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언의 활용 | 불규칙변화 | (모음어미 앞에서) 어간의 불규칙 변화 | 예외 (불변) | ‘ㅅ’ 탈락 | 짓다: 지어, 지으니, 지었다 | 벗다: 벗어, 벗으니, 벗었다 빼앗다: 빼앗아, 빼앗으니, 빼았았다 | ‘우’ 탈락 | 푸다: 푸+어 → 퍼, 프니, 펐다 | 부수다: 부수+어 → 부숴, 부수니, 부쉈다 | ‘ㅂ’→‘오/우’ | 돕다: 돕+아 → 도와, 도우니, 도왔다 줍다: 주워, 주우니, 주웠다 | 입다: 입어, 입으니, 입었다 뽑다: 뽑아, 뽑으니, 뽑았다 | ‘ㄷ'→’ㄹ' | 긷다: 길어, 길으니, 길었다 | 닫다: 닫아, 닫으니, 닫았다 | '르‘→’ㄹㄹ‘ | 흐르다: 흐르+어 → 흘러, 흘렀다 | 흐르다: 흐르니, 흐르고 | ‘ㅎ’으로 끝나는 형용사 | ‘ㅎ’ 탈락 | 어미 ‘아’ [ → ‘아/어’→‘애’] | 기타 어미 | 하얗다: 하얗+아 → 하얘 그렇다: 그렇+아 → 그래 | 하얗다: 하야니, 하얄, 하야면, 하얍니다 그렇다: 그러니, 그럴, 그러면, 그럽니다 |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 어미의 불규칙 변화 | **주의 | ‘하다’ 동사 | 어미‘아’ → ‘여’ | ‘하여’ → ‘해’ | 하다: 하여, 하여라, 하였다 | 해: 해라, 했다 | ‘-르다’ 동사 | 어미‘어’ → ‘러’ | 어미‘어’(X) | 이르다[至]: 이르러, 이르렀다 누르다[黃]: 누르러, 누르렀다 푸르다: 푸르러, 푸르렀다 | ‧현재형 ‘-ㄴ’ 이르다: 이르른(X), 이른(O) ‧명사형 ‘-ㅁ’ 이르다: 이르름(X), 이름(O) | 어간이‘ㅏ'로 끝나는 동사 | 어미‘어라’ → ‘거라’ | 모음‘ㅏ'(X) | 가다: 가+어라 →가거라 | 먹다: 먹거라(X), 먹어라(O) 갈다: 갈거라(X), 갈아라(O) 보다: 보거라(X), 보아라(O) | ‘-오다’ 동사 | 어미‘어라’ →‘너라’ | (X) | 오다: 오+어라 →오너라 나오다: 나오+어라 → 나오너라 | 오거라(X) 나오거라(X) | | | |
|
규칙변화 | 규칙변화 | **주의 | ‘으’ 삽입 | [받침으로끝나는어간]+[ㄴ, ㄹ, 오, 시, ㅁ] | 받침(X) | 잡다: 잡은, 잡을, 잡으오, 잡으시고, 잡으며 | 가다: 간, 갈, 가오, 가시고, 가시며 | ‘ㄹ’ 탈락 | [받침‘ㄹ’로끝나는어간]+[ㄴ, ㅂ, 오, 시, ㄹ] | 받침‘ㄹ’ → ‘으’삽입(X) | 날다: 나는, 나느냐, 난, 납니다, 나오, 나시고 | (X)[날으는, 날으냐, 날은, 날읍니다, 날으오] | ‘으’ 탈락 | [‘으’로 끝나는 어간]+[모음어미] | | 쓰다: 쓰+어 → 써 담그다: 담그+아 → 담가 다다르다: 다다르+아 → 다다라 | 담그다: 담아(X), 담궈(X,담구다) 다달아(X)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