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고대 중세 조선 상업 무역 - 통시적>

Posted by 기자 =.=
2017. 4. 18. 22:37 한국사/1 전근대 요약
반응형

082. 고대중세조선시대 상업과 무역활동

 1. 신라: 동시전을 설치하여 동시를 통제(지증왕) 경주에 시장 개설(소지마립간 5C)


2. 통일신라: 동시, 서시, 남시가 번성 (북시)


3. 고려 전기

1) 시전의 설치: 개경에 설치, 상설시장, 관청과 귀족이 주로 이용(비정기적인 시장)

2) 경시서의 설치: 상행위의 감독, 물가조절 *동시전(지증왕) 경시서(고려) 평시서(세조) 평식원(대한제국)

3) 개경, 서경, 동경 등 대도시에 다점, 주점, 서적점, 약점 등 관영상점의 설치

4) 지방 상업 활동: 시장설치, 행상의 활동. 사원의 상업 활동


4. 고려후기

1) 도시 상업의 발달: 민간 상품의 수요와 관청의 물품 구입량 급증. 시전규모 확대, 업종별로 전문화,

벽란도를 비롯한 항구들이 교통로와 산업의 중심지로 발달

2) 지방상업 발달: 행상의 활동 활발, 새로운 육상로가 개척되면서 여관인발달 (상업활동의 중심지가 됨)

3) 상업 활동의 변화

- 소금 전매제 시행(충선왕), 관청이나 사원 등의 개입 : 농민을 강제로 유통에 참여시킴

- 상인과 수공업자들은 부를 축적하여 관리가 되기도 하였으나, 농민들은 경제적 여유가 없었다.


5. 조선전기

1) 시전 = 시전상인

- 국가에서 경시서(세조 이후 평시서)를 설치 장시를 단속하고 육의전 포함하여 불법적인 상행위 통제

- 조선후기 금난전권 부여(17C): 왕실이나 관청에 물품을 공급하는 대신 특정 상품에 독점권 행사

조선후기 서울 4대문 내 금난전권이 등장하여 도중이라는 조합으로 난전을 통제 정조 때 폐지

2) 장시: 조선초(15C) 흉년을 계기로 전라도에서 등장하여 18C중엽에는 전국에 천여 개소로 확대될 정도로 성장

- 비정기시장(15C) 전국으로 확대(16C) 정기시장화(5일장, 17C) 조선후기엔 일부 상설시장화

- 정부의 억제(농업을 버리고 상업에 몰릴 것을 염려) 16세기 중엽에 전국적으로 확대

- 18C말 광주의 송파장, 은진의 강경장, 덕원의 원산장, 창원의 마산포장 등은 전국의 유통망을 연결하는 상업의 중심지로 발돋움

- 조선후기 국가가 상업을 통제하면서 대구와 원주전주 등에 약령시와 가축시장등 특정시장을 정부 허가하에 운영되기도 함

- 장시는 물건의 매매에만 국한하지 않고 농촌 및 도시의 교류, 정보제공, 사교, 오락 등 사회기능의

중요한 결합장소로서 문화공간으로도 활용되었다.

-“관허상인인 보부상의 활동 (*CF.사상X)

조선초기 부터 활동, 장시를 하나의 유통망으로 연결, 보상(봇짐장수-사치품)부상(등짐장수-필수품)

포구나 강가에서 장시보다 큰 규모의 상거래 조선중기 이후 지방장시발달에 기여

사발통문이라는 독특한 연락방법을 사용

2개의 별도조직이었으나 혜상공국을 만들면서 하나로 통합 (혜상공국상리국농상아문상무사)

대한제국 때 황국협회를 조직하여 독립협회를 해산시킴


6. 조선후기 :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1) 신해통공 반포(정조) 금난전권 철폐: 노론(벽파)의 정치자금을 막으려고

2)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상인의 금난전권 철폐 자유상업의 발달

- 모든 금난전권을 철폐×, 모든 물품을 자유롭게 판매했다×, 특정물품에 대해서 독점판매권을 행사했다×

3) 사상(난전)의 활동: 시전상인과 대립. 공인과는 대립하지 않음

도고: 국가의 통제력 약화

- 공인(어용상인)들의 독점적 도매상업, 전국을 대상×

- 상인의 계층분화, 박지원이 쓴 허생전의 모델

- 주로 대동법의 실시로 등장(균역법×)

- 폐단: 중소상인의 몰락, 물가의 폭등, 상인의 계층분화를 촉진

경강상인(선상=경상): 객주, 여각과 함께 포구에서 활동, 한강중심

- 포구: 조선후기의 상업중심지(칠성포, 강경포, 원산포 등)

- 한강을 근거지로 미곡, 소금, 어물이나 그 밖의 물품의 운송과 판매를 장악

- 운송업에 종사하면서 거상으로 성장하고 선박의 건조 등 생산 분야에까지 진출, 증기선 도입 후 몰락

객주여각: 상품을 위탁 판매하는 유통 상인, 중개업운송업숙박 및 금융업, 개항후 국제무역도 담당

송상(개성): 청과 일본의 중개무역을 담당(서적), 주로 인삼을 재배, 판매

- 전국 송방이라는 지점을 설치하여 활동 기반을 강화 (*운송업에 종사하였다.)

- 만상과 내상을 연결하여 청과 일본의 중개무역 담당. [만내송]

만상: 청과의 책문후시무역(만주 봉황성 책문, 사무역) 주도, 내상: 일본과의 무역, 유상(평양)

중강: 개시무역(공무역) 중심, 인삼을 제외한 기타물품의 무역 허용, 후시(밀무역) 성행

중도아: 송파, 종루(종로), 이현(동대문), 칠패(남대문), 누원 등의 중간도매상

4) 관허상인

시전(시전상인): 고려시대부터 활동, 국가에 관수품을 납부하고 금난전권을 확보

보부상: 정부의 승인으로 신분을 보장받으며 상업활동

공인: 조선후기 대동법의 실시로 등장, 대동세를 국가가 필요로 하는 물품으로 교환, 국가로 부터

공가를 미리받아 관수품을 납부 *CF.공물을 대납하고 이익을 챙긴것은 공인이 아니라 경저리!


=============================================================

.



주제 24-1 상업의 발달

1. 삼국이 통일된 이후 경주 인구의 증가로 상품 생산이 늘어 동시, 서시, 남시 등의 시장이 설치되었다. (2011년 국가직 7급)

2. 고려의 상업은 촌락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2010 9급 국가직)

3. 조선 전기에 시전은 도성 내 특정 상품 판매의 독점권을 보장받기도 하였다. (2008년 국가직 9급)

4. 조선 전기에는 공인(貢人)의 활동이 활발하였다. (2008년 국가직 9급)

5. 조선은 경시서를 두어 시전과 지방의 장시를 통제하였다. (2012년 지방직 9급)

6. 임진왜란 이후 선상의 활동으로 전국의 포구가 하나의 유통권으로 형성되어 갔다. (2013년 9급 기상직)

7. 객주는 경향 각지의 상품 집산지에서 상품을 위탁받아 매매를 주선하였다. (2009년 경찰정보통신)

8. 신해통공으로 시전 상인의 침탈로부터 중소 상인을 보호할 수 있었다. (2009년 지방직 7급)

9. 순조 때 일어난 서울의 ‘쌀 폭동’은 경강상인이 도성 안의 미전 상인을 움직일 정도로 성장하였음을 보여 주는사건이었다. (2010년 국가직 7급)

10. 조선 후기에는 상업 활동의 주역은 공인과 사상이었으며, 처음에는 공인들이 주도하였다. (2010년 기상직 9급)

11. 조선 후기에는 중개 무역을 하던 송상이 운송업, 조선업을 지배하면서 거상으로 성장하였다. (2013년 7급 국가직)

12. 조선 후기에 보부상은 농촌의 장시를 하나의 유통망으로 연계시켰다. (2011년 국가직 7급)

13. 조선 후기에는 상품 화폐 경제가 발달하면서 신용 화폐가 점차 보급되었다. (2011년 지방직 7급)

추가 문제

14. 조선 전기에 정부는 장시의 발전을 억제하였다. (2008년 서울세무직 9급)

15. 조선 전기에 장시에서 물건을 매매한 사람은 대부분 선상이나 도고 등 대상인이었다. (2008년 서울세무직 9급)

16. 조선 후기에는 전국적으로 장시는 1천여 개소였고, 보통 5일마다 열렸다. (2008년 지방직 9급)

17. 조선 후기에 경강상인은 한강을 중심으로 운송업을 주로 하였다. (2009년 서울시 9급)

18. 조선 후기에 상품 화폐 경제가 크게 발달하였다. (2009년 서울시 9급)

19. 객주는 숙박업을 운영하기도 하였다. (2009년 경찰정보통신)

20. 조선 후기에는 사상과 난전의 발호로 시전상인의 특권이 위협받았다. (2013년 7급 국가직)

21. 조선 후기에는 포구를 이용하여 경강상인이 선상(船商) 활동을 활발히 하였다. (2013년 7급 국가직)




주제 24-1 상업의 발달 OX 정답 및 해설

1. ( X ) 삼국이 통일되고 경주의 인구가 증가하면서 효소왕 때 서시, 남시가 추가로 설치되었다. 동시는 삼국 통일 이전에 경주에 있었던 시장이다. 

2. ( X ) 고려의 상업은 도시를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고려의 수도인 개경에는 시전이 있었고, 개경, 서경, 동경에 관영상점을 중심으로 상업이발전하였다. 촌락을 중심으로 상업이 발전한 것은 조선 중기 이후 장시가 발달하면서이다. 

3. ( ◯ ) 조선 전기에 시전은 왕실이나 관청에 관용 상품을 납품하였고, 그 대가로 도성 내에서 특정 상품 판매의 독점권을 보장받았다. 난전을 단속하는 독점 판매권인 금난전권은 17세기에 나타나며, 조선 정조 때에 신해통공으로 금난전권이 폐지되었다. 

4. ( X ) 공인(貢人)은 관청에 물건을 납품하는 전문상인이나 수공업자를 말한다. 공인은 광해군 때 대동법이 처음 시행되면서 등장하였다. 조선 전기에는 방납인들이 공물을 바쳤는데 이 과정에서 생기는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대동법을 시행하였다. 대동법의 시행으로 종래 방납인들은 공인이 되어 합법적인 어용상인으로 활동하였다. 

5. ( X ) 경시서는 한양의 시전을 감시하는 기관이었다. 경시서에서 전국 곳곳에서 때때로 열리는 지방 장시를 통제하기는 어려웠다. 

6. ( ○ ) 선상은 선박을 이용하여 물품을 나르고 교역하는 상인이다. 조선 후기에는 상품 화폐 경제가 발달하였고, 18세기에는 포구가 교통과운송의 중심지로 성장하였으며, 포구를 거점으로 선상, 객주, 여각 등이 상행위를 하였다. 

7. ( ◯ ) 객주와 여각은 포구에서 발달한 상인의 한 형태로, 상품의 매매를 중개하고 부수적으로 운송, 보관, 숙박, 금융 등의 영업도 하였다. 

8. ( ◯ ) 신해통공은 시전 상인이 서울 도성 안과 도성 아래 10리 이내의 지역에서 난전을 단속할 수 있는 단속권인 금난전권을 폐지한 것으로, 신해통공으로 혜택을 본 것은 규모가 작은 사상들이었다. 

9. ( ◯ ) 경강상인은 선박을 이용하여 막대한 자본을 축적하였고, 19세기 초중반에 서울에서 소비하는 연간 100만 섬이 넘는 쌀 가운데 절반을 조달할 정도였다. 1833년에 쌀값을 올리려고 매점매석하면서 쌀값이 폭등하자 도시빈민들이 폭동을 일으켰다. 

10. ( ◯ ) 공인은 대동법 실시로 대두하였으며, 관아에서 미리 공가를 받아 필요한 물품을 사서 납품하는 어용상인으로 상업 발달에 기여하였고, 이후에는 사상이 주도하였다. 

11. ( X ) 중개 무역, 운송업, 조선업에 종사하던 이들은 선상과 경강상인들이다. 송상은 인삼의 재배와 판매, 대외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하였다. 

12. ( ◯ ) 5일마다 열리는 장시를 연결하면서 농촌의 장시를 하나의 유통망으로 연계시킨 상인은 보부상이었다. 

13. ( ◯ ) 조선 후기에 많이 쓰인 동전은 그 무게 때문에 대규모의 상거래에서는 불편하였다. 이에 신용 화폐인 환, 어음이 사용되어 신용 화폐가 본격적으로 등장할 수 있었다. 

<추가 문제>

14. ( ◯ ) 조선은 농업을 숭상하고 상업을 억제하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정책에 따라 조선 전기에 장시의 발전은 억제되었다. 

15. ( X ) 장시는 15세기 후반 전라도 지방에서 시작되어, 16세기에는 10일장이나 5일장으로 발전하였고 일부 장시는 상설화되었다. 18세기에이르면 장시는 전국에 1,000여 개소가 개설될 정도로 확대되었다. 선상이나 도고 같은 대상인이 등장한 것은 조선 후기이다. 

16. ( ◯ ) 장시는 15세기 후반에 전라도에서 시작되어 점차 10일장이나 5일장으로 발전하였다. 조선 후기에 상품 화폐 경제가 발달하면서 곳곳에 들어서면서 전국적으로 1천여 개소의 장시가 개설되었다. 장시는 보통 5일장으로 열려 지방민들이 물건을 사고팔고 정보를 교환하는장소였다. 

17. ( ◯ ) 경강상인은 선박을 이용해서 각 지방의 물품을 구입하여 포구에서 판매한 대표적인 선상이다. 이들이 주로 활약한 지역은 서남해안과 한강변이다. 

18. ( ◯ ) 조선 후기에 들어 모내기법의 전국적인 확대에 따라 농업 생산력이 증대되고, 민영 수공업의 발달에 따라 수공업 생산이 활발해지면서 상품의 유통이 활발해졌고, 상품 화폐 경제가 크게 발달하였다. 

19. ( ◯ ) 객주는 전문 상인의 일종으로, 선상들이 포구에 운반한 상품의 매매를 중개하고 상품의 운송, 보관, 숙박, 금융 등의 영업도 하였다. 

20. ( ○ ) 조선 후기 사상의 성장으로 인해 시전 상인들의 특권이 위협받기 시작하였고, 결국 18세기 말, 정조 때 신해통공으로 금난전권이철폐되기에 이르렀다. 

21. ( ○ ) 경강상인들은 운송업을 통해 성장한 선상으로 주로 서남 연해를 오가며 미곡, 소금, 어물 등을 거래하였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주제 24-3 무역

1. 삼국이 통일된 이후에 중국과 무역의 확대로 중국 산둥 반도와 양쯔 강 하류에 신라방, 신라소, 신라관, 신라원등이 설치되었다. (2011년 국가직 7급)

2. 고려의 대외 무역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당과의 무역이었다. (2010년 9급 지방직)



주제 24-3 무역 정답 및 해설

1. ( ◯ ) 신라는 당나라와 활발히 해상 무역을 전개하면서 교역이 편리한 곳에 집단적으로 이주하여 살기도 하였다. 당시 산둥반도와 양쯔 강하류에 신라인들이 거주하는 신라방이 곳곳에 생겨났으며, 이들을 위한 신라소, 여관인 신라관, 사찰인 신라원 등이 설치되었다. 

2. ( X ) 고려 대외 무역에서 가장 비중이 큰 것은 중국의 송나라와 무역이었다. 당나라는 고려 건국 이전 멸망하였으며 당나라와 무역을 한것은 통일 신라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