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발음법 (음의 길이)>
음의 길이
【1】모음의 장단을 구별하여 발음하되,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⑴눈보라[눈ː보라] 많다[만ː타]
⑵첫눈[첫눈] 수많이[수ː마니] | 말씨[말ː씨] 멀리[멀ː리]
참말[참말] 눈멀다[눈멀다] | 밤나무[밤ː나무] 벌리다[벌ː리다]
쌍동밤[쌍동밤] 떠벌리다[떠벌리다] |
다만, 합성어의 경우에는 둘째 음절 이하에서도 분명한 긴소리를 인정한다.
반신반의[반ː신 바ː늬/ 반ː신 바ː니]
재삼재사[재ː삼 재ː사] *‘二, 四, 五, 萬’은 길게 발음한다. 이원론[이ː원논] |
[붙임]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 -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도 긴소리로 발음한다.
보아 → 봐[봐ː] 두어 → 둬[둬ː] | 기어 → 겨[겨ː] 하여 → 해[해ː] | 되어 → 돼[돼ː]
|
다만, ‘오아 → 와, 지어 → 져, 찌어 → 쪄, 치어 → 쳐’ 등은 짧게 발음한다.
【2】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짧게 발음한다.
1.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 짧게 발음한다.
감다[감ː따] - 감으니[가므니] 신다[신ː따] - 신어[시너] | 밟다[밥ː따] - 밟으면[발브면] 알다[알ː다] - 알아[아라] |
|
다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길게 발음한다.
끌다[끌ː다] - 끌어[끄ː러] 벌다[벌ː다] - 벌어[버ː러] 없다[업ː따] - 없으니[업ː쓰니] | 떫다[떨ː따] - 떫은[떨ː븐] 썰다[썰ː다] - 썰어[써ː러]
|
|
2. 용언 어간에 피동, 사동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 짧게 발음한다.
감다[감ː따] - 감기다[감기다] | 꼬다[꼬ː다] - 꼬이다[꼬이다] | 밟다[밥ː따] - 밟히다[발피다] |
다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길게 발음한다.
끌리다[끌ː리다] | 벌리다[벌ː리다] | 썰리다[썰ː리다] | 없애다[업ː쌔다] |
[붙임] 다음과 같은 복합어에서는 본디의 길이에 관계없이 짧게 발음한다.
ㆍ밀물 썰물 쏜살같이 작은아버지 |
note
感想[감ː상] 마음에 느끼어 일어나는 생각. 책을 읽은 感想을 말하다 |
感傷[감ː상] 느끼어 슬퍼함. 感傷에 젖다. 가을은 感傷의 계절 |
感賞[감ː상] 감동하여 칭찬함. |
鑑賞[감상] 예술작품을 음미하고 이해함. 고전 음악을 鑑賞하다. |
|
|
|
'국어 > 1 어문규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형태에 관한 것 (2) 접미사 (0) | 2017.04.21 |
---|---|
--- 형태에 관한것 (1) 어간어미, 용언활용 (0) | 2017.04.21 |
---1. 소리에 관한 것 (0) | 2017.04.21 |
<표준발음법 (음의동화/ 경음화/ ㄴ음 첨가)> (0) | 2017.04.17 |
<표준발음법 (받침의 발음)> (0) | 2017.04.17 |
<표준발음법 (자음과 모음)> (0) | 2017.04.17 |
<표준어 규정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0) | 2017.04.17 |
<표준어 규정 (준말)> (0) | 2017.04.17 |
<표준어 규정 (모음)> (0) | 2017.04.17 |
<표준어 규정 (자음)> (0) | 2017.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