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 정치 제도 조직 통시적// 사회 계급제도 통시적 #28

Posted by 기자 =.=
2018. 4. 14. 17:52 한국사/0 기출 TOPIC 분류
반응형


지방행정 관련>>>>>>>>>>>>>>>>>>>>



2018 9급 서울시(3월)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15. 고려와 조선의 지방 행정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조선에서 지방관은 행정·사법권을, 별도로 파견된 진장·영장은 군사권을 보유하였다.

② 고려에서 상급 향리는 과거 응시에 제한을 두지 않아 고위관리가 될 수 있었다.

③ 조선에서 지역 양반은 유향소를 구성하여 향리를 규찰하고 향촌 질서를 바로잡았다.

④ 고려의 지방은 지방관이 파견된 주현과 파견되지 않은 속현으로 구성되었다.

15. 고려와 조선의 지방제도 정답 : ①

① 조선시대에 중앙에서 파견된 지방관들은 왕의 대리인으로, 지방의 행정과 사법, 군사권을 가지고 있었다.

오답 분석 : 

② 고려의 상층 향리들은 과거 응시에 제한을 받지 않았으며, 고위 관리로 진출할 수 있었다. 특히 무신 집권기 이후 향리의 상층부가 대거 중앙에 진출하였다. 

③ 조선의 양반들은 유향소를 통해서 향리를 규찰했으며 풍속을 교정하는 역할을 하였다.

④ 고려시대에는 지방관이 파견된 지역을 주현,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는 지역을 속현이라고 하였다.






2018 9급 국가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1. 시대별 지방 행정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통일신라-촌의 행정은 촌주가 담당하였다.

② 발해-전국 330여 개의 모든 군현에 수령을 파견하였다.

③ 고려-촌락 지배 방식으로 면리제가 확립되었다.

④ 조선-향리 통제를 위하여 사심관을 파견하였다.

1. 정답 : ①

① 신라는 국가 발전 과정에서 국읍 주변의 읍락으로 구성된 여러 소국들을 복속시키면서, 국읍 및 주요 읍락들을 지방 행정 단위인 촌으로 만들었다. 군사·지리적으로 중요한 거점 지역의 촌에는 도사(道使)라는 지방관을 파견하여 관리하였지만, 촌의 행정은 원래 그 지역 의 수장을 촌주로 임명하여 행정을 담당하게 하였다.

② 발해의 지방 행정 제도는 5경 15주 62주 100여 개의 현으로 이루어졌다. 전국 300여 개의 군현에 모두 수령이 파견된 것은 조선 시대이다. 

③ 면리(面里)라는 용어는 고려시대 부터 등장하였으나 제도로서의 면리제는 조선 초기에 본격적으로 실시되기 시작하여 조선 후기에 정착되었다. 

④ 사심관은 고려 시대 때 중앙에 거주하면서 자기 출신지에서 부호장 이하의 향리 임명권을 부여받고, 자기 출신지의 치안과 행정에 대한 연대 책임을 지게 한 것이다.







2011 9급 국가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문 7. 다음 지방행정 제도를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전국을 8도로 나누고 도 아래에는 부·목·군·현을 두었다.

ㄴ. 전국을 5도와 양계, 경기로 나누었다.

ㄷ. 9주 5소경의 지방제도를 마련하였다.

ㄹ. 전국을 23부 337군으로 개편하였다.


⓵ ㄱ→ㄴ→ㄷ→ㄹ

⓶ ㄴ→ㄷ→ㄹ→ㄱ

⓷ ㄷ→ㄴ→ㄱ→ㄹ

⓸ ㄹ→ㄷ→ㄴ→ㄱ

정답. ⓷ 통일신라 9주 5소경 - 고려 5도양계(도제 처음 수입) - 조선 8도제 - 갑오개혁 23부제(유일하게 도제 폐지, 아관파천 후 도제 복구) // 이상하게도 수업 시간에 말씀 드린 형식 그대로 문제가 만들어졌다.











제도포괄>>>>>>>>>>>>>>>>>>>>>>>>




2018 9급 지방직(사복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7. 성격이 유사한 것끼리 옳게 짝지은 것은?


① 기인 제도 - 녹읍 제도

② 2성 6부 - 5경 15부

③ 중정대 - 승정원

④ 대대로 - 대내상

7. 정답 ④

국정 총괄 관직 (통합형 – 정치사)

정답찾기

④ 고구려 후기 최고 관등인 대대로는 국정 운영을 총괄하였으며, 발해 정당성의 장관인 대내상은 선조성과 중대성의 장관인 좌상(左相)과 우상(右相)보다 상위의 관직으로, 국정을 책임지는 위치에 있었다. 따라서 대대로와 대내상은 국정을 총괄한다는 점에서 성격이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오답피하기

① 고려 태조는 지방 호족의 세력을 견제하기 위하여 호족의 자제를 뽑아 개경에 머물게 하는 기인 제도를 실시하였다. 녹읍은 국가에서 관료 귀족에게 지급한 일정 지역의 토지로, 조세 수취와 거주민의 노동력 징발이 가능하였다.

② 고려는 당나라의 3성 6부와 송나라의 제도를 참고하여 2성 6부의 독자적인 중앙 정치 조직을 운영하였다. 발해는 지방 행정 조직으로 5경⋅15부⋅62주가 있었다.

③ 발해는 관리를 감찰하는 기구로 중정대가 있었다. 승정원은 조선 시대 국왕의 비서 기관으로 국가 기밀과 왕명 출납을 담당하였다.





군사제도 정치제도 위주>>>>>>>>>>>>>>>


2018 9급 서울시(3월)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20.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보기>

재신(宰臣)으로서 이 일을 맡은 사람을 지변재상(知邊宰相)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일시적인 전쟁 때문에 설치한 것으로 국가의 중요한 모든 일들을 참으로 다 맡긴 것은 아니었습니다. 오늘에 와서 큰 일이건 작은 일이건 중요한 것으로 취급되지 않는 것이 없는데, 정부는 한갓 헛이름만 지니고 육조는 모두 그 직임을 상실하였습니다. 명칭은 변방의 방비를 담당하는 것 이라고 하면서 과거에 대한 판하(判下)나 비빈(妃嬪)을 간택하는 등의 일까지도 모두 여기를 경유하여나옵니다. - ‘효종실록’


① 대원군에 의해 기능이 강화되었다.

② 의정부의 기능을 약화시켰다.

③ 붕당정치의 폐단을 막기 위해 설치되었다.

④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16세기 초 상설기구로 설치되었다.

20. 비변사 정답 : ②

제시된 자료는 비변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② 조선 후기, 비변사의 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의정부와 6조 중심의 행정 체계가 유명무실해졌다.

오답분석 : ① 흥선대원군은 비변사를 축소·격하시켜 사실상 폐지시켰다. 

③ 비변사는 국방 문제를 다루기 위해 설치된 기구이다.

④ 비변사는 16세기 중종 때 삼포왜란을 계기로 여진족과 왜구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임시 회의 기구로 설치되었다. 이후 상설기구로 운영된 것은 16세기 중엽, 명종 때의 일이다.






2017 9급 지방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3. 군사제도가 실시된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중앙            지방

ㄱ 9서당          10정

ㄴ 5위            진관체제

ㄷ 5군영         속오군

ㄹ 2군과 6위   주현군과 주진군


① ㄱ → ㄴ → ㄷ → ㄹ

② ㄱ → ㄹ → ㄴ → ㄷ

③ ㄴ → ㄱ → ㄷ → ㄹ

④ ㄴ → ㄹ → ㄱ → ㄷ

3. 정답 ②

해설 각 시대별 군사제도의 변천사를 묻는 문제로서 9서당 10정은 통일신라, 5위와 진관체제는 조선전기, 5군영과 속오군은 조선후기, 2군 6위와 주현군과 주진군은 고려시대이다.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고대 중세 군사제도

[한국사/1 전근대 요약] - >조선 군역제







2014 9급 서울시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9.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기관의 공통된 이름으로 옳은 것은?


∙ 고려와 조선에서는 왕명 출납, 군사 기무, 숙위의 일을 맡았다.

∙ 대한제국에서는 정부의 자문기구로 개편되었고, 독립협회가 의회로의 개편을 시도하였다.


① 중추원 ② 홍문관 ③ 규장각

④ 성균관 ⑤ 집현전

9.① 전한길필기노트 p.25,80

고려시대 군국기무의 기능을 담당한 추밀과 왕명출납의 승선으로 구성된 기관은 중추원이며 독립협회에서는 헌의6조를 통해서 의회의 설립을 시도하였다.

[한국사/1 근현대 요약] - <- 독립협회, 대한제국>










사회 통시>>>>>>>>>>>>>>>>>>..






2012 9급 사복직 한국사 문제 정답 및 해설/ :: 공시기출 자료모음소

9. 전근대사회의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고려시대에는 귀족이 죄를 지으면 형벌로 귀향을 시키기도 하였다.

② 조선시대 강상죄는 범죄중에서 가장무겁게 취급 되었지만, 범인에 한정하여 처벌하였다.

③ 신라의 골품제도는 가옥의 규모와 장식물은 물론, 복색이나 수레 등 신라인의 일상생활까지 규제하였다.

④백제의관리는 뇌물을 받거나 국가의 재물을 횡령했을때 3배를 배상하고, 죽을 때까지 금고형에 처하였다.

☞답②

②강상죄나 반역죄 같은 큰 죄의 경우 범인은 물론 부모, 형제,처자까지도 함께 처벌하는 연좌법이 적용되었으며, 마을의 호칭이 강등되고 고을의 수령은 파면당하기도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