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일신라, 발해>

Posted by 기자 =.=
2017. 4. 18. 21:56 한국사/1 전근대 요약
반응형

신라의 시대구분

구 분

삼국유사

삼국사

왕권장악

수 상

정 치 형 태

박혁거세~지증왕

상고

상대

성골독점

상대등

귀족연합 정치(화백회의)

상대등 지위 강대

법흥왕~여왕

중고

무열왕~혜공왕

하고

중대

무열계

진골

집사부

중시

(시중)

전제왕권 강화, 집사부 시중 권한강화

화백회의 기능약화, 상대등 권한약화

6두품 사회진출 활발 (집사부시랑)

선덕왕~경순왕

하대

내물계

진골

상대등

귀족 연합정치 재연, 왕위쟁탈전,

6두품세력의 몰락(신라비판세력화)

[삼국유사]는 불교식 왕명을 중심으로, 앞의 역사를 상고뒤의 역사를 하고로 구분

[삼국사기]는 왕의 혈통을 기준으로, 상대중대하대로 구분

 

 

백제와 고구려의 부흥운동

 

백제 부흥운동

고구려 부흥 운동

운동자

도침,복신(주류성한산)

지수신,흑치상치(임존성)

왕자 풍을 왕으로 추대

안승(한성), 검모잠(재령한성)

고연무고연수(오골성)

보장왕의 서자 안승을 왕으로 추대

식민관청

웅진도독부(664)

(신라가 소부리주 설치(671)

백제에 대한 지배권 확립)

안동도호부(668)-설인귀

과 정

200여 성을 회복

왜의 수군이 백제 지원(백강 입구까지 진출)

당 연합군에 진압 부흥 실패

평양성 탈환

신라의 도움을 받았으나 실패


신라 왕의 칭호 거서간: 정치적 군장의 출현(군장)

차차웅: 정치적 군장과 제사장의 기능이 분리되면서 차차웅의 칭호 생성(제사장)

이사금: 철기를 가지고 온 석탈해 집단의 등장으로, 김의 3부족이 연맹하여 교대로 선출(연장자)

마립간: 김씨가 왕위 세습권을 독점하면서 왕권강화를 표시하기 위해 호칭변경(대수장)

: 부자 상속제와 6부를 개편하여 중앙집권화를 추진하면서 중국식 왕호사용


신라 토지제도의 변화 * 녹읍(관직의 대가)식읍(공로의 대가) 수조권 + 역징발권 귀족중심

1. 통일전: 녹읍(귀족) 귀족들은 백성들에게서 조세와 공물을 징수하고 노동력까지 마음대로 징발

2. 신문왕: 녹읍폐지식읍제한, 관료에게 녹봉대신에 주던 토지로 관료전 지급(수조권만 인정) 왕권 강화

3. 성덕왕: 정전지급 왕토사상에 기초하여 일반 백성에게 토지 지급, 국가의 역역파악 강화의미 왕권 더욱 강화

4. 경덕왕: 녹읍 부활, 귀족 권력 다시 강화 왕권 약화

 .





018 발해사 연구 (~ 020)

1. 698년 고구려 장군 대조영이 동모산 돈화에서 건국하고 국호를 으로 칭함 926 거란에 멸망




2. 발해에 관한 기록 [제발해 조아동동]

- 구당서(발해말갈전, 대조영이 고구려 출신이라 서술), 신당서(발해전, 대조영을 말갈인으로 서술)

- 제왕운기(이승휴): 최초 발해사 연구, 서사시로 구성

- 발해고(유득공): 신라 발해 南北國 주장, 발해사만 다룬 최초사서

- 해동역사(한치윤): 발해를 고,,,고려와 같은 비중으로 다룸

- 조선상고사(신채호): 발해, 신라 양국시대론

- 아방강역고(정약용): 발해사를 우리민족사로 다룸

- 동사강목(안정복): 삼국사기를 읽고 北國이 발해임을 밝혀냄, 삼한정통론 주장(이익, 안정복)

- 동사(이종휘): 단군 기자 삼한 후조선 본기와 따로<세가>편을 서술하면서 발해세가를 기자 부여 가야세가와 더불어 입전시킴




3. 발해가 우리민족이 세운나라 라는 증거

일본에 보낸 외교문서(무왕: 고구려와 부여를 계승한 국가로 선언, 문왕: 고려국왕 대흠무라 표기)

당과 신라는 발해를 고구려의 후신국가로 인식

발해기록 역사서(구당서, 신당서)

지배층의 구성: 지배층(고구려인), 피지배층(말갈인) * 국민의 구성×, 연호의 사용×

문화의 유사성 (굴식돌방무덤(정혜공주묘), 불상(이불병좌상), 온돌)

 



4. 발해의 대외관계

돌궐: 친교(교류) 

일본: 친교(교류) 신라 견제 목적, 발해가 적극적

: 초기(무왕) 적대, 후기(문왕) 친교 

신라: 친선과 대립의 교차

* 발해 5: 영주도조공도(), 일본도(), 거란도(거란), 신라도(신라)

#동경용천부가 일본도의 시발



5. 발해의 당적요소와 고구려적 요소

당적요소

3성 6부(정당성 아래 6부) / 주작대로 / 1562/ 10/ 관등제 / 동경성축조 / 잠자는미녀상 46변려체 / 정효공주묘(벽돌무덤, 벽화O)

고구려적요소

5경제 / 궁전지의 온돌장치 / 천장의 모줄임 구조 사원지의 불상양식 /

와당의 연화문 / 석등 / 발해성터 / 발해음악 / 정혜공주 묘(굴식돌방, 벽화X)

발해의 자주적인 성격

당의 빈공과에 합격 / 연호사용 / 고구려 계통의 유물이 많음

36부의 운영방식이 당과 다름(유교식명칭, 정당성중심의 집행기구 중심)




 

6.발해의 위대한 왕들

고왕(대조영)

천통//동모산/발해군왕

고천진동발

무왕(대무예 8c)

인안/장문휴(당의 덩저우 공격)/발해관/확장

무인장발확장

문왕(대흠무 8c)

대흥/신라도/상경//주자감/주작대로/독립(고려국왕)

문대도상당주자고

선왕(대인수 9c)

건흥/신라/지방제도/해동성국/영토최대()

건신지해

* 문왕때의 도읍이동: 동모산 중경 상경 동경(동쪽으로 국력신장)

성왕(8C, 대화여): 마지막 상경천도, 중흥이라는 연호사용

* 남북국 비교: 발해건국 698(신라 효소왕), 무왕(성덕왕), 문왕(경덕혜공선덕), 선왕(하대)

* 성덕왕때 당의 요청으로 신라는 발해를 공격하여 대립, 후에 문왕대 신라도를 개설하여 교류

 

7.부흥운동 (* 장안국: 신라하대 김헌창의 난때 일시 건국된 나라)

- 열만화의 정안국, 흥료국, 대발해국, 대원국, 오사국, 고욕의저항 동란국(거란이 발해고지에 세움)

.


===================================================================
1. 통일 이후 문무왕 때는 귀족들에게 식읍이 지급되었다. (2012 지방직 9급)
2. 성덕왕 21년(722) 처음으로 백성에게 정전을 지급하였다. (2010년 서울시 9급)
3. 경덕왕 16년 녹읍 제도의 부활은 귀족의 권한이 강화되었음을 의미한다. (2008년 선관위)


1. ( ◯ ) 문무왕은 신라의 통일 과정에서 공을 세운 김유신 등에게 많은 식읍을 지급하였다. 
2. ( ◯ ) 722년, 성덕왕 때 일반 백성에게 정전을 지급하여 국가의 토지 지배력을 강화하였다. 정전의 지급은 백성의 사유지를 국가적으로 공인한 것으로 본다. 
3. ( ◯ ) 녹읍은 귀족 관료에게 지급하는 땅으로 귀족들이 농민들로부터 직접 조세, 공물, 역 등을 거둘 수 있었다. 녹읍은 국가 재정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신문왕 때 폐지되었다가 경덕왕 때 부활되었다. 녹읍의 부활은 왕권의 약화와 귀족 권한의 강화를 의미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주제 9 남북국 시대의 정치 변화

1. 신문왕 때 김흠돌 모역 사건을 계기로 귀족 세력을 숙청하였다. (2010년 법원직 9급)

2. 신문왕은 9주 5소경 체제의 지방 행정 조직을 완비하였고 녹읍을 폐지하였다. (2012년 경찰정보통신)

3. 신라 말기에 중앙 정부의 지방 통제력이 약화되었다. (2007년 세무직 9급)

4. 신라 하대에 6두품 세력은 왕권 강화를 시도하는 국왕과 결탁하여 진골 귀족에 도전하였다. (2011년 기상직 9급)

5. 장보고는 청해진을 설치하고 남해와 황해의 해상 무역권을 장악하였다. (2009년 국가직 9급)

6. 신라 말에 유행한 선종의 대표적인 종파로 9산 선문이 있다. (2007년 세무직 9급)

7. 견훤은 900년에 무진주에서 후백제를 건국하였다. (2012년 지방직 9급)

8. 견훤은 골품제에서 벗어나 광평성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관제를 마련하였다. (2006년 국가직 7급)

9. 궁예는 901년에 송악에서 후고구려를 건국하였다. (2012년 지방직 9급)

10. 왕건은 궁예와 마찬가지로 고구려 계승을 표방, 국호를 고려라 하였다. (2006년 국가직 7급)

11. 후삼국 시대에 왕건이 궁예를 축출하고 왕위에 추대되어 고려를 세웠다. (2006년 국가직 7급)

12. 대조영은 길림성의 돈화시 동모산 기슭에서 발해를 건국하였다. (2012년 경찰간부후보)

13. 발해는 건국 직후 신라에 사신을 파견하기도 했지만, 732~733년 전쟁 이후로는 신라와 교류하지 않았다. (2007

년 국가직 7급)

14. 발해 무왕 때 5경 15부 62주의 행정 제도가 완비되었다. (2013년 지방직 9급)

15. 발해 무왕 때 북만주 일대를 차지하고 산둥의 등주를 공격하였다. (2013년 지방직 9급)

16. 발해 무왕 때 수도를 중경에서 상경, 동경으로 옮겨 중흥을 꾀하였다. (2013년 지방직 9급)

17. 선왕 때 남쪽으로 신라와 국경을 접할 정도로 넓은 영토를 차지하였다. (2012년 국가직 7급)

18. 발해는 당의 제도를 수용하였으나 명칭과 운영에서 독자성이 나타난다. (2013년 9급 기상직)

19. 발해는 좌사정과 우사정이 각각 3부씩 나누어 맡는 이원적 통치 체제를 운영하였다. (2013년 9급 기상직)

20. 발해는 선조성과 중대성의 장관이 국정을 총괄하였다. (2013년 9급 기상직)

21. 발해의 주민은 고구려인과 말갈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012년 경찰 1차)

22. 발해는 당나라에 유학생을 파견하여 빈공과의 급제자를 배출하였다. (2008년 지방직 9급)

23. 발해는 당과 신라의 협공으로 인한 고립을 피하기 위해 일본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다. (2008년 지방직 9급)

24. 일본에 보낸 국서에서 발해가 고구려 계승국임을 표방하였다. (2010년 국가직 7급)

25. 발해는 인안, 대흥 등 연호를 사용하였다. (2012년 법원직 9급) 

추가 문제

26. 궁예는 국호를 대동방국을 뜻하는 마진으로 정하면서 수도를 송악으로 하였다. (2006년 국가직 7급)

27. 견훤은 경주를 공격하여 경애왕을 살해하였다. (2006년 국가직 7급)

28. 발해 무왕 때 길림성 돈화 부근 동모산 기슭에서 나라를 세웠다. (2013년 지방직 9급)

29. 신라와의 국경 지대에 발해관이 설치되었다. (2009년 경찰정보통신)

30. 발해는 일본과는 서경압록부를 통해 여러 차례 사신이 왕래하였다. (2012년 국가직 9급)



주제 9 남북국 시대의 정치 변화 OX 정답 및 해설

1. ( ◯ ) 신문왕이 즉위하던 해(681)에 왕의 장인인 김흠돌이 반역을 일으켰으나 실패했다. 김흠돌은 주살되고 그의 딸은 폐출되었으며 많은

귀족들이 숙청되어 왕권 전제화의 계기가 되었다. 

2. ( ◯ ) 신문왕 때 옛 백제 영토에 3주, 신라 영토에 3주, 옛 고구려 남쪽 지역에 3주를 두어 전국을 9주로 나누었다. 수도 천도를 꾀하였으

나 실패하였고, 5소경제를 완비하여 수도가 동남쪽으로 치우친 것을 보완하고 지방 세력의 성장을 감시하였다. 689년 귀족의 경제기반인

녹읍을 폐지하고 식읍을 제한하였다. 

3. ( ◯ ) 왕위를 둘러싸고 지배 계급의 분열이 가속화되면서 정부의 지방통제력이 약화되었다. 

4. ( X ) 6두품 세력은 신라 중대에 실무 능력과 학문적 식견을 바탕으로 왕권과 결탁하여 정치적 진출을 활발히 하였으나, 하대에 진골 귀족

간의 권력 쟁탈전이 벌어지면서 골품제 벽에 막혀 다시 정치에서 소외되었다. 

5. ( ◯ ) 장보고는 당에 건너가 군대에 복무하다가 해적 행위에 신라인들이 피해를 입는 것을 보고 귀국하였다. 그리고 흥덕왕에게 해적 소탕

을 명분으로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할 것을 건의, 신라 서남해 지방에 위치한 완도를 국제 해상 무역의 새로운 중심 기지로 개발하였다. 

6. ( ◯ ) 선종은 좌선, 참선을 통해 본성에 내재한 부처를 발견하여 열반에 이르는 것(견성성불)을 목표로 하는 불교 종파이다. 선종은 도의선

사의 가지산문에서 시작되었고 신라 말에 9산 선문이 성립되면서 융성하였다. 

7. ( X ) 사벌주(상주) 출신의 견훤이 완산주(전주)에 도읍하여 충청도ㆍ전라도 일대를 장악하여 후백제를 건국하였다. 

8. ( X ) 골품제를 대신할 새로운 신분제를 모색했고, 국정을 총괄하는 광평성을 설치하고 9관등제를 설치하여 국가 체제를 수립한 사람은 후

고구려를 세운 궁예이다.

 9. ( ◯ ) 궁예는 송악(개성)을 도읍으로 후고구려를 건국하였으며, 왕건 부자의 귀순을 받아들이면서 영역을 강원, 황해, 경기 일대 등지로 확

장시켜 갔다. 

10. ( ◯ ) 궁예를 몰아낸 뒤 신하들의 추대 형식을 빌려 왕위에 오른 왕건은 고구려 계승을 내세워 국호를 고려라 하고(918), 자신의 세력 근

거지였던 송악으로 도읍을 옮겼다. 

11. ( ◯ ) 태봉의 왕이었던 궁예가 조세 수취와 미륵신앙을 이용한 전제 정치로 실정을 거듭하자 918년에 왕건을 중심으로 하는 세력들이 궁

예를 축출하였고, 왕건이 왕으로 추대되었다. 

12. ( ◯ ) 7세기 말 당의 지방 통제가 약화되자 고구려 장군 출신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지배층)과 말갈 집단(피지배층)이 길림성의 동모산으

로 이주하여 발해를 세웠다. 

13. ( X ) 732~733년 전쟁이란, 당이 흑수말갈을 포섭하여 발해의 배후를 위협하자 발해가 당의 덩저우를 공격하면서 일어난 전쟁을 말한다. 당이 신라에 원병을 청하고 신라도 이에 응하여 발해를 공격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 사건으로 신라는 나당 전쟁을 통해 확보한 지역을 공

식적으로 인정받으면서 당과의 관계가 개선되었다. 발해는 문왕 때 당과 우호 관계를 맺었고, 발해와 신라는 상설 교통로를 개설하여 대립

관계를 완화시켰다. 

14. ( X ) 선왕 대인수(재위 818~830) 때의 일이다. 

15. ( ○ ) 발해 무왕은 흑수말갈을 공격하여 흑수말갈이 당나라와 연합하는 것을 견제하고자 하였고 이어 북만주 일대를 차지하고 등주를 공

격하였다. 

16. ( X ) 발해 문왕 대흠무(재위 737~793)에 대한 설명이다. 

17. ( ◯ ) 선왕은 발해의 제10대 왕으로 영토를 크게 확장시켜 남쪽으로는 신라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소고구려국을 합병하여 요동 지역을 차

지하는 등 옛 고구려의 영토를 대부분 회복하였다. 

18. ( ○ ) 당의 3성(상서성, 문하성, 중서성) 6부(이 · 호 · 예 · 병 · 형 · 공부)를 받아들였지만 3성은 정당성(상서성)과 선조성(문하성), 중대성(중

서성)이라는 이름으로, 6부는 충(이) · 인(호) · 의(예) · 지(병) · 예(형) · 신(공)부라는 이름으로 운영하였다. 

19. ( ○ ) 좌사정은 충· 인· 의 3부를, 우사정은 지 · 예 · 신 3부를 나누어 관할하는 이원적인 통치 체계를 갖추었다. 

20. ( X ) 정당성의 장관인 대내상이 국정을 총괄하였다. 

21. ( ◯ ) 발해는 고구려계와 말갈계가 연합해서 세운 나라이다. 

22. ( ◯ ) 발해는 문왕 때 당과의 관계를 회복하면서 선진적인 당의 문물을 받아들였다. 이 과정에서 유학이 발달하였고, 발해 유학생이 당의

빈공과에 많이 급제하였다. 

23. ( ◯ ) 발해는 초기에 당, 신라와 대립하였으므로, 외교적 고립을 피하기 위해 일본과 우호 관계를 맺으려 하였다. 따라서 발해는 일본에

사신을 자주 파견하고 활발하게 문화적 교류를 하였다. 

24. ( ◯ ) 발해왕은 일본에 보낸 국서에 스스로를 “고려왕”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발해가 고구려 계승 의식을 가졌음을 보여 준다. 

25. ( ◯ ) 인안은 무왕 때, 대흥은 문왕 때의 연호이다.

추가문제

26. ( X ) 궁예는 901년에 송악을 도읍으로 고구려 부흥과 신라 타도를 표방하며 스스로 왕위에 올라 후고구려라 칭하였다. 그리고 후에 마진

으로, 다시 태봉으로 국호를 바꾸었고, 수도를 철원으로 옮겼다. 

27. ( ◯ ) 견훤은 반신라적 정책으로 신라에 공격적인 자세를 취했으며, 927년 경주를 습격해 경애왕을 살해하였다. 반면 친신라 정책을 펴던

왕건이 이를 구원하기 위해 출병하여 고려와 후백제군이 충돌(공산 전투)하였으며 이때 후백제가 대승을 거두었다. 

28. ( X ) 발해를 건국한 고왕 대조영(재위 698~719)에 대한 설명이다. 

29. ( X ) 발해관은 당의 산둥 반도에 설치되었으며, 발해의 사신이나 상인들이 묵을 수 있도록 한 숙소였다. 

30. ( X ) 일본과는 동경용원부를 통해 통교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