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나라 농업의 발달과정 신석기 | 최초 농경시작(조ㆍ피ㆍ수수) ⇒ 신석기의 혁명 | 청동기 | 농기구(석기ㆍ반달돌칼), 농경의 일반화, 콩ㆍ보리, 벼농사시작 | 철 기 | 철제 농기구(청동농기구X) → 농업생산력↑, 벼농사 일반화, 저주지축조, 축력이용 | 삼국시대 | 깊이갈이(심경법), 비료주기(시비법)의 부진 → 휴경법 일반화 ⇒ 농업생산력 부진 인삼의 재배(조선후기 상품작물로 재배), 4ㆍ5세기를 지나면서 철제농기구 점차 보급 → 쟁기ㆍ호미ㆍ괭이 등 철제 농기구가 6세기에 널리 사용, 우경시작(신라, 지증왕) | 통일신라 | 차의 재배 마늘,쑥(단군신화에서 선사시대부터 존재 추정, 통일 신라 때 널리 보급) | 고려시대 | 전기: 휴한농법(불역전ㆍ일역전ㆍ재역전), 2년3작(윤작법), 우경에 의한 심경법 ⇩ 농기구와 종자개량, 마늘재배의 일반화 녹비법(중기)ㆍ퇴비법(후기) ⇒ 휴경지 감소, but 여전히 일역전ㆍ재역전 존재 논농사(직파법 일반화), 원의[농상집요]이암소개, 목면전래, 저습지ㆍ간척지 개간(고려후기) | 조선 초 | 시비법 발달(휴경지소멸), 목면재배확대, 원예ㆍ과수작물 재배, 저수지다수축조(기출) 2모작과 이앙법 남부지방시행, 벼 재배법(건경법ㆍ수경법 ⇐ 16C 중국 강남농법의 영향) | 조선 후 | 이모작ㆍ이앙법ㆍ견종법 일반화, 수리시설발달(남대지ㆍ합덕지→제언사설치(현종), 제언절목반포(정조))
구황작물(고구마18C 日ㆍ감자19C 헌종, 청)ㆍ상업작물재배(인삼ㆍ담배17C,日ㆍ목면ㆍ채소 고추ㆍ호박日), 논의비율 > 밭의비율(정조), 볏이 달린 쟁기보급(밭갈이 능률화) |
2. 지대의 변화 [ 타 도 ] 타 조 법(정률지대) | 도 조 법(정액지대) | 고려시대부터 조선후기까지 지속 정률지대: 수확량의 1/2(병작반수) 작황에 따라 지주의 이익이 좌우 → 지주의 간섭으로 영농의 자유 없음 지주가 소작인을 인신적으로 지배 일반적인 납부형태 | 조선후기에 소작쟁의 결과로 등장 (함부로 소작지 회수 X) 정액지대: 수확량의 1/3 풍작과 흉작에 관계없이 일정 → 영농의 자유 → 농민이 부를 축적(지주와 전호는 자유 계약 관계) 도지권은 매매ㆍ저당 가능, 개간ㆍ매수 하였을때도 성립 보리는 수취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농민들은 보리농사 선호 | 소작료 납부형태의 변화 : 타조법 → 도조법(18C) → 금납제(18C말 이후) → 도전법(19C,금납화) 도조법은 조선후기 일반적인 현상이 아니라 특수한 현상으로, 대체된 것이 아니라 타조법이 여전 지대의 변화 : 소작인이 지주에게 바침. 국가수입과는 무관 |
.
3. 농서의 변화 [ 요 직 성 산 임 ] 14C 려말 | 농상집요 | 이암 소개 | 충선왕 때 중국 화북지방의 농법을 소개(독자성X), 우경에 의한 심경법 윤작법(휴한농업사라짐), 시비법발달 → 일역전ㆍ이역전 사라짐 | 15C 선초 | 농사직설 | 정초 (정부) | 농민들의 경험담을 토대로 우리기후와 토양에 맞는 씨앗의 저장법 시비법 소개, 직파법(논)ㆍ농종법(밭), 이앙법 비판, 현존 최고 | 금양잡록 (1482,성종) | 강희맹 (개인) | 금양(시흥)지방의 농민들의 경험담 토대, 농사직설에 없는 내용만 수록 | 사시찬요 | 계절에 따른 토지관리 및 농산물ㆍ파종법 기술 | 기 타 | | 양화소록(강희안,원예전문), 농산축목서(신숙주), 구황촬요(기근대비) | 17C 선후 | 농가집성 | 신속 | 효종, 농사직설ㆍ금양잡록ㆍ사시찬요 등을 합쳐 간행, 이앙법장려, 견종법(밭), 지주제인정(한계) | 색경 | 박세당 | 숙종, 농가집성 비판, 견종법 보급 기여 | | 18C | 산림경제 | 홍만선 | 견종법 발달, 이앙법확대 | 과농소초 | 박지원 | 중상학파, 종합비판 | 19C | 해동농서 | 서호수 | 우리 토양과 기후에 맞게 농법을 개량할 것을 강조, 의학ㆍ복거에 관한 내용 수록 | 임원경제지 | 서유구 | 농촌생활 백과사전, 견종법 발달, 이앙법 확대 | 개항 | 논정신편 | 안종수 | 서양농법을 최초로 소개, 광인사에서 출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