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발음법 (받침의 발음)>

Posted by 기자 =.=
2017. 4. 17. 17:08 국어/1 어문규정
반응형

󰋑 받침의 발음


받침소리로는 , , , , , , 7 개 자음만 발음한다.





1음절의 끝소리 규칙     2017/04/17 - [국어/1 어문규정] - 소리에 관한 것


단독으로 발음 

󰄤[], [], 키읔[키윽], 부엌[부억], [], [], []

 

자음과 연결될 때 

󰄤넓다[널따], 뱉다[ː], 웃다[ː], 있다[읻따], 없다[ː], 읊다[읍따], 핥다[할따]

 

⑶--(15항)  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가 이어질 때 

󰄤부엌 안[부어간], 밭 아래[바다래], 늪 앞[느밥], 젖어미[저더미], 맛없다[마덥따], 겉옷[거돋], 헛웃음[허두슴], 꽃 위[꼬뒤


넋없다[너겁따], 닭 앞에[다가페], 값어치[가버치], 값있는[가빈는]

음 첨가부터: 밭이랑[반니랑]

 

󰁾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조사어미접사)가 이어질 때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조사: 잎이[이피], 부엌에[부어케], 무릎이[무르피], 외곬으로[외골쓰로]

어미: 먹이[머기], 웃음[우슴], 집집이[집찌비], 다달이[다다리]

접사: 앉아[안자], 밟아[발바], 늙어[늘거], 옮아[올마], 섞어[서꺼], 읊어[을퍼]


󰁾 의 예외

󰄤맛있다[마딛따/ 마싣따(허용)], 멋있다[머딛따/ 머싣따(허용)]

 

󰁾(11항)  음운이 대표음가: (늙다), (젊다), (읊다)

󰄤[], 흙과[흑꽈], 맑다[막따], 늙지[늑찌], [ː], 젊다[ː], 읊고[읍꼬], 읊다[읍따]

 

다만, 의 예외: 용언(동사형용사)어간 말음 앞에서 []로 발음한다

󰄤맑게[말께], 얽거나[얼꺼나], 늙고[늘꼬], 늙거나[늘꺼나], 늙게[늘게

용언만 해당: 흙과[흘꽈](×) [흑꽈]

 

󰁾 의 예외: 밟다, 넓둥글다, 넓적하다, 넓죽하다[]으로 발음하는 예외 낱말

󰄤밟다[ː], 밟소[ː], 밟지[ː], 밟는[ː], 밟게[ː], 밟고[ː

밟히다[발피다]

넓둥글다[넙뚱글다], 넓적하다[넙쩌카다], 넓죽하다[넙쭈카다]


 




2자음축약: 받침 의 발음은 다음과 같다.

이 앞뒤의 자음과 축약되어 거센소리로 나는 경우

(, )’ + ‘, , [, , ]

받침 (), , (), ()’ + ‘[, , , ]

받침 ’[] + ‘’ → []

놓고[노코], 좋던[ː], 쌓지[싸치], 많고[ː], 않던[안턴], 닳지[달치], 낳자[나차]

 

각하[가카], 먹히다[머키다], 밝히다[발키다], 맏형[마텽], 좁히다[조피다], 넓히다[널피다], 꽂히다[꼬치다]

 

옷 한 벌[오탄벌], 낮 한때[나탄때], 꽃 한 송이[꼬탄송이], 숱하다[수타다]


을 발음하지 않는 경우

(, )’뒤에 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으로 발음한다.

뒤에 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으로 발음한다.

, 뒤에 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을 발음하지 않는다.

 ➃ ()’뒤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을 발음하지 않는다.

닿소[다쏘], 많소[ː], 싫소[실쏘]

 

놓는[논는], 쌓네[싼네]

 

않네[안네], 않는[안는], 뚫네[뚤네 뚤레], 뚫는[뚤는 뚤른]

 

낳은[나은], 놓아[노아], 쌓이다[싸이다], 많아[ː], 않은[아는], 닳아[다라], 싫어도[시러도]






3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깎아[까까] 옷이[오시] 있어[이써] 낮이[나지] 꽂아[꼬자]

꽃을[꼬츨] 쫓아[쪼차] 밭에[바테] 앞으로[아프로] 덮이다[더피다]

 





4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이 경우, ‘은 된소리로 발음함.)

넋이[넉씨] 앉아[안자] 닭을[달글] 젊어[절머]

곬이[골씨] 핥아[할타] 읊어[을퍼] 값을[갑쓸]

없어[ː]





 5한글 자모의 이름은 그 받침소리를 연음하되, ‘의 경우에는 특별히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디귿이[디그시]

지읒이[지으시]

치읓이[치으시]

키읔이[키으기]

티읕이[티으시]

피읖이[피으비]

히흫이[히으시]

디귿을[디그슬]

지읒을[지으슬]

치읓을[치으슬]

키읔을[키으글]

티읕을[티으슬]

피읖을[피으블]

히흫을[히으슬]

디귿에[디그세]

지읒에[지으세]

치읓에[치으세]

키읔에[키으게]

티읕에[티그세]

피읖에[피으베]

히흫에[히흐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