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9급 지방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Posted by 기자 =.=
2017. 4. 10. 14:24 한국사/00 기출 정답 해설 ----
반응형

2011 지방직 9급 한국사 해설 현창원.pdf




ㅡㅡ

1. 다음과 같은 주장에 가장 적합한 역사서술은?


역사가는 자기 자신을 숨기고 과거가 본래 어떠한 상태에 있었는가를 밝히는 것을 자신

의 지상과제로 삼아야 하며, 이때 오직 역사적 사실로 하여금 말하게 하여야 한다.


① 궁예와 견훤의 흉악한 사람됨이 어찌 우리 태조와 서로 겨룰 수 있겠는가.

② 건국 초에 향리의 자제를 뽑아 서울에 머물게 하여 출신지의 일에 대하여 자문하였는데,이를 기인이라고 한다.

③ 묘청 등이 승리하였다면 조선사가 독립적, 진취적으로 진전하였을 것이니, 이 사건을 어찌 일천년래 제일대사건이라 하지 아니하랴.

④ 토문 이북과 압록 이서의 땅이 누구의 것인지 알지 못하게 하였으니 (중략) 고려가 약해진 것은 발해를 차지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1. 정답 : ② 통합 한국사 테마 1. 역사서술의 두 경향(P.3)

자료의 내용은 근대 실증사학을 창시한 랑케의 말이다. 랑케는 역사가의 주관을 배제하고, 증거에 입각한 객관적인 역사서술을 주장하였다. 역사서술의 두 경향중 “사실로서

의 역사”가 객관성을 표방한 역사서술이다. ②번이 “사실로서의 역사”의 서술이다. ①,③,④는 역사가의 주관이 들어가 과거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 “기록으로서의 역사” 서술이다.





ㅡㅡ

2. 조선후기 정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초계문신 제도를 실시하였다.

② <속대전>을 편찬하였다.

③ 팔달산 아래에 화성을 건설하였다.

④ 규장각을 강력한 정치기구로 육성하였다.

2. 정답 : ② 통합 한국사 테마 91. 정조의 개혁정치 (P.461)

②번 <속대전>은 영조때 편찬된 법전이다. 정조때는 <대전통편>이 편찬되었다.

①번 초계문신제는 당하관 이하 관리를 재교육에 의해 시험을 거쳐 승진시켰다. 

③ 신도시인 화성을 건설하였으며, 화성 건설에 정약용의 거중기가 사용되었다. 

④ 규장각은 왕실도서관이었지만, 정조에 의해, 비서기능과 문한(공문서 작성)기능을 통합 부여하였으며, 과거시험 주관기능과 문신교육 임무도 아울러 부여하였다.






ㅡㅡ

3. 우리나라의 시대별 토지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신라는 통일 이후에 관료전과 정전(丁田)을 지급하였다.

② 고려후기의 녹과전은 수조권을 지급한 토지에 해당한다.

③ 고려말 과전법에서 과전은 경기 지방의 토지로 지급하였다.

④ 지주제의 한 병태인 병작제는 조선초기에 가장 발달하였다.

3. 정답 : ④ 통합 한국사 테마 17 통일신라왕들의 업적 (P.77~78) 테마 46 고려의 토지제도(P 211) 테마 83 전시과와 과전법(P.406~408)

④번 병작제는 병작반수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전호(소작농)가 지주에게 한해 생산량의1/2를 납부하는 정율지대이다. 과전법체제하에서는 병작반수제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었으나, 수조권을 바탕으로 했던 과전법(직전법)이 사라지게 되자, 양반관리들이 토지의소유권에 집중하게 되면서, 조선 후기에 지주전호제가 가장 발달하게 된다. 따라서 지주전호제하에서의 지대납부 방식인 병작제가 조선후기에 가장 발달할 수밖에 없었다.

① 관료전은 신문왕, 정전은 성덕왕 때 지급되었다. 

② 녹과전은 고려 고종(강화도)과 원종(경기8현)때 녹봉대신에 지급된 수조권이다.

③ 과전법체제하에서 과전은 경기도에 한하여 지급되었다.





ㅡㅡ

4. 고려·조선시대 음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고려시대 향악은 주로 제례 때 연주되었다.

② 고려시대에는 동동, 대동강, 오관산 등이 창작 유행되었다.

③ 조선시대에는 정간보를 만들어 음악의 원리와 역사를 체계화하였다.

④ 조선시대 가사, 시조, 가곡 등은 아악을 발전시켜 연주한 것이다.

4. 정답 : ② 통합 한국사 테마 111 시와 음악의 역사 (P.560~561)

① 고려시대 궁중음악은 향악, 당악, 송악으로 구성된다. 이중 향악과, 당악은 궁중 연회에 불리었다. 고려전기에 들어온 당악인 송악(宋樂)은 여러 차례의 외침(外侵)에도 불구하고 고려후기에도 여전히 연향에서 향악과 대비를 이루며 좌방악·우방악의 관계를유지하면서 존속하였다. 아악은 제사(제례)때 불리었다.

③ 조선시대 정간보는 세종이 창안한 악보이며, 음의 높이와 길이를 정확하게 표현하였다. 음악의 원리와 역사를 체계화 한 것은 성종때 만들어진 악학궤범이다. 

④ 가사, 시조, 가곡 등은 양반들이 부르던 정악이다. 아악은 궁중음악이다.

.




ㅡㅡ

5. 19세기 발생한 농민 봉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몰락한 양반이 민란을 주도하기도 했다.

② 임술 민란은 삼남지방에서 가장 치열하게 일어났다.

③ 홍경래 난의 지도자들은 지방차별 타파를 내세웠다.

④ 민란의 결과 부세제도의 근본적 개혁이 이루어졌다.

5. 정답 : ④ 통합 한국사 테마 94 삼정의 문란과 민란의 발생 (P.471)

④번. 19세기 발생한 홍경래의 난과 임술농민 봉기의 결과 부세제도의 근본적인 개혁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특히 임술농민 봉기 이후 정부에서는,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여 삼정문란을 개혁하려 하였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진 못하였다.

① 19세기 농민봉기는 홍경래와 같은 몰락양반이 주도하였다. 

② 임술민란(임술농민봉기)는 곡창지대인 삼남지방에서 과도한 조세수취에 대한 반발로 많이 일어났다. 

③ 홍경래의 난은 근본적으로 서북지역(평안도) 차별에 대한 반발이었다.





ㅡㅡ

6. 한국 철기시대의 주거 양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부뚜막이 등장하였다.

② 지상식 주거가 등장하였다.

③ 원형의 송국리형 주거가 등장하였다.

④ 출입구 시설이 붙은 ‘여(呂)’자형 주거가 등장하였다.

6. 정답 : ③ 통합 한국사 테마 5 철기시대 (P.24~25)

③ 송국리형 주거는 청동기 유적지인 부여 송국리에서 발견된 주거양식이다. 방형, 장방형의 형태였다. 미송리와 송국리는 벼농사 시작의 증거가 되는 청동기 시대 유적지이다. 

① 신석기 시대의 불의 사용에 대하여 화덕의 위치. 온돌장치의 흔적 등에 관한 많은 이설들이 존재한다. 신석기 시대에 온돌장치라고 하기엔 조금 원시적이지만 화덕의 위치가 가운데 있었다는 불뗀 흔적이 있어서 이를 온돌장치로 해석하기도 한다. 웅기굴포리 서포항 유적지에도 중앙 화덕의 흔적을 발견했다고 한다. 청동기 시대부터는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고 철기시대 벼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에 주거지역에 저장 공간이 필요하게 되면서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화덕의 위치가 한쪽 벽으로 치우치게됩니다. 그래서 솥을 걸기 위한 화덕의 위치도 벽으로 이동하게 되었으며 이것이 발전하여 부뚜막이 나타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부뚜막은 철기시대에 등장하였다. 철기시대 온돌장치가 나타났으며, 온돌을 데우기 위해서는 부뚜막의 구조가 필요하였다. ② 지상식 주거는 철기시대에 등장하였다. 

④ 여자형 집터는 초기철기시대 군장국가인 동예의 대표적인 집터로, 동예는 철자형 집터도 있다.






ㅡㅡㅡ

7. 삼국 초기의 통치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고구려의 5부나 신라의 6부가 중앙의 지배집단이 되었다.

② 각 부의 귀족들은 각자의 관리를 거느렸다.

③ 각 부는 독자적인 대외교섭권을 가지고 있었다.

④ 국가의 중요한 일은 각 부의 귀족들로 구성된 회의체에서 결성하였다.

7. 정답 : ③ 통합 한국사 테마 15 삼국의 세기별 전성기 (P.70)

③ 각 부는 각자의 관리를 거느렸지만 전반적으로는 중앙의 왕에게 통치를 받는 중앙집권체제였습니다. 그래서 대외교섭권과 같은 국가를 대표하는 공식적인 권한들은 왕이 행사하였습니다. 즉 대외교섭권, 군사권과 같은 권한은 국왕이 행사하였다. 

① 연맹왕국에서 중앙집권 국가로 넘어가는 시기 부족(장) 들은 중앙의 지배집단이 되었다. 

② 삼국 초기는 아직 왕권이 미약했기 때문에 종래 부족장 세력이었던 귀족들이 관리를 거느리기도 하였다. 

④ 귀족회의체로 고구려의 제가회의, 백제의 정사암회의, 신라의 화백회의가 있었다.





ㅡㅡ

8. 고려시대의 수공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고려시대의 수공업은 관청수공업, 소(所)수공업, 사원수공업, 민간수공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② 중앙과 지방의 관청에서는 그곳에서 일할 기술자들을 공장안(工匠案)에 등록해 두었다.

③ 소(所)에서는 금, 은, 철, 등 광산물과 실, 종이, 먹 등 수공업 제품 외에 생강을 생산하기도 하였다.

④ 고려후기에는 소(所)에서 죽제품, 명주, 삼베 등 다양한 물품을 만들어 민간에 팔기도 하였다.

8. 정답 : ④ 통합 한국사 테마 47 고려의 경제제도와 대외무역 (P.218)

④ 고려시대 특수행정구역이었던 소는 무신집권기인 공주명학소의 난(망이·망소이의 난)이후 해체되어 갔다. 고려후기 수공업의 중심은 민간수공업과 사원수공업이었다. 소에서는 주로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물품을 생산하는 곳이기에 민간에 판매하지 못했습니다. 

② 고려시대 중앙과 지방에 있던 관청에서는 그곳에서 일할 기술자를 공장안에 올려 물품을 생산하게 하였으며, 농민을 부역으로 동원해 보조하게 하였다. 기술자는 주로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무기류, 가구류, 금은세공품, 견직물, 마구류 등을 제조하였다. 

③ 소에서는 금, 은, 철, 구리, 실, 옷감, 종이, 먹, 차, 생강 등을 생산하여 공물로 납부하였다.





ㅡㅡ

9. 조선후기의 경제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동법의 시행으로 공물 납부는 모두 쌀을 납부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② 영정법을 제정하여 풍흉에 관계없이 토지 1결당 전세를 고정하였다.

③ 사상의 활동은 개성, 평양, 의주, 동래 등 지방도시에서도 활발하였다.

④ 덕대가 노동자를 고용하여 광산을 개발하기도 하였다.

9. 정답 : ① 통합 한국사 테마 77 대동법(P.371.384) 테마 75 조선시대 재정과 세법의변천(P.360) 테마 82 조선시대 상업과 무역활동(P.397)

① 공물은 상공, 별공, 진상으로 구별된다. 대동법의 시행으로, 상공이 전세화하여 미(쌀), 포, 전으로 납부하게 되었다. 그러나 별공과 진상은 여전히 특산물(현물)로 납부케 하였다. 

② 영정법(인조)은 풍흉에 관계없이 1결당 4두로 전세를 고정하였다. ③ 조선후기 사상으로 개성(송상), 평양(유상), 의주(만상), 동래(내상)이 활동하였다.

④ 조선후기 수령수세제(덕대제)는 물주란 자본가가 광산을 설치하는데 자본을 유치하고, 덕대란 전문경영가가 광산을 경영하는 광산운영 방식이다.






ㅡㅡ

10. 다음 정책을 시대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과거제도와 신분제를 폐지한다.

ㄴ. 군대는 친위대와 진위대를 설치한다.

ㄷ. 지방제도는 전국을 23부로 개편한다.

ㄹ. 양전사업을 실시하여 지계를 발급한다.


① ㄱ - ㄴ - ㄷ - ㄹ

② ㄱ - ㄷ - ㄴ - ㄹ

③ ㄴ - ㄹ - ㄱ - ㄷ

④ ㄷ - ㄹ - ㄱ - ㄴ

10. 정답 : ② 

ㄱ. 갑오개혁 1차, ㄷ. 갑오개혁 2차, ㄴ. 을미개혁, ㄹ. 대한제국의 광무개혁






ㅡㅡ

11. 고려시대에 제작된 대장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초조대장경은 거란의 침입 때 부처의 힘을 빌러 적을 물리치고자 만들었다.

② 속장경(교장)은 의천이 경(經), 율(律), 논(論) 삼장의 불교경전을 모아 간행한 것이다.

③ 재조대장경은 몽고 침략으로 초조대장경이 소실된 후 고종 때 다시 만든 것이다.

④ 현재 합천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는 팔만대장경은 재조대장경을 가리킨다.

11. 정답 : ② 통합 한국사 테마 39 고려대장경(P.175)

② 속장경(교장)은 경, 율, 논 삼장의 불교경전을 간행한 게 아니라 그 주석인 장, 소를 모아 간행한 것이다. 

① 초조대장경은 거란의 2차 침입(현종)때 불력으로 적을 물리치고자 만들었다가, 몽고 침입때 소실되었다. 

③ 재조대장경(팔만대장경)은 고종때 몽고의 침략으로 초조대장경이 소실되자, 강화도에서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본사인 강화도, 분사인 남해(진주)에서 조판하였다. 

④ 팔만대장경은 강화도 선원사에 보관되다, 조선시대에 현재 합천 해인사로 이전하였다.






ㅡㅡㅡ

12. 다음 (가), (나)의 주장이 정치적 대립으로 이어진 배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효종은 임금이셨으니 새 어머니인 인조 임금의 계비는 돌아가신 효종에 대해 3년 상복을 입어야 합니다. 임금의 예는 보통 사람과 다릅니다.

(나) 효종은 형제 서열상 차남이셨으니 새 어머니인 인조 임금의 계비는 돌아가신 효종에 대해 1년복만 입어야 합니다. 천하의 예는 모두 같은 원칙에 따라야 합니다.


① 왕이 직접 나서서 환국을 주도하였다.

② 서인이 우세한 가운데 남인의 세력이 성장하였다.

③ 왕권 강화와 신권 강화에 대한 입장 차이가 있었다.

④ 효종의 왕위 계승의 정통성 문제와 관련이 있었다.

12. 정답 : ① 통합 한국사 테마 86 당쟁의 구체적 전개상(P.428)

(가),(나)는 현종 때 1차 예송논쟁인 기해예송에 관한 것으로, (가)는 남인의 주장,(나)는 서인의 주장이다. 예송논쟁은 인조의 계비인 자의대비가 효종 사망 후 상복을 얼마나 입어야 하는가의 논쟁이다. 그러나 이 문제는 효종의 왕위계승의 정통성과도 관련된 문제로, 남인은 왕권을 강화하는 측면에서 3년 상복을, 서인은 신권을 강화하는 측면에서 1년 상복을 주장하였다.

① 왕이 직접 나서서 환국을 주도했던 것은, 숙종 때 환국정치이다. ② 인조반정이후, 현종때까지 서인이 우세한 가운데 남인이 세력이 성장하였다. 

③ 당시 남인은 왕권강화를, 서인은 신권강화를 주장하였는데 이것이 예송논쟁과 연결되었다. 남인은 왕사례부 동사서를 주장하여, 왕실의 예법이 일반 사대부의 예법과 다르다며, 3년 상을 주장했고, 서인은 천하동례를 주장하며, 왕실의 예법과 일반 사대부의 예법이 같다며, 1년 상을 주장하였다. 

④ 효종(봉림대군)은 인조의 둘째아들(차자)로 원래 첫째 아들인 소현세자의 아들이 적자로써 왕위를 계승해야 했지만, 인조의 명으로 즉위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 서인은 효종의 왕위 계승이 잘못되었고, 소현세자의 아들의 즉위가 정당하다고 생각하였다. 이와 반대로 남인은 효종이 차자로써 즉위했지만, 왕위를 계승했기 때문에 적자로 불수 있다며 효종의 왕위 계승을 옹호하였다.





ㅡㅡ

13. 다음과 같은 조항을 직접 포함하고 있는 것은?


◦ 남과 북은 서로 상대방의 체제를 인정하고 존중한다.

◦ 남과 북은 상대방에 대하여 무력을 사용하지 않으며, 상대방을 무력으로 침략하지 아니한다.


① 7·4 남북 공동 성명

② 남북 기본 합의서

③ 6·15 남북 공동 선언

④ 10·4 남북 정상 회담

13. 정답 : ② 통합 한국사 테마 180 통일을 위한 노력(P.995)

자료의 조항은 1991. 12월 조인된 남북기본 합의서(남북한 화해와 불가침·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서)의 내용 중 남북한 화해에 관련된 조항이다. 남북기본 합의서에서는 쌍방사이의 관계가 나라와 나라 사이의 관계가 아닌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잠정적으로 형성되는 특수 관계라는 것을 인정하였다.







ㅡㅡㅡ

14. 다음은 1945년부터 1950년까지 발생했던 한국현대사의 역사적 기록이다.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미국, 소련, 영국의 외상들이 삼상회의를 개최하고 ‘한국 문제에 관한 4개항의 결의서’(신탁통치안)를 결정하였다.

ㄴ. 남한에서는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의 감시 아래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ㄷ.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고 민족정기를 바로잡기 위해 <반민족 행위 처벌법>을 제정하였다.

ㄹ. 북한은 38도선 전 지역에 걸쳐 남침을 감행하였다.


① ㄱ - ㄴ - ㄷ - ㄹ

② ㄱ - ㄴ - ㄹ - ㄷ

③ ㄱ - ㄷ - ㄴ - ㄹ

④ ㄴ - ㄱ - ㄷ - ㄹ

14. 정답 : ① 통합 한국사 테마 159 광복기의 국제회의(P.876, 879) 테마 163 반민족행위자 처벌(P.893) 테마 168 6. 25 전쟁(P.925) 등

ㄱ. 1945. 12월 모스크바 3상회의가 개최 되었다.

ㄴ. 1948. 5월 10일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의 감시 아래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ㄷ. 1948. 10월 반민족행위 처벌법을 제정하였다.

ㄹ. 1950. 6월 25일 한국전쟁이 북한의 남침으로 발발하였다.






ㅡㅡ

15. 일제 강점기 만주 연해주 등지에서 행해진 무장 독립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은?


① 홍범도의 대한독립군은 봉오동 전투에서, 김좌진의 북로군정서군은 청산리 전투에서 크게 승리하였다.

② 연해주의 자유시로 이동한 독립군은 적색군에 의해 무장해제를 당하였다.

③ 독립군의 통합운동으로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가 조직되어 각각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④ 1930년대 초 만주에서의 독립 전쟁은 한국 독립군과 조선 혁명군이 중심이 되어 추진되었다.

15. 정답 : ③ 통합 한국사 테마 158 독립군에서 광복군까지(P.865)

③ 자유시 참변이후, 참의부(1923∼27, 육군주만 참의부, 임시정부 직속, 민정과 군정관할), 정의부(1925∼27), 신민부(1925∼27, 자유시참변 이후, 소련영토에서 되돌아온 독립군중심)와 같은 민정부 또는 군정부가 만주에서 만들어 졌다.

① 봉오동 전투에는대한독립군, 국민회군, 군무도독부군이 참여하였다. 청산리 대첩에는 북로군정서가 참여하였다. 

② 간도(경신)참변이후 독립군은 대한독립군단(총재 서일)을 만들어, 소련령자유시로 이동하였으나, 적군에 의해 무장해제를 당하는 자유시 참변을 겪게 되었다.(1921) 

④ 1920년대 말 3부의 통합운동으로 조선혁명군과 한국독립군이 결성되었다.1931년 만주사변이 발생하자, 항일 한중연합군이 결성되었는데, 한국독립군은 중국 호로군과 대전자령, 사도자하, 쌍성보, 동경성 전투에 승리를 거두었고, 조선혁명군은 중국 의용군과 영릉가, 흥경성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ㅡㅡ

16. 우리나라의 토기 및 도자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신라 토기는 규산(석영) 성분의 태토를 구워 만드는데, 유약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② 고려청자는 물에는 묽어지고 불에는 굳어지는 자토로 모양을 만들고 무늬를 새긴 후 유약을 발라 대략 1,250도∼1,300도 사이의 온도로 구워서 만든다.

③ 분청사기는 청자에 백토의 분을 칠한 것으로, 서민문화가 발달하는 조선후기에 성행하였다.

④ 조선 백자는 규산(석영)과 산화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한 태토로 모양을 만들고 그 윙유약을 발라 대략 1,300∼1,350도에서 구워 만든다.

16. 정답 : ③ 통합 한국사 테마 104 조각, 공예품의 역사(P.526)

분청사기는 청자에 백토의 분을 칠한 것으로, 고려말에서 조선초기(15세기)에서 유행한도자기로 청자에서 백자로 넘어가는 과도기 작품이다. 관청이나 궁궐에서 사용된 소박한 형태의 도자기이다.







ㅡㅡ

17. 고려시대의 정치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관부         장관                 특징

ㄱ  문하시중      (종1)          정치의 최고관부로서 재부라고 불리움

ㄴ  판원사         (종2)         왕명출납, 숙위, 군기(軍紀)

ㄷ   판사         (재신 겸)      국방, 군사문제의 회의 기관

ㄹ   판사         (재신 겸)       법제, 격식문제의 회의 기관


① ㄱ의 관직은 2품 이상의 재신과 3품 이하의 낭사로 구분되었다.

② ㄱ과 ㄴ의 고관인 재추들이 모여 국가의 중대사를 협의·결정하는 기구가 ㄷ과 ㄹ이었다.

③ ㄷ은 고려후기에 이르러 국가의 모든 정무를 관장하는 최고기구로 발전하였다.

④ ㄷ은 당의 관제를, ㄹ은 송의 관제를 본 딴 것이었다.

17. 정답 : ④ 통합 한국사 테마 42 고려의 중앙관제(P.190)

ㄱ. 중서문하성 ㄴ. 중추원, ㄷ. 도병마사 ㄹ.식목도감

④ 도병마사와 식목도감은 고려의 독자적인 관청이었다. 

① 중서문하성은 2품이상의 재신과 3품 이하의 낭사로 구성되었다. 

② 중서문하성과 중추원의 고관인 재신과 추신이모여 국가 중대사를 협의했던 기구가 도병마사와 식목도감이다. 

③ 도병마사는 고려후기 충렬왕 때 국가의 모든 정무를 관장하는 도평의사사로 발전하였다.






ㅡㅡ

18. 조선후기의 학문과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허목은 중농정책의 강화, 부세의 완화, 호포제 실시 반대 등을 주장하였다.

② 호락 논쟁은 인성과 물성이 같다고 주장하는 노론과, 다르다고 주장하는 소론 사이의 논쟁이다.

③ 이익은 나라를 좀먹는 악폐로 노비제도, 과거제도, 양반문벌, 사치와 미신, 승려, 게으름등을 들었다.

④ 민족의 전통과 현실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면서 우리의 역사, 지리, 국어 등을 연구하는국학이 발달하였다.

18. 정답 : ② 통합 한국사 테마 96 중농학파와 중상학파(P.479) 테마 86 당쟁의 구체적 전개상(P.423)

②번 호락논쟁은 노론 내부에서 발생한 논쟁으로, 낙론은 인물성동론을, 호론은 인물성이론을 주장하였다. 

① 허목은 남인의 영수로, 서인이 추구했던 경장책(서얼허통, 노비속량 등)을 반대하고 조선의 성리학과 지주중심의 봉건질서(신분질서)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남인은 영남지방의 지주층으로 중농정책을 강화하고자 하였고, 양반에게도 군포를 부과시키고자 하는 호포제 실시를 반대하였다. 

③ 이익은 나라를 좀먹은 6가지 좀으로, 노비제도, 과거제도, 양반문벌, 사치와 미신, 승려, 게으름을 들었다.






ㅡㅡ

19. 대한제국의 개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근대적인 재정일원화를 위해 내장원의 업무를 탁지부로 이관하였다.

② 구본신참의 개혁 방향을 제시하고, 대한국 국제를 제정하여 황권을 강화하였다.

③ 상공업 진흥책을 펼쳐 황실 스스로 공장을 설립하거나 민간회사 설립을 지원하였다.

④ 황제가 군권을 장악하기 위해 원수부를 설치하고 황제를 호위하는 군대를 증강하였다.

19. 정답 : ① 통합 한국사 테마 131 대한제국과 광무개혁(P.694)

대한제국은 황제권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광무개혁을 추진하여, 탁지부에서 관할하던 재정을 궁내부 소속 내장원에 이관하여 재정을 황실에 집중시켜 황권을 강화케 하였다. 

② 옛것을 근본으로 하여 새로운 것을 참조하자는 구본신참의 개혁방향을 제시하였고, 1899년 교정소에서 대한국 국제를 제정하여, 모든 권한을 황제로 집중시켰다.






ㅡㅡ

20. 다음 표는 항일의병의 전투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표에 나타난 시기의 의병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연도             전투 횟수        참가 의병수

1907(8월 - 12월) 323           44,116

1908               1,452          69,832

1909                898            25,763

1910                147             1,891

1911(1월∼6월)     33              216


① 해산된 군인의 합류로 전투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② 일본의 ‘남한 대토벌 작전’으로 인해 의병 투쟁은 크게 타격을 받았다.

③ 전국의 의병부대가 연합전선을 형성하여 서울 진공 작전을 시도하였다.

④ 평민출신 의병장인 신돌석이 등장하여 호남지역에서 유격전을 벌였다.

20. 정답 : ④ 통합 한국사 테마 116 한말의병에 관하여(P.595)보기의 표는 정미의병과 관련된 표이다. ④번 신돌석이 등장한 것은 정미의병 때가 아니라 을사의병 때이며, 신돌석은 강원도와 경상북도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① 정미의병은 고종퇴위와 정미7조약의 군대해산으로 발생하였다. 이때 해산된 군인들이 의병에 참여하여, 의병의 전술과 조직, 화력이 강화되었다. 

② 1909년 일제는 의병이 많이 있었던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남한대토벌 작전을 실시하여 의병에 큰 타격을 주었다. 

③ 1907년 전국 의병 연합전선인 ‘13도창의군’이 양주에서 결성(총대장 이인영)되어, 군사장 허위를 중심으로 서울진공작전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총대장 이인영이 부친이 사망하자 집으로 돌아가 구심점을 잃고 실패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