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고려의 유학과 성리학 & 예학ㆍ보학 >>>>>>>

Posted by 기자 =.=
2017. 4. 18. 22:18 한국사/1 전근대 요약
반응형

058. 고려의 유학과 성리학 & 예학보학


유학도입

수 입

삼국시대(귀족층), 윤리적충효적 의미와 사회도덕 중요시


발전

삼국

고구려: 태학,경당 설립하여 유교 교육


백제: 박사제도, 역사서편찬, 아직기가 논어등 유교경전 일본에 전파


신라: 고구려백제에 비해 늦게 수용, 상대(임신서기석, 진흥왕의순수비,

국사편찬), 중대(국학), 하대- 유교와 선종결합, 독서삼품과


통신


유교가 불교에 대항하는 독립된 사상으로 대두되기 시작,

현세적인 도덕지상주의를 내세워 내세적인 불교세계관을 비판


고려유학

전 기

자주적이며 주체적 성격(󰃚 최승로 시무28) - 최승로, 김심언


유교는 현세를 위한 가르침, 불교는 내세를 위한 가르침이라 하여 서로 병존가능한 것으로

생각, 유교의 정치이념은 도덕적 합리주의에 입각한 중앙집권적 귀족정치를 실현하는 도구


중 기


보수적훈고학적 유학(,): 경전의 자구가 갖는 의미해석에 중점 - 최충, 김부식


후 기

훈고학적 유학 반대, 유교의식 보급, 배불론


성리학전래: 충렬왕 때 안향이 원나라로 부터 최초수입, 실천적인 윤리를 중시

인간의 심성과 우주의 근원을 형이상학적으로 해명하는 철학으로 발전


이제현(만권당, 송설체), 정몽주(동방이학의 조), 권근, 정도전



1. 고려의 유학

1) 전기

태조: 6두품 출신 유학자들이 고려 건국사업을 도우면서 유교가 정치에 미치는 영향이 커짐,

중앙집권적 관료제와 애민사상을 강조하는 유교사상이 귀족사회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 등장

광종: 과거제 실시, 당 태종의 정관정요가 제왕학의 지침서로 사용

성종: 국자감 설치, 최승로 시무 28, 승려의 정치 참여 금지

현종: 설총과 최치원을 각각 흥유후와 문창후로 추봉


2) 중기

문종: 12개의 사립학교, 최충(별명이 해동공자, 지공거: 과거시험 출제자)의 9재학당(사학--나와서 학원을 만들더라. 여기서 공부하면 과거합격하더라), 김부식도 이때--삼국사기


②  숙종: 서적포(유교서적간행-- 사학의 반대현상. 즉, 관학진흥책), 기자사당(평양) cf:단군사당(평양)

예종: 국자감에 7설치(유교교육 전문화

인종: 국자감에 6학정비, 주현에 향교증설, 삼국사기편찬


의종: 문벌귀족 사회 몰락과 더불어 전반적으로 위축( 그래도 서방에 이규보 있었다), 그러나 과거제도는 계속 시행


3) 후기(충렬왕--시기문제): 안향의 성리학 수용, 소학주자가례(실천적 유학)


2. 성리학의 도입 (무신정권 끝나고)

1) 수입: 조계종승려 혜심의 유불일치설을 통해 사상적 기반이 형성 되었고충렬왕 때 안향이 원나라로부터 수입 (성리학은 남송의 주자에 의해 집대성)


2) 신유학(성리학)의 특징

주로 신진사대부들이 현실사회의 모순을 시정하기 위한 개혁사상으로 수용

군신공치의 정치윤리 강조로 신권을 강화

지주와 작인간의 자율적 협력관계를 통해 지주제 인정

우주와 인간의 본질에 대한 형이상학의 철학체계 수립


일상과 관계되는 실천적 기능 강조 (개혁사상으로 수용은 했는데...철학처럼 뜬구름만 잡으면 안되니..)(소학주자가례 중시(이게 곧 예)-----향후 사림파가 또 강조함, 권문세족과 불교폐단 비판)


불교의 선종 사상을 유학에 접목한 것으로 5경보다는 4(대학논어맹자중용) 중시


3) 발전

충렬왕: 경사교수도감설치, 국자감에 문묘(공자사당) 설치, 홍자번의 [사민18] 주장

*전파

이제현 : 충선왕 때 원에 설립된 만권당에서 원의 학자들과 교류하면서 성리학에 관련 서적을  구해와 이해를 심화시킴, 조맹부송설체 유입  → 귀국한 후에 이색 등에게 영향을 주어 성리학 전파에 이바지


충숙왕: 이색(성리학 심화)


공민왕

성균관 중영(다시짓고. 즉 국자감(감자국만드는 기술교육)에 유학부와 기술학부 둘이 있었는데 기술학부를 빼고 성균관은 유학교육만), 


정몽주(동방이학의 조), 


정도전(학자지남도, 심문천답, 불씨잡변)



4) 분열: 개혁의 정도와 방법을 둘러싸고 대다수의 온건파와 극소수의 급진파로 분열

온건파: 성리학의 고전적 입장을 충실히 따르는 학풍, 지주제 인정과 지주의 자율성 강조

급진파: 주례(국가사회주의적 성격) 정신 수용, 토지공개념에 입각한 토지 재분배로 농민의 이해 반영

성리학의 영향으로 훈고와 사장은 침체되고, 사학경학은 발달, 주자가례 수입으로 유교의식 보급




3. 예학과 보학의 발달(16~17C)


 

예학

보학

배경

명분중심의 도덕윤리와 가례 등 예의 강조

가족과 친족공동체의 유대를 통해 사림의 문벌형성 강화

목적

신분질서의 유지 강화

신분질서의 유지 강화 + 양반의 신분적 우위 과시

기능

상장제례에 관한 지식으로 종족내부의 의례규정

종적횡적 위치파악과 종가의 위계질서 정립

영향

유교주의적 가족제도의 확립과 제례의식의 정립에는 도움이 되었으나, 지나친 형식에 구애되어 예송논쟁의 구실로 이용됨

족보편찬과 보학의 강조는 조선후기

더욱 강조되어 양반문벌제도 강화에 기여

기타

주자가례()에 영향

김장생[가례집람], 정구[오선생예설분류]

충남 돈암서원(김장생 추모서원)

선원록(선원계보기략): 왕실의 족보

공통점

양반신분의 유지와 성리학적 지배질서 확립에 기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