인민에게 공포한다.


① ㄱ→ㄴ→ㄷ→ㄹ

② ㄱ→ㄴ→ㄹ→ㄷ

③ ㄴ→ㄱ→ㄷ→ㄹ

④ ㄴ→ㄱ→ㄹ→ㄷ

20. 정답 ②

해설 

ㄱ. 갑신정변(1884)을 일으킨 급진개화파가 주장한 14개조 정강 중 일부이다. 

ㄴ. 1895년에 발표된 홍범 14조 중 일부이다. 

ㄹ. 1898년에 독립협회가 관민공동회에서 결의한 헌의 6조중 일부이다. 

ㄷ. 1899년에 제정된 대한국 국제 중 일부이다.

[한국사/1 연표모음] - <근현대사 연표>

[한국사/1 근현대 요약] - <- 독립협회, 대한제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