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대 중세 군사제도>
№ 049 고대와 중세의 군사제도 [№ 076 조선시대 군사제도]
1. 삼국시대 1) 원칙, 특징 : 지방장관이 행정과 군사의 담당(일원적 통치체제) 2) 고구려: 평상시는 성주(욕살,처려근지)가 개인군대 유지, 유사시 대모달ㆍ말객이 군사지휘 3) 백제: 지방장관인 방령이 각각 700~1200명 군사 거느림 4) 신라: 중앙군(서당, 모병으로 구성) 지방군(6정, 군주가 주 단위로 설치한 부대인 ‘정’을 거느림) 2. 남북국시대 1) 국민개병제 2) 중앙군 - 통·신: 9서당(신문왕) - 이민족의 포함(민족융합의 목적), 왕권강화 - 발해: 대장군, 장군이 지휘 *상장군× 3) 지방군 - 통·신: 10정. 이화혜정(청송), 삼량화정(달성),소삼정(함안), 음리화정(상주) 3. 고려시대 1) 원칙ㆍ특징: 중앙군과 지방군이 2원적 조직으로 구성, 중방 운영(2군6위가 완성된 현종대에 설치 추정) 2) 상장군과 대장군이 참여(중방, 무신란 代 군사기구 + 정치기구) cf. 장군(장군방), 교위(교위방) 3) 중앙군: 2군 6위 ⑴ 2군: 국왕의 친위군, 응양군(상장군이 중방의 수장), 용호군 ⑵ 6위: 수도경비, 국경의 방어. 좌우위, 신호위, 금오위, 흥위위, 천우위, 감문위 ⑶ 성격ㆍ특징: 무관이 지휘 - 세습직업군인: 직업군인, 군인전지급, 신분세습(군반씨족으로 구성, 조선×) - 중류층: 직역이 자손에게 세습, 무신으로 신분상승의 가능, 정용군·보승군은 지방군에서 합류 ⑷ 한계 : 각종 토막공사에 동원, 군인전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자, 몰락하거나 도망하는 자가 많아짐 → 일반 농민군으로 채워지기도 함 4) 지방군: 주현군, 주진군 (국방적 성격이 강한 의무병, 토지(군인전)가 지급되지 않음. 16세 이상) - 주현군: 5도의 일반군현에 주둔, 정용군, 보승군, 일품군(향리가 지휘) - 주진군: 양계에 배치되어 국경 수비를 전담. 좌군, 우군, 초군으로 구성된 상비군. 최고 지휘관 : 도령 5) 특수군·방위체제 : 광군사, 별무반, 삼별초 - 광군사: 거란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편성 - 별무반: 윤관이 주장. 여진족 정벌. 신기군ㆍ신보군ㆍ항마군(승병), 현직관료ㆍ과거응시생을 제한 전국민 대상 - 삼별초 : 좌별초, 우별초, 신의군. 도방과 함께 최씨 무신정권의 군사적 기반. 개경환도(1270)에 거부 - 연호군 : 고려 지방방위군으로 농민과 노비로 구성된 혼성 부대로 조선의 속오군과 유사
6) 중방 : 고려전기에 이미 설치 → 무신정변후 정치적 역할이 강화되면서 국가 중추기구로 발전 - 무신들의 합좌 기구, 2군 6위의 상장군, 대장군 등이 회의 4. 조선전기 1) 원칙, 특징 ⑴ 양인개병제(현직관리와 학생만 면제) = 국정교과서에는 “모든 양인은 정군(정병)과 보인(봉족) 으로 편성된다. 다만 현직관리(향리도 현직관리)와 학생은 군역을 면제. => 종친이나 외척, 공신이나 고급 관료의 자제들도 특수군에 편입되어 군역을 담당 ⑵ 보법의 시행 ① 정군 : 현역군인, 복무기간에 따라 품계(녹봉×)를 받기도 함 => 원칙은 품계, 녹봉 모두 안됨 ② 보인 : 정군의 비용부담 ⑶ 농병일치제(의무병) ⑷ 노비는 군역의 의무가 없으나 필요에 따라 특수군에 편제 *노비가 군역을 부담하는 경우는 없음× ⑸ 군역은 호적을 토대로 군역대상자를 3년마다 조사하고, 군적은 6년마다 작성 2) 중앙군 ⑴ 5위: 의흥위, 용양위, 호분위, 충좌위, 충무위 ① 갑사 : 직업군인 ───────────┬ 복무기간에 따라 비교적 높은 품계를 받음 ② 특수병 : 고급 관료 자제를 중심으로 편성 ┘ ③ 번상병(정병) : 지방군에서 교대로 서울로 올라와 일정기간 시위하고 당번이 끝나면 귀향. 녹봉을 받지 않고, 복무 기간에 따라 산계를 받음. 수적으로 가장 많으나 갑사 등 직업군인이 5위의 중심 ⑵ 내삼청(내금위, 우림위, 겸사복): 국왕 친위대. 병조판서가 총영하는 소수 정예 부대, 체아록을 받음 3) 지방군 : 영진군(지역에 따라서 병영이나 수영이 하나나 두 개의 설치), 잡색군 ⑴ 영진군 : 병영(육군), 수영(수군) ① 편성 : 병농일치를 바탕으로 선발된 농민병(정병)으로 구성, 일부는 교대로 서울에 복무(번상병) → 중앙군과 지방군의 교류 가능 ② 지방관이 군사지휘권의 행사 ③ 수군은 육군에 비해 업무가 과하고 위험하여 사람들이 입대를 기피 ⑵ 잡색군 : 사회의 각 계층으로 구성(농민은 제외), 예비군의 일종. 임진왜란 때 의병조직의 기초 4) 특수군·방위체제 : 진관체제, 제승방략체제 ⑴ 진관체제(세조이후) : 국가 수익과는 무관 ① 요충지의 고을에 성을 쌓아 지킴. ② 전국의 군현을 지역단위로 방어(군현단위의 전국적 방어체제) ③ 많은 외적의 침입 때 방어에 불리 ⑵ 제승방략체제(명종 이후) ① 필요한 방어지역에 각 지역의 병력 집결 ② 임진왜란 중에 효과를 거두지 못함 ③ 결국 조선 후기에는 진관으로 복구(속오군체제)
5. 조선후기(사건별로 나눌 때는 임진왜란 이후로 봄) 1) 원칙, 특징 : 상비군, 용병제, 직업군인 => 중앙군(훈련도감이 대표적)만!(모두 직업군인✕) 2) 중앙군 ⑴ 5군영: 임기응변(무계획적), 병종의 다양성(상비군+번상병), 용병제 실시, 서인정권의 군사적 기반 강화 목적 ⑵ 훈련도감(임진왜란 중, 1593): 유성룡의 건의로 설치, 중앙군영의 핵심, 서인이 설치한 것이 아님. ① 구성 : 삼수병(사수, 살수, 포수)으로 편성 ② 대우 : 장기간 근무 하고 일정한 급료를 받는 상비군(장번 급료병), 직업군인의 성격 ③ 기능 : 어영청, 금위영과 함께 삼군문으로 불려지면서 중앙군의 핵심역할을 담당 ④ 설치의의 : 임시방편적 미봉책이었지만, 의무병제와 농병일치제가 무너지고 용병제 및 상비군제로 바뀌어 가는 계기가 됨. 국가 재정에 큰 부담 ⑤ 경비는 삼수미세(2.2두)로 마련. ⑶ 어영청(인조 1년): 인조반정에 성공한 서인이 정권을 안정시키고 후금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설치 ① 기능 : 서울 도성을 숙위하는 업무 ② 기능 강화 : 이괄의 난(1624) 이후 훈련도감과 함께 중앙군으로서의 기능이 더욱 강화. ③ 북벌추진(효종 3년, 1652) : 효종이 북벌 정책을 추진할 때 어영군을 북벌의 핵심부대로 양성하려함 ④ 경비 : 둔전, 보인, 국가재정상 어려움으로 교대로 번상 근무(번상병 중심) ⑷ 총융청(인조 2년, 1624) ① 기능 : 이괄의 난 후 북한산성을 중심으로 수도의 북부를 방어 ② 구성 : 정군, 속오군, 별대마군(기마병)으로 구성. 속오군이 가장 많음 ③ 경비 : 둔전, 보인 ④ 변화 : 어영군이 청의 잦은 징병 요구에 따라 군사로 차출되면서, 총융청 군사가 서울에 입번하기도 함 ⑸ 수어청(인조 5년, 1627) ① 기능 : 정묘호란 후 → 남한산성 중심으로 수도 남부 방어를 담당. 속오군, 번상병 중심 ② 경비 : 둔전, 보인 ⑹ 금위영(숙종 8년, 1682) ① 운영 : 정초군과 훈국중부별대를 통합하여 설치. 병조판서가 금위대장을 겸함(당시 논란이 됨) → 결국 병조판서와 대장을 분리하고 병조판서를 제조로 임명하면서 독립된 군영으로 정비 ② 설치 의의 : 수도 경비와 국왕 숙위를 담당, 금위영로 설치로 중앙군으로서 5군영 체제가 완비 ③ 경비 : 둔전, 보인 3) 지방군 ⑴ 속오군 ① 양반부터 노비까지 편제(양반이 같이 편제 되는 것을 싫어하였기 때문에 상민과 노비만 남음) ② 경비를 자비로 충당 ③ 평상시 생업에 종사하다가 적이 침입해 오면 전투에 동원 : 연호군, 잡색군과 같은 성격 ④ 중앙군에 편입되는 경우도 있음(총융청, 수어청) *. 지방방어에 전념× ⑵ 영장제 ① 목적 : 속오군의 조련을 목적. 인조~효종-각 지방에 영장 파견 ② 폐단 : 영장에 대한 대우 향상(국가 재정 문제 발생), 속오군에 대한 빈번한 조련(민생 악화). 영장과 수령이나 감사와의 갈등과 마찰(지방 지배 체제에 문제 야기) ③ 결과 : 조선 정부의 악화된 재정으로 인해 영장제에 대해 혁파와 복설이 반복됨. 4) 특수군·방위체제 : 진관의 복구(속오군체제의 정비) |
№
'한국사 > 1 전근대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고려 문화- 사관의 흐름 / 삼국사기 유사 (역사서)>>>>>>> (0) | 2017.04.18 |
---|---|
4 <고려의 유학과 성리학 & 예학ㆍ보학 >>>>>>> (0) | 2017.04.18 |
1 <- 원 간섭기><충선왕 공민왕 개혁정치> (6) | 2017.04.18 |
1 <- 이자겸의 난, 묘청의 난, 무신정권> (2) | 2017.04.18 |
4 <- 중세불교 - 조계종과 천태종>>>>>>>>>> (0) | 2017.04.18 |
1 <고려의 대외항쟁> (0) | 2017.04.18 |
2 <고려 경제, 무역> (0) | 2017.04.18 |
2 < >>고려 토지제도> (0) | 2017.04.18 |
3 <고려 사회, 신분제><고려여성의 삶> (0) | 2017.04.18 |
1 <고려 중앙, 지방조직, 과거제> (0) | 2017.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