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78. 조선시대 농업제도 [№ 063농업과 농서 정리]
ℴ15C(훈구파, 조선초기) - 신진사대부는 토지공개념에 입각하여 중앙집권적 산업정책을 표방, 중농억상책실시: 양전사업실시, 농업기술과 농기구개발보급, 유교적 검약주의(사>농>공>상), 소비억제, 화폐유통부진, 상업활동부진 ℴ16C(명종, 조선중기) - 수조권자(관리, 전주)와 토지소유자(농민, 전객)의 관계를 전주전객제, 대토지소유자와 경작자(소작인)의 관계를 지주전호제(지주제) - 직전법의 폐지로 전주전객제가 소멸되고 지주전호제가 일반화, 이러한 사전의 지조는 병작반수(½) - 결국 조선중기이후 농민 유망의 계기 ℴ17C ~ 19C (조선후기) - 조선후기 이앙법과 수리시설의 확충으로 광작이 가능하여 점차 자영농은 몰락하고 소작농도 감소 - 부농은 머슴이라는 임노동자(고공)를 공용하여 재산축적, 농사를 짓지 못하게 된 농민들은 광산이나 포구에 모여 임노동자 생활 - 상품작물이 재배되었지만, 쌀의 상품화가 활발하여“밭 → 논”으로 바꾸는 비율 증가(번답) |
№ 079. 조선시대 수공업과 광업의 발달
□ 수공업에 대한 정리 1. 신석기 : 가락바퀴 등을 통해 직조기술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음.
2. 삼국시대 : 무기, 비단 등을 생산하는 관청의 설치
3. 통일신라 : 나전칠기 등 공예품 제조기술의 발달, 관청을 두고 필요한 물품을 장인과 노비에게 공급시킴
4. 고려전기 1) 관청수공업의 발달 : 중앙과 지방에서 일할 기술자를 공장안에 올려 물품을 관수품을 생산하게 함. * 관수품 생산 : 관공장(군기시-무기생산, 선공시-영조물 등을 건조, 장야시-금속류 담당) 2) 소수공업 : 금, 은, 철, 구리, 실, 각종 옷감, 종이, 먹, 차, 생강 등을 생산하여 공물로 납부
5. 고려후기 1) 민간수공업 : 농촌의 가내수공업이 중심, 국가에서 삼베, 비단을 생산하도록 장려. 발달×
2) 사원수공업(사원의 세속화) - 삼베, 모시, 기와, 술, 소금 등 품질이 좋은 제품을 생산 - 부역을 피하려는 무리들이 부처의 이름을 걸고 돈놀이를 하고, 어깨에 걸치는 가사는 술항아리 덮개가되고, 범패를 부르던 장소는 파ㆍ마늘밭이 되었다.
6. 조선전기(민영수공업의 부진) 1) 관영수공업 중심: 공장안의 작성(삼국시대에도 존재), 장인등록제
2) 부역제를 토대로 운영: 관장, 장인을 관청에 소속시켜 관청에 필요한 물품을 제조, 공급 - 관장은 식비(급료) 정도만 받음. (품계×, 녹봉×) - 책임량을 초과한 생산물은 세금을 내고 판매하여 가계를 꾸밈 = 사적인 판매의 가능 - 16세기 이후 등록의 기피: 부역제 해이 ⇒ 1년에 무명 2,3필을 받고 입역을 면제해 주는 장인가포제 일반화
7. 조선후기 1) 민영수공업의 발달 (관장제 ⇒ 사장제) - 공장안의 폐지(정조) = 등록제의 폐지 → 납포장의 증가(국가에 장인세를 납부하고 자유롭게 생산활동에 참여) → 장인의 계층분화, 국가의 통제력 약화
- 선대제 수공업 : 공인·상인으로부터 자금과 원료를 미리 받아 제품을 생산(상인이 장인을 지배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수공업자들은 상업 자본에 예속되었다. ☜ 이계집의 시“아깝게도 저 모시 남쪽 장사치에 다주고, 베 값이라 미리 받은 돈은 관청 빚에 다 털리고..”
- 독립수공업(18C후반) : 독자적으로 제품을 생산 판매
- 선대제수공업(종이, 화폐, 철물제조), 독립소공업(18후 농기구, 모자, 놋그릇), 농가수공업(직물, 그릇)
2) 관영수공업의 쇠퇴 : 부역제 통해 운영 안 됨, 19C이후에 소멸 - 17ㆍ8C 관아의 재정부족으로 관장제 수공업은 거의 소멸하고, 자기ㆍ제지ㆍ화폐ㆍ무기제조등 특수분야에만 관장제 지속
□ 광업의 발달 1. 조선 전기 : 염철법(공철)ㆍ철장제(부역)의 철장 도회제 실시로 국가직영(관채) → 16C 부역제해이로 사채허용 1) 광업을 국가에서 직접 경영하여 사적인 광산경영을 금지
2) 명나라에 조공을 피하기 위해 금광과 은광이 폐쇄
2. 조선 후기 1) 17C 설점수세제 제정(효종) = 별장이 관리하는 별장제 - 정부에서 민간인에게 광물의 채굴을 허용하는 대신에 세금을 징수하여 광업이 활기 - 청과의 무역확대로 은광의 개발의 활기
2) 18C 수령수세제(영조) = 수령이 관리 - 상업자본이 사금채굴에 몰려 금광의 개발의 활기 - 합법적인 경우도 있었지만 몰래 채굴하는 경우도 성행(잠채의 성행)
3) 경영전문가(덕대제): 물주가 수령의 감독하에 덕대나 혈주 등의 전문가를 고용하여 광물채굴 - 덕대가 물주로부터 투자를 받고 이를 통해 채굴업자와 광군과 같은 노동자를 고용
국가직영(15) ⇒ 부역동원 어려움 ⇒ 사채허용(16) ⇒ 잠채성행 ⇒ 설점수세(17, 별장제) ⇒ 별장제 폐지, 농민 광산집중 사채금지 ⇒ 수령수세제(영조1775) ⇒ 수령들 거부 ⇒ 덕대제(18중엽) |
|
.
======================================================
주제 23 농업 생산력의 발달과 지배층과 농민의 생활
1. 삼국 시대에는 거름을 주는 기술이 발달하여 휴경지가 줄어들었다. (2007년 서울시 9급)
2. 신라 민정 문서에 기록된 개별 호의 등급으로 농민들의 생활수준을 판단할 수 있었다. (2009 7급 국가직)
3. 고려 시대의 농법 중 밭농사에서 2년 3작의 윤작법은 전기부터 일반화되었다. (2010 9급 지방직)
4. 전분6등법, 연분9등법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에 남부 지방에서는 모내기가 보급되어 일부 지역에서 벼와 보리의이모작이 가능하였다. (2011년 국가직 9급)
5. 고려 말에 정천익(鄭天益)은 기후와 풍토가 다른 우리나라에서 목화 재배에 성공하고, 중국 승려로부터 씨아와 물레의 기술을 배워 의류 혁명에 크게 기여하였다. (2011년 경찰 2차)
6. 조선 전기에는 시비법이 발달하여 인분과 재를 사용하면서 경작지를 묵히지 않고 계속 사용할 수 있었다. (2009년 7급 지방직)
7. 조선 전기에는 모내기가 전국적으로 보급되어 벼, 보리의 이모작이 가능해졌다. (2010년 9급 서울시)
8. 조선 정부는 초기부터 저수지를 다수 축조하는 등 안정된 농업 조건을 위한 권농 정책을 추진하였다. (2010년 9지방직)
9. 조선 전기에 인구가 증가하면서 쌀의 수요가 늘자 밭을 논으로 바꾸는 현상이 활발해졌다. (2011년 국가직 9급)
10. 농사직설 은 우리 현실에 맞는 농법을 개량하고 보급할 목적으로 편찬되었다. (2007년 7급 국가직)
11. 조선 후기에는 모내기법의 확대로 광작 농업이 발달하여 소작지 얻기가 어려워졌다. (2010년 기상직 9급)
12. 조선 후기에 벼농사가 더욱 확대되어 각종 상품 작물의 재배가 위축되었다. (2008년 국가직 7급)
13. 조선 후기에 소작농의 지대(地代)가 타조법에서 도조법으로 바뀌는 현상이 나타났다. (2008 국가직 7급)
추가 문제
14. 삼국이 형성되는 초기에 농기구는 돌이나 나무로 만든 것과 일부분을 철로 보완한 것이었다. (2007 9급 서울시)
15. 조선 전기에 쟁기·낫·호미 등의 농기구가 개량되었다. (2010년 9급 서울시)
16. 조선 전기에는 유교적 민본주의를 바탕으로 농가집성 등의 농서가 편찬·보급되었다. (2010년 9급 지방직)
17. 금양잡록 은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농업 서적으로 강희맹이 금양(시흥) 지방에 은거하며 농사 경험을 토대로 저술하였다. (2012년 경찰간부후보)
18. 조선 후기에는 농업 생산력이 증대되고 도시 인구가 증가하였다. (2013년 9급 법원직)
19. 조선 후기에 농민 간의 빈부격차가 심해졌다. (2009년 경찰정보통신)
주제 23 농업 생산력의 발달과 지배층과 농민의 생활 OX 정답 및 해설
1. ( X ) 고려 시대 중기 이전까지는 퇴비 만드는 기술이 부족하여 땅에서 일정기간 농사를 짓지 않는 휴경이 일반적이었다.
2. ( ◯ ) 신라 민정 문서는 재산 정도에 따라 호를 9등급으로 구분하였다. 개별 호의 등급을 보면 농민들의 생활수준을 짐작할 수 있었다.
3. ( X ) 2년 3작의 윤작법은 보리, 조, 콩을 번갈아 심는 밭농사 농법으로 고려 후기에 일반화되었다.
4. ( ◯ ) 전분6등법과 연분9등법은 조선 세종 때에 만들어졌다. 모내기가 남부 지방에 보급된 것은 고려 말이었다.
5. ( ◯ ) 정천익은 문익점의 장인으로 문익점이 원나라에서 가져온 목화 재배에 성공하여 널리 보급하였다. 또한, 목화씨를 빼내는 씨아, 실을잣는 물레 기술을 배워 의류 혁명에 크게 기여하였다.
6. ( ◯ ) 고려 중기에는 녹비법(콩과 식물을 갈아엎어 비료로 사용)을 사용하였고, 후기에는 퇴비법(동물의 배설물과 짚, 재 등을 거름으로 사용)이 보급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인분과 재를 사용하는 중국 강남 지방의 농법과 밑거름과 덧거름을 쓰는 시비법이 사용되면서 휴경지가 많이 줄어들었다.
7. ( X ) 모내기가 전국적으로 보급된 것은 조선 후기이다. 조선 전기에는 남부 지방 일부에서 모내기가 보급되었을 뿐이다. 이후에 저수지 등수리 시설이 확대되면서 봄철에 물이 부족한 중부 지방에서도 모내기가 보급되고 벼, 보리의 이모작이 가능해졌다.
8. ( ◯ ) 조선은 농업을 숭상하여 안정된 농업 조건을 갖추기 위한 정책들을 일찍부터 실시하였다. 이러한 정책에는 농기구 보급, 농서 간행· 보급, 저수지 축조 등이 있었다.
9. ( X ) 밭을 논으로 바꾸는 현상은 조선 후기에 상품 작물 재배가 확대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10. ( ◯ ) 농사직설은 실제 농민들의 농사 경험을 바탕으로 만든 농서로, 우리 현실에 맞는 농법을 수록한 것이다. 이를 지방관아에 보내 수령들이 농사 기술을 지도할 수 있도록 활용하였다.
11. ( ◯ ) 모내기법의 보급으로 농민들이 경작지의 규모를 확대하는 등 광작이 가능해졌다. 광작이 가능해지면서 농토 대부분을 소작시켰던지주들이 소작지를 회수하여 노비를 늘리거나 농업 노동자들을 고용하여 직접 농사를 짓는 일이 많아졌고, 이로 인해 빈농들이 소작지를얻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12. ( X ) 조선 후기에 농민들은 시장에 팔기 위해 담배, 인삼, 채소, 목화, 약재, 고추, 모시, 생강, 지황 등 각종 상품 작물을 재배하였다. 또한, 쌀 역시 수요가 많이 늘어나 가장 거래가 많이 되는 상품이었으며, 밭을 논으로 바꾸는 현상이 활발해졌다.
13. ( ○ ) 조선 전기까지는 생산물을 소작인과 지주가 반반씩 나누는 타조법이 일반적이었으나, 조선 후기에는 도조법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도조법은 풍흉에 관계없이 일정 액수를 내도록 하는 것이며, 지대를 화폐로 내는 금납화 현상도 나타났다. 도조법에서 소작료는 대개 수확량의 1/3에 불과하였고, 도지권을 가지면 지주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어서 자유로운 농업 경영이 가능하였다. 추가 문제
14. ( ◯ ) 쟁기, 호미, 괭이 등 철제 농기구는 6세기에 이르러 널리 사용되었다. 이전까지는 돌이나 나무로 만든 것과 일부분을 철로 보완한것을 사용하였다.
15. ( ◯ ) 조선 전기에는 정부가 농기구를 개량해 보급하였다. 개량된 농기구에는 쟁기, 낫, 호미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농기구 개량도 조선정부의 권농 정책의 하나였다.
16. ( X ) 농가집성은 조선 인조 때에 간행된 농서이다. 조선 전기 때 편찬·보급된 대표적인 농서는 농사직설, 금양잡록이 있다.
17. ( ◯ ) 조선 전기에는 농사직설, 금양잡록 등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농업 서적이 편찬되어 보급되었다. 농사직설은 조선 세종 때 농민들의 농사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었고, 금양잡록은 성종 때 강희맹이 퇴직한 후 직접 농사를 지은 경험으로 만든 농서이다.
18. ( ○ ) 조선 후기에는 영농 기술의 발달로 농업 생산력이 증가하였다. 이앙법의 확대와 더불어 광작을 경영하는 부농과 토지를 잃고 유랑하는 농민들이 나타났다. 살기 어려워진 농민들은 도시로 가 상공업에 종사하거나 광산이나 포구의 임노동자가 되기도 하였다.
19. ( ◯ ) 이앙법으로 적은 노동력으로도 농사가 가능해지면서 광작에 참여한 농민은 부농, 서민 지주로 성장하였지만, 농민들 대부분은 소작지 얻기가 더욱 어려워져 토지에서 이탈하여 상공업에 종사하거나, 품팔이 노동자로 전락하는 등 농민의 계층 분화가 이루어졌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주제 24-2 수공업과 광업
1. 조선 전기에 전문적인 기술자들이 공장안에 등록되고 중앙과 지방의 관청에 소속되었다. (2006년 9급 국가직)
2. 조선 후기에는 국가에 장인세를 바치는 납포장이 줄어들었다. (2010년 국가직 7급)
3. 17세기 이후 관영 수공업은 부역제가 해이해짐에 따라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2007년 세무직 7급)
4. 조선 후기에는 관청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제품을 제작·공급하는 관영 수공업이 발달하였다. (2008년 지방직 7급)
5. 조선 후기에는 민간 수공업자들이 상인 자본으로부터 주문뿐만 아니라 자금과 원료를 미리 받아 제품을 생산하는 선대제가 성행하였다. (2008년 지방직 7급)
6. 조선 후기에 민간 수공업자들은 선대제적인 생산 방식으로 상업 자본에서 독립할 수 있었다. (2009년 지방직 9급)
7. 광산 경영은 경영 전문가인 물주가 상인에게 자본을 조달받고 채굴업자, 노동자들을 고용하여 광물을 채굴하고제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2010년 법원직 9급)
8. 조선 후기에는 청과의 무역으로 은의 수요가 늘면서 은광의 개발이 활기를 띠었다. (2011년 지방직 7급)
9. 17~19세기에는 인구의 자연 증가와 도시 유입으로 상품 화폐 경제의 진전이 보다 촉진되었다. (2008년 지방직 9급)
10. 조선 후기에는 덕대가 상인 물주에게 자본을 조달받아 채굴업자, 채굴 노동자, 제련 노동자를 고용하여 광물을채굴하고 제련하였다. (2008년 지방직 7급)
주제 24-2 수공업과 광업 OX 정답 및 해설
1. ( ◯ ) 조선 전기에는 관영 수공업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관영 수공업은 전문적 기술자를 공장안에 등록시키고 등록된 기술자들에게 부역을부과하였다. 부역으로 할당되는 책임량을 초과한 생산품은 장인세를 내고 판매도 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의 관영 수공업은 16세기 이후 부역제의 붕괴로 쇠퇴하였다.
2. ( X ) 납포장은 장인세를 국가에 내고 자유롭게 물건을 만들어 시장에 내다 파는 수공업 기술자들로, 조선 후기에 이러한 납포장이 크게 늘었다.
3. ( ◯ ) 16세기에 수공업 기술자(공장)들이 관청에 등록하는 것을 기피하였고, 정부의 재정도 악화되어 관영 수공업 체제를 유지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4. ( X ) 조선 후기에 관영 수공업이 쇠퇴해지면서 정조 때 장인 등록제인 공장안이 폐지되었다. 대신 민영 수공업자인 납포장이 증가하면서 이들에 의해 수공업이 발달하였다.
5. ( ◯ ) 공인, 상인들로부터 주문과 함께 원료와 자금을 미리 받아 제품을 생산하는 선대제는 상업 자본이 물주로서 수공업자를 지배하는 형태였다. 당시의 보편적인 수공업 형태였으며, 종이·화폐·철물 등의 제조 분야에서 뚜렷하였다.
6. ( X ) 선대제 수공업은 상업 자본에 예속되는 방식이다. 민간 수공업자들이 공인이나 상인에게 주문과 함께 자금과 원료를 미리 받아서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18세기 후반에 이르면 독자적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수공업자가 등장했다.
7. ( X ) 물주는 광산 경영에 돈을 대주는 사람이고, 경영 전문가는 덕대라고 하였다.
8. ( ◯ ) 민영 수공업의 발달에 따라 그 원료인 광물의 수요가 급증하게 되면서 금·은·동 등의 채굴이 촉진되었다. 특히, 청과의 무역으로 은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은광의 개발이 활기를 띠었다.
9. ( ◯ ) 농민의 계층 분화에 따라 농촌에서 유리된 인구가 도시로 유입되어 상업 활동이 활발해졌다.
10. ( ◯ ) 조선 후기에 광산 경영 형태는 분업화되어 있어 경영 전문가인 덕대가 상인 물주에게 자본을 받아 채굴업자, 채굴노동자, 제련노동자 등을 고용하여 광물을 채굴하고 제련하던 것이 일반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