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 경제안정화 정책
반응형
01 경제 안정화 정책의 방법
① 경기 과열시 대책:재정 지출 축소, 세율과 이자율 인상, 통화량 감축
② 경기 침체시 대책:재정 지출 증대, 세율과 이자율 인하, 통화량 증대
02 재정 정책
① 경기 과열시:세입 증가(세율 인상), 세출 축소 → 긴축(흑자) 재정 정책
② 경기 침체시:세입 감소(세율 인하), 세출 확대 → 확대(적자) 재정 정책
03 통화 정책
① 간접 조절 수단
대출 정책 | 의미 | 중앙 은행이 일반 은행에 적용하는 대출 이자율(재할인율)과 대출 규모를 조정하여 통화량을 조절하는 정책 |
영향 | 재할인율 인상(인하) → 은행의 대출 감소(증가) → 통화량 감소(증가) | |
지급 준비 정책 | 의미 | 일반 은행의 지급 준비금의 비율을 조절하는 정책 |
영향 | 지급 준비율 인상(인하) → 대출 감소(증가) → 통화량 감소(증가) | |
공개 시장 조작 정책 | 의미 | 중앙 은행이 국․공채를 매입 또는 매각하여 통화량을 조절하는 정책 |
영향 | 국․공채 매각(매입) → 통화량 감소(증가) |
② 직접 조절 수단:대출 한도제, 이자율 규제 정책
반응형
'사회 > 1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 재정정책의 기능 (0) | 2017.04.12 |
---|---|
미시- 정부의 가격규제 (0) | 2017.04.12 |
거시- 실업 (0) | 2017.04.12 |
미시- 시장가격의 결정과 변동 (0) | 2017.04.12 |
미시- 시장실패의 요인과 대책 (0) | 2017.04.12 |
미시- 기회비용의 경제적 의미 (0) | 2017.04.12 |
미시-자원의 희소성과 경제문제 (0) | 2017.04.12 |
국제- 환율과 환율 변동 (0) | 2017.04.12 |
거시- 물가와 인플레이션 (0) | 2017.04.12 |
미시- 정부실패의 원인과 대책 (0) | 2017.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