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사회운동>
№ 154. 일제에 저항한 사회적운동
1. 사회적 민족 운동의 전개 1) 청년 운동: 조선청년총동맹 결성(1924) : 청년계의 민족 유일당 2) 소년 운동: 중일전쟁 이후 1937년 해산 - 천도교 소년회의 조직: 어린이날(1922.5.1) 제정 → 조선소년연합회 조직 3) 여성 운동: 부인회, 조선여자교육회, 조선여자청년회, 조선여자기독교 청년회 - 20년대 초반: 여성 계몽적 성격의 실력 양성 운동 - 20년대 후반: 여성 해방을 계급 해방, 민족 해방의 문제로 간주하여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전개 - 근우회(1927.5): 신간회 출범 후 김활란 중심, 여성노동자의 권익옹호와 새생활 개선을 내걸고 여성계 민족 유일당 운동전개 → 1931년 신간회 해산과 함께 해산
4) 형평운동 - 조선형평사(1923.4.25): 백정 이학찬, 진주에서 조선형평사를 창립, 전국으로 확대 - 사회적 차별의 철폐를 통한 저울처럼 평등한 사회구현 → <형평>이라는 잡지가 발간, 형평사의 운영을 위한 피혁공장이 설립 - 형평사조선대회 개최(1925.4) → 신파, 구파의 노선 대립으로 갈등 심화로 형평운동 분열 - 1935년 대동사로 개칭: 사실상의 기능을 상실 → 이후 순수 경제적 이익향상운동으로의 변질 - 공평은 사회의 근본이고 애정은 인류의 본령이다, 지금까지 백정은 어떠한 지위와 압박을 받아왔던가? 5) 문맹 퇴치 운동 ⑴ 1920년대: 문맹 퇴치 운동(학생, 지식인) 농촌계몽운동(언론사) ⑵ 1930년 전후: 언론사를 중심 ① 문자 보급 운동(1929): 조선일보“아는 것이 힘, 배워야 산다.” ② 브나로드 운동(1932): 동아일보. 문맹 퇴치와 구습 타파, 생활 개선 목적. 한글 보급 운동 ③ 조선어 강습회(1932): 조선어학회 주도 ⑶ 일제의 탄압(1935): 엄격히 금지시킴 2. 경제적 민족 운동의 전개 1) 농민 운동(소작쟁의 ⇒ 소작권이동반대 > 소작료인하요구) ⑴ 1920년대 초반: 소작인조합 중심(농민은 노동자와다르게 계층있기에). 생존권투쟁이기에. 암태도소작쟁의(1923), 동양척식주식회사 소작쟁의(1924) ⑵ 1920년대 후반: 사회주의 영향으로 조선농민총동맹(전문화)(1927.9) 결성 → 전국에 농민조합 결성(조직적 전개) ⑶ 1930년대 이후: 일제의 식민지배 자체를 부정하는 반제국주의적 항일 민족운동 성격(폭발적 증가), 전반은 총독이 우가끼. ① 혁명적 농민 운동(비합법)으로 방향 전환 ② 쟁의 수 산발적으로 증가(35년:2만5천건, 37년:3만2천건). 실제 참여하는 농민 수 감소(31~34) ③ 1935년 이후에는 급격히 줄어듦: 30년대 후반에 일제의 강경탄압으로 잠복기 2) 노동 운동(노동쟁의) ⑴ 1920년대 초반: 생존권 투쟁의 합법적 양상 ⑵ 1920년대 중반: 사회주의 사상 유입으로 조선노동총동맹(1927) 결성 → 노동운동 조직화 영흥 노동자 총파업(1928), 원산 노동자 총파업(1929)석유회사 ⑶ 1930년대 이후: 반제국주의족 항일 민족 운동. 비합법 투쟁(폭력투쟁) → 일제의 병참기지화 정책으로 1930~1935년 노동쟁의가 집중적으로 발생 → 일제의 통제가 강화되면서 1936년 이후 급감 → 1940년 이후 거의 소멸 3. 민족 협동 전선 운동 1) 사회주의 운동의 대두 - 배경 : 레닌의 약소민족 독립운동 지원약속 이후 사회주의 사상의 전파 - 국내 사회주의 단체 활동 : 서울청년회, 무산자동지회, 신사상연구회, 화요회, 북풍회 - 1차 조선공산당(1925.4) → 2차 조선공산당(1925.12) → 3차 조선공산당(1926.9) → 4차 조선공산당 - 2차조공(6.10만세운동의 격문살포시도 탄로되어 해체), 3차조공(정우회가 중심이 되어 신간회 결성에 영향, 신간회와 긴밀한 관계), 4차조공(반제국주의 혁명노선) - 12월 테제(1928.12):= 코민테른, 인텔리 중심의 당 해체와 노동자·농민 중심의 당 재건을 명령, 식민지하에 서의 투쟁에 있어서 공동연합전선에 대한 포기를 촉구하고, 계급해방 전선을 강조(좌우연합에 대한 지원철회) - 9월 테제(1930.9):= 프로핀테른, 신간회를‘소부르주아적 정당조직’으로 간주, 신간회 해소와 소시민적 노동운동을 혁명적 노동운동으로 전환할 것을 지령 - 결과: 민족주의 운동과 대립하면서 항일 독립운동이 분열. 민족유일당의 필요성 대두 → 민족유일당 운동 2) 민족 유일당 운동(서울청년회 + 조선물산장려회) - 자치운동론의 대두(1923) → 중국의 제1차 국공 합작(1924) → 북경촉성회의 창립(1926.10) → 6·10만세운동(1926) → 조선민흥회 조직(신간회 창립의 중요한 계기) → 정우회 선언(1926.11) - 신간회(1927~1931) : 이상재, 안재홍‘비타협적 민족전선의 수립’제창
|
'한국사 > 1 근현대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대 연표정리> (시기 순서 문제) (10) | 2017.04.19 |
---|---|
<북한의 역사와 최근 동향, 통일> (2) | 2017.04.19 |
<개헌, 공화국별 사건> (0) | 2017.04.19 |
<해방기, 김구, 이승만, 좌우합작운동,(농지개혁, 반민특위, 6,25)> (0) | 2017.04.19 |
<- 독립군에서 광복군까지 (20년대 30년대)> (0) | 2017.04.19 |
<일제 종교, 문화> (0) | 2017.04.19 |
<일제의 식민정책> (1) | 2017.04.19 |
<--- 3.1운동, 임시정부, 6,10만세운동, 광주학생 항일운동> (0) | 2017.04.19 |
<--- 독립단체, 신민회, 독립군 기지건설, 해외이주 (10년대)> (0) | 2017.04.19 |
<일제 문화정책, 식민사관> (0) | 2017.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