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고려 농업과 농서 정리- 통시적>>>>>>>

Posted by 기자 =.=
2017. 4. 18. 22:21 한국사/1 전근대 요약
반응형

063. 농업과 농서 정리 [078. 조선시대 농업제도]

1. 우리나라 농업의 발달과정

신석기

최초 농경시작(수수) 신석기의 혁명

청동기

농기구(석기반달돌칼), 농경의 일반화, 보리, 벼농사시작

철 기

철제 농기구(청동농기구X) 농업생산력, 벼농사 일반화, 저주지축조, 축력이용

삼국시대

깊이갈이(심경법), 비료주기(시비법)의 부진 휴경법 일반화 농업생산력 부진

인삼의 재배(조선후기 상품작물로 재배), 45세기를 지나면서 철제농기구 점차 보급

쟁기호미괭이 등 철제 농기구가 6세기에 널리 사용, 우경시작(신라, 지증왕)

통일신라

차의 재배 마늘,(단군신화에서 선사시대부터 존재 추정, 통일 신라 때 널리 보급)

고려시대

전기: 휴한농법(불역전일역전재역전), 23(윤작법), 우경에 의한 심경법

농기구와 종자개량, 마늘재배의 일반화

녹비법(중기)퇴비법(후기) 휴경지 감소, but 여전히 일역전재역전 존재

논농사(직파법 일반화), 원의[농상집요]이암소개, 목면전래, 저습지간척지 개간(고려후기)

조선 초

시비법 발달(휴경지소멸), 목면재배확대, 원예과수작물 재배, 저수지다수축조(기출)

2모작과 이앙법 남부지방시행, 벼 재배법(건경법수경법 16C 중국 강남농법의 영향)

조선 후

이모작이앙법견종법 일반화, 수리시설발달(남대지합덕지제언사설치(현종), 제언절목반포(정조))


구황작물(고구마18C 감자19C 헌종, )상업작물재배(인삼담배17C,목면채소 고추호박), 논의비율 > 밭의비율(정조), 볏이 달린 쟁기보급(밭갈이 능률화)



2. 지대의 변화 [ 타 도 ]

타 조 법(정률지대)

도 조 법(정액지대)

고려시대부터 조선후기까지 지속

정률지대: 수확량의 1/2(병작반수)

작황에 따라 지주의 이익이 좌우

지주의 간섭으로 영농의 자유 없음

지주가 소작인을 인신적으로 지배

일반적인 납부형태

조선후기에 소작쟁의 결과로 등장 (함부로 소작지 회수 X)

정액지대: 수확량의 1/3

풍작과 흉작에 관계없이 일정 영농의 자유

농민이 부를 축적(지주와 전호는 자유 계약 관계)

도지권은 매매저당 가능, 개간매수 하였을때도 성립

보리는 수취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농민들은 보리농사 선호

소작료 납부형태의 변화 : 타조법 도조법(18C) 금납제(18C말 이후) 도전법(19C,금납화)

도조법은 조선후기 일반적인 현상이 아니라 특수한 현상으로, 대체된 것이 아니라 타조법이 여전

지대의 변화 : 소작인이 지주에게 바침. 국가수입과는 무관


.



3. 농서의 변화 [ 요 직 성 산 임 ]

14C

려말

농상집

이암

소개

충선왕 때 중국 화북지방의 농법을 소개(독자성X), 우경에 의한 심경법

윤작법(휴한농업사라짐), 시비법발달 일역전이역전 사라짐

15C

선초

농사

정초

(정부)

농민들의 경험담을 토대로 우리기후와 토양에 맞는 씨앗의 저장법 시비법 소개,

직파법()농종법(), 이앙법 비판, 현존 최고

금양잡록

(1482,성종)

강희맹

(개인)

금양(시흥)지방의 농민들의 경험담 토대, 농사직설에 없는 내용만 수록

사시찬요

계절에 따른 토지관리 및 농산물파종법 기술

기 타

 

양화소록(강희안,원예전문), 농산축목서(신숙주), 구황촬요(기근대비)

17C

선후

농가집

효종, 농사직설금양잡록사시찬요 등을 합쳐 간행, 이앙법장려, 견종법(), 지주제인정(한계)

색경

박세당

숙종, 농가집성 비판, 견종법 보급 기여

18C

림경제

홍만선

견종법 발달, 이앙법확대

과농소초

박지원

중상학파, 종합비판

19C

해동농서

서호수

우리 토양과 기후에 맞게 농법을 개량할 것을 강조, 의학복거에 관한 내용 수록

원경제지

서유

농촌생활 백과사전, 견종법 발달, 이앙법 확대

개항

논정신편

안종수

서양농법을 최초로 소개, 광인사에서 출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