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선시대의 향촌>

Posted by 기자 =.=
2017. 4. 18. 22:30 한국사/1 전근대 요약
반응형

071. 조선시대의 향촌

1. 유향소(여말선초)

유향소

(15C)

지방양반구성, 수령보좌자문, 향리비행 규찰(6방을 감찰), 농민통제교화, 풍속교정정령시달, 민의대변, 중앙정부(경재소)와 연락


세조 폐지(이시애의 난)성종(향청 부활)사림의 사마소 대항, 향청폐지운동향약(중종)

향 안

향안에 이름이 오른 구성원인 향원들이 모여 향회를 구성, 운영


사족들은 그들의 총회인 향회를 통해 자신들의 결속을 다지고 지방민을 통제

향 약

(16C)

양반~노비까지 구성(여자포함), 서원과 함께 양반성장기반, 4대덕목()


관과민의 계급구조에서 탈피하여 사족과 하인이라는 새로운 계급을 고착시킴


유교예보급, 토지이탈방지, 공동체결속, 체제안정도모, 지방사림의 지위강화


중종때 조광조가 신분보다 나이를 존중하는 중국송나라 주자의 여씨향약을 최초보급

이이에 의해 해주향약 확산, (이황은 예안향약)

향 도

(향도계)

매향의 무리라는 뜻, 자발적 결사체로 향촌의 자치적 조직


신라: 법회에서 대규모적인 노동력경제력을 제공(미륵신앙을 바탕으로한 현세구복적 활동)


고려: 매향 풍습, 촌락을 단위로 결속하는 소규모 모임으로 변화, 불교적 성격


조선: 두레와 상두꾼으로 분화 발전하여 마을 노역혼례상장례 등을 주도하는 부조적 성격의 마을공동체 조직으로 발전, 농업에서 신분제적 강제성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 운영


* 매향: 위기가 닥쳤을 때를 대비하여 향나무를 바닷가에 묻었다가 이를 통해 미륵을 만나

구원받고자하는 염원에서 향나무를 땅에 묻는 신앙활동



2. 서원(書院)

1) 교육만을 맡은 사학의서재는 고려말부터, 선현을 봉사하는사묘를 겸한 서원은 풍기 군수 주세붕이 세운 백운동 서원이 그 시작 이황의 건의에 의해 소수서원으로 사액됨 (*문묘는X)


2) 각기 다른 우리나라의 성현을 모신 사립학교. 중앙정부에서도 학문적 권위 인정하여 초기에는 중앙의 지원하에 지방관이 주도 (* 공자(문선왕)에 대한 제사(문묘)는 성균관과 향교에서 실시, 서원에서는 하지 않음)


3) 유교 윤리를 보급, 향촌 사림을 결집, 강화시키는 역할 수행

4)“향음주례를 지냄 (*향사례향노례는 향교에서 실시)

5) 지방 행정권(수령권)이 약화. 재산도피와 군역 도피처의 소굴이 됨.(청금록)

6) 붕당의 근거지로서 당쟁 격화의 원인이 됨 서원철폐: 영조, 흥선대원군



3. 촌락의 구성과 운영풍속

1) 촌락의 편제 : 면리제, 오가작통제

2) 반촌과 민촌 * 양반들이 거주하는 반촌은 민촌과 엄격히 구분하여 생활하였다(X)

- 반촌 : 주로 양반이 거주, 초기에는 동족촌. 18C이후 동성촌으로 발전

- 민촌 : 주로 평민들과 천민들이 거주. 18C이후 다수가 신분 상승을 이룸. 민촌반촌(X)


3) 특수마을의 존재: 교통의 요지에 역촌(역촌동역곡동말죽거리)진촌(노량진양화진삼랑진)원촌(퇴계원조치원사리원장호원), 어장포구에 어촌, 수공업품 생산하는 점촌 존재


4) 촌락조직의 형성

- 동계·동약 : 사족들의 향촌에서 촌락민에 대한 지배력 강화를 위해 조직. 임진왜란 이후 양반과 평민층이 함께 참여하는 상하합계의 형태로 전환

- 농민 공동체 조직 : 두레, 향도


5) 촌락의 풍습

- 석전(돌팔매놀이) : 상무정신을 기르기 위해 자주 행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국왕도 이를 관전할 정도였으나 뒤에는 사상자가 속출하여 국법으로 이를 금하였다.

- 향도계·동린계 : 일종의 마을 축제. 양반 사족들은 음사라 하여 배척



4. 조선후기 향촌질서의 변화

1) 양반의 권위 약화

(1) 원인: 향촌 질서 변화(부농층-요호부민 등장)


(2) 대책: 촌락 단위의 동약 실시, 청금록(향교 출입 명단)향안(향회에 소속된 사족명부)중시동족마을 형성, 문중을 중심으로 하는 서원사우 설립


(3) 부농층의 도전

신향대두: 관권과 결탁하여 향안에 이름을 올림, 향회 장악, 대개가 향리층

향전 발생: 총액제 수취권에 대한 향촌 지배권을 두고 구향(사족)과 신향(향리)간 대립하여 신향 승리

관권의 강화: 수령을 중심으로 한 관권이 강화되고 향리의 세력도 강화

향회의 기능 변화: 수령이 세금 부과 시 의견을 물어보는 자문 기구로 전락


2) 농민층의 분화

(1) 원인 : 광작의 보급, 도조법의 등장

(2) 목적: 군역을 면하기 위해 신분 상승 도모


3) 부농층의 등장 : 경제력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부농층의 욕구는 재정 위기를 타개하려는 정부의 이해와 일치하여 정부도 이를 적극 활용하고자 함

(1) 부농층은 종래 향촌 사족이 담당하던 정부의 부세제도 운영에 적극 참여

(2) 향임직에 진출하지 못한 곳에서도 수령이나 기존의 향촌 세력과 타협하여 상당한 지위 확보

(3) 향촌 지배에 참여하지 못한 부농층도 여전히 많았음.

(4) 사족들의 향촌 지배권에 도전하면서 기존 향촌 질서를 타파하고자 함

(5) 관권과 결탁하여 성장하기 시작하여 향안에 참여하고 향회를 지배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