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고려 문화- 사관의 흐름 / 삼국사기 유사 (역사서)>>>>>>>
[9꿈사 한국사] 2017 공무원 출제순위 7강 - 고려의 역사서 (출제 7위) - YouTube
№ 059.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비교
구 분 | 삼국사기(12C) | 삼국유사(13C) |
편찬시기 | 인종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실패 후) | 충렬왕 (원 간섭기) |
편 찬 자 | 김부식(유학자) / 기전체 | 일 연(가지산문의 선종 승려) / 기사본말체(단군의 건국 이야기. 이야기 중심) |
내 용 | 왕조ㆍ정치중심의 정사체(삼국건국 ~ 통신 말) | 설화중심의 야사체(단군 ~ 고려시대) |
특 징 | 신라 계승의식(북진정책을 좌절시킨 사관), 관찬, 삼국을 我로 표현, 현존최고의 역사서 객관적사실과 주관적 사론을 구별(주관서술) | 고조선 계승의식(단군의 건국 이야기를 수록), 사찬, 민족의식 소생ㆍ자주사관 고증중심의 객관적 서술 |
사 관 |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보수, 사대적) | 불교사관(민족적 자주의식 강조) |
삼국사기 지금의 학사대부들은 모두 오경과 제자의 책과 진한역대의 사서에는 혹 널리 통하여 상세히 말하는 이가 있으나, 도리어 우리나라의 사실에 대하여는 망연하고 그 시말을 알지 못하니 심히 통탄할 일이다…인재를 얻어 능히 일관된 역사를 이루어 만대에 전하여 빛내기를 해와 별처럼 하고자 한다.
삼국유사 그렇다면 삼국의 시조가 모두 신비스러운 데서 탄생하였다는 것이 무엇이 괴이하랴~ 이것이 신이(神異)편을 다른 것보다 먼저 쓰게 된 까닭이다 |
구 분 | 서 술 방 법 | 사 서 |
기전체 | 본기(왕), 세가(제후), 지(제도), 열전(귀족), 연표 등으로 구분하는 정사체, 내용중복 多 | 삼국사기, 고려사 해동역사(한치윤,조선) |
편년체 | 년 월 일 등의 사실을 편술(일기형식) 가장 오래된 역사서술 방식 | 삼국사절요,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조선왕족실록 |
기사본말체 | 사건마다 발단과 결과를 실증사학적으로 기술 | 삼국유사, 연려실기술, 조선사 연구초 |
강목체 | 강(대의) 목(세목), 고려말 성리학 전래와 함께 유행 | 동사강목, 강목집요 |
№ 060. 고려 사관의 흐름 [ № 107. 조선의 역사서 ]
□ 고려시대 사관과 역사서들 [유자성 성자존민 근대]
□ 고려시대 역사서
1. 초기 : 고려왕조실록, 7대 실록, 속편년통재 → 고구려의 계승의식이 뚜렷, 현존×(거란 2차 3차 때) 2. 중기 : 유교적 사대주의 영향으로 신라계승의식 강화 1) 삼국사기(인종, 기전체):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역사서, 유교적“합리주의”사관 ① 삼국사기를 올리는 글 : “~ 옛 기록은 표현이 거칠고 졸렬하며...” ② 구삼국사를 기본으로 한 기전체 양식, 유교사관에 입각하여 삼국시대 불교관련 기사는 언급X ③ 역사적 사실과 사관의 의견인 사론을 명확하게 구별하여 사론중심의 주관적 서술 ④ 고구려ㆍ백제ㆍ신라의 삼국 역사를 본기에 수록하여 세가가 따로 없다. ⑤ 삼국시대를 기록한 유일한 정사로서 신라중심의 역사관. * 본기는 신라중심 아니고 삼국을 대등하게 봄 ⑥ 통일적 민족의식: 고유한 풍습이나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고, 삼국을‘아(我)’표현 2) 편년통록(의종): 김관의, 왕실 권위확보와 고려왕조 중흥기원, 왕건의 가계와 역사를 상세하게 정리, 현존X 3. 후기 1) 민족적 자주의식의 강조(조선후기와 비슷) ① 동명왕편(명종, 무신기): 이규보, 동국이상국집(동쪽나라의 이씨재상 문집), 영웅서사시, 고구려 계승의식 반영(고구려 전통을 노래) → 자주적 민족의식(천하로 하여금 우리나라가 본래 성인의 고장임을 알리려 한다), 유교적합리주의사관을 비판 *동명왕편은 시라서 내용으로 낼 순 없다. 최충헌 최우 엮여서 나옴. 동국이상국집도 엮어서. ② 해동고승전(고종, 무신기, 관찬): 교종 승려 각훈이 왕명에 따라 삼국시대 승려 30여명의 전기를 모아 편찬, → 중국 불교와 대등한 입장에서 서술: 민족 문화에 대한 자주성, 현재 2권만 전함 ③ 삼국유사(충렬왕): 선종승려 일연, 불교사 중심, 고대의 민간 설화나 전래 기록, 고조선 계승의식 ④ 제왕운기(충렬왕): 이승휴, 고조선 계승의식(단군조선에서 우리 역사시작, 삼한ㆍ부여ㆍ옥저ㆍ예맥 등 모든 고대국가가 단군후손에 의해 건립, 우리역사를 단일 민족사로 이해), 우리 역사를 중국사와 대등하게 파악 → 최초로 발해역사를 우리역사로 파악, 상권(반고~금까지의 중국사를 7언시로 표현)ㆍ하권(한국사를 1부 <단군~발해>를 7언시로, 2부 <고려태조~충렬왕>를 5언시로 표현) ⑤ 본조편년강목(충숙왕): 민지, 최초의 강목체 사서 2) 성리학적 유교 사관: 도덕적 유교정치 강조 (유교는 삼국사기와 사략// 성리학은 사략만) ① 사략(공민왕): 이제현, 개혁을 단행하여 왕권을 중심으로 국가 질서회복, 유교적 왕도 정치 이념
|
.
=================================
1. 고려 초기에 서경에 수서원을 두고 역사 서적을 보관하였다. (2010년 서울시 7급)
2. 고려 예종은 왕궁 안에 장서각과 청연각이라는 도서관 겸 학문 연구소를 설치하였다. (2010년 서울시 7급)
3. 삼국사기 는 기전체로 서술되어 본기, 지, 열전 등으로 나누어 구성되었다. (2012년 국가직 9급)
4. 김부식은 유교 사관에 입각해 삼국사기 를 지으면서 향가를 많이 실었다. (2007년 세무직 9급 2차)
5. 김부식은 삼국 시대의 승려 30여 명의 전기를 모은 책을 썼다. (2010년 7급 지방직)
6. 이규보는 우리 역사를 중국사와 대등하게 파악한 제왕운기 를 저술하였다. (2012년 경찰간부후보)
7. 「동명왕편」을 쓴 작가는 자신의 시와 글을 모아 동국이상국집 을 펴냈다. (2012년 경찰간부후보)
8. 원 간섭기에는 무신 정권이 수립되어 역사서 역시 무신들의 취향을 반영하였다. (2013년 9급 기상직)
9.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 는 고대의 설화와 야사를 수록하였다. (2007년 세무직 9급 2차)
10. 성리학에 바탕을 둔 역사관은 정통의식과 대의명분을 강조하였다. (2009년 9급 서울시)
11. 조선 초기에 왕명에 따라 신숙주 등이 국가 왕실의 행사에 대한 의식의 절차를 규범화한 책이 만들어졌다.(2010년 서울시 9급)
12. 현재 남아 있는 의궤는 모두 18세기 이후에 만들어진 것이다. (2008년 지방직 9급)
13. 고려사 는 고려 말에 고려국사 등을 참고하여 만들어졌다. (2009년 9급 서울시)
14. 고려사 는 고려의 역사를 기전체로 서술하였다. (2008년 9급 법원직)
1. ( ◯ ) 수서원은 고려 성종 때에 서경에 설치한 일종의 도서관이다. 이곳에는 역사서적이 보관되었다.
2. ( X ) 고려 예종 때 관학 진흥을 위해 청연각과 함께 설치된 것은 보문각이다. 장서각은 조선 시대의 왕실 도서관에 해당한다.
3. ( ◯ ) 삼국사기는 구삼국사를 기본으로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에 기초하여 만든 역사책이다. 이 책은 기전체로 서술하여 본기, 지, 열전 등으로 나누어 있고, 신라 계승 의식이 반영된 현존하는 최고의 역사서이다.
4. ( X ) 삼국유사를 쓴 일연은 우리 민족의 고유문화와 전통을 중시하여 삼국 시대의 향가 14수를 포함시켰다.
5. ( X ) 삼국 시대의 승려 30여 명의 전기는 해동고승전이다. 해동고승전은 고려 후기에 각훈이 쓴 책으로, 교종의 입장에서 불교사를 정리한 것이다.
6. ( X ) 이규보는 고구려 계승의식을 반영한 「동명왕편」을 저술하였다. 제왕운기를 저술하여 우리 역사를 중국사와 대등하게 파악한 사람은 이승휴이다.
7. ( ◯ ) 「동명왕편」을 쓴 작가는 고려 중기의 이규보로, 그의 시와 글을 모아 펴낸 동국이상국집에 「동명왕편」이 수록되어 있다.
8. ( X ) 대몽 항쟁기가 끝나면서 무신 정권기도 종결되었다.
9. ( ◯ ) 일연은 삼국유사을 저술하면서 우리의 고유문화와 전통을 중시하여 설화와 야사를 수록하였고, 고조선의 건국 이야기도 설화 형태로 기록하였다.
10. ( ◯ ) 고려 말기에는 성리학적 역사관이 유행하였다. 대표적인 역사서는 이제현의 사략으로 정통의식과 대의명분을 강조하였다.
11. ( ◯ ) 신숙주 등이 국가 왕실의 행사에 대한 의식의 절차를 규범화한 책은 15세기 대표적 의례서인 국조오례의이다.
12. ( X ) 의궤는 국가나 왕실에서 거행한 주요 행사를 기록과 그림으로 남긴 책으로 현재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의궤는 1600년에 만들어진 의인왕후빈전혼전도감의궤이다.
13. ( X ) 고려사와 고려국사는 모두 조선 시대에 편찬된 역사책이다. 정도전이 쓴 고려사를 고려국사라 한다. 고려사는 김종서, 정인지 등이 조선 문종 때 완성하였다.
14. ( ◯ ) 고려사는 세종 때부터 만든 역사서로, 이전에 정도전 등이 저술하였던 고려국사를 개편하여 기전체로 쓰였다. 고려사는 조, 종, 태자 등 자주적인 호칭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한국사 > 1 전근대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조선 중앙관제 지방행정조직> (0) | 2017.04.18 |
---|---|
1 <조선초기 왕대사 (조선 불교는 여기 껴들어감)> (0) | 2017.04.18 |
1 <신진사대부 신흥무인세력> (0) | 2017.04.18 |
2 <고려와 조선의 화폐제도-통시적> (0) | 2017.04.18 |
4 <고려 농업과 농서 정리- 통시적>>>>>>> (0) | 2017.04.18 |
4 <고려의 유학과 성리학 & 예학ㆍ보학 >>>>>>> (0) | 2017.04.18 |
1 <- 원 간섭기><충선왕 공민왕 개혁정치> (6) | 2017.04.18 |
1 <- 이자겸의 난, 묘청의 난, 무신정권> (2) | 2017.04.18 |
4 <- 중세불교 - 조계종과 천태종>>>>>>>>>> (0) | 2017.04.18 |
1 <고대 중세 군사제도> (0) | 2017.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