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9급 국회직 행정학 문제 정답 및 해설//
2011.12.10.국회직9급 행정학 (위계점).hwp
ㅡㅡㅡ
1.중앙인사기관의 형태에는 독립합의형, 비독립단독형,절충형 등이 있다. 다음 중 독립합의형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인사행정의 정치적 중립을 보장하여 실적제를 발전시키는 데 유리하다.
② 다수의 위원들이 인사행정에 관한 결정을 함으로써 신중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③ 인사행정에 대한 이익집단의 요구를 균형 있게 수용할 수 있다.
④ 입법부, 일반 국민 및 행정부와의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행정수반이 자신의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⑤ 위원들을 부분적으로 교체할 경우 인사행정의 계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해설] 독립합의형의 경우 중앙인사기관이 행정수반에 대해서도 독립적인 지위를 유지하기 때문에 행정수반은 막료 기능으로서의 인사관리수단을 확보하지 못하며 자신의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할 수 없다.
[정답] ④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862.
ㅡㅡ
2.우리나라 기금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금은 국가가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특정한 자금을 신축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을 때에 한하여 법률로써 설치한다.
② 정부는 기금이 여성과 남성에게 미칠 영향을 미리 분석한 보고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③ 정부는 주요 항목 단위로 마련된 기금운용계획안을 회계연도 개시 90일 전까지 국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④ 금융성 기금 외의 기금은 주요 항목 지출금액의 변경 범위가 10분의 2 이하인 경우 기금운용계획변경안을 국회에 제출하지 아니하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⑤ 기획재정부장관은 매년 전체 재정체계를 고려하여 기금의 존치 여부를 평가하여야 한다.
[해설] 기획재정부 장관은 회계연도마다 전체 기금 중 3분의 1 이상의 기금에 대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운용실태를 조사·평가하여야 하며, 3년마다 전체 재정체계를 고려하여 기금의 존치 여부를 평가하여야 한다(국가재정법 82조).
[정답] ⑤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1041.
ㅡㅡㅡ
3.W.N.Dunn은 예측의 기법을 연장적 예측, 이론적 예측, 직관적 예측으로 분류하였다. <보기>에서 이론적 예측 기법은 모두 몇 개인가?
ㄱ. 시계열 분석 ㄴ. 선형경향추정 ㄷ. 구간추정 ㄹ. 회귀분석 ㅁ. 상관분석 ㅂ. 정책 델파이 ㅅ. 교차영향분석 ㅇ. 브레인스토밍 |
① 2개 ② 3개
③ 4개 ④ 5개
⑤ 6개
[해설] 문제의 <보기>에서 구간추정, 회귀분석, 상관분석은 이론적 예측 기법에 해당한다.
<예측의 방법(W.N. Dunn)>
접근 방법 | 기 법 | |
양적 방법 | 연장적 예측 (projection, 투사) | ① 시계열분석, ② 선형경향추정, ③ 최소자승경향추측, ④ 지수가중법, ⑤ 자료전환법, ⑥ 격변방법(대변동법) |
이론적 예측 (prediction, 예견) | ① 선형계획, ② 투입산출분석, ③ 구간(간격)추정, ④ 이론지도, ⑤ 회귀분석, ⑥ 상관분석, ⑦ 경로분석, ⑧ PERT, CPM, ⑨ 관련 수, ⑩ 계량적 시나리오(각본) 작성 | |
질적 방법 | 직관적 예측 (conjectures, 추측) | ① 전통적 델파이, ② 정책델파이, ③ 교차(상호)영향분석, ④ 실현가능성분석, ⑤ 패널토의, ⑥ 자유토론, ⑦ 비계량적 시나리오 작성 |
[정답] ②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435.
.
ㅡㅡ
4.현상학적 접근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행정학 연구를 행정가의 일상적이고 실제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미시적 관점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이다.
② 현상학에 바탕을 둔 행위이론은 사회현상이 자연현상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보았다.
③ 인간 자아의 능동적․사회적 본성을 분석의 기초단위로 보고, 상호 주관적 인식론을 강조하였다.
④ 현상의 본질을 대상으로 하고 그 대상을 형성하는 의식작용을 기술하려는 선험적 관념론이다.
⑤ 인간의 행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선험적 의식 또는 순수이성에 바탕을 둔 직관적 포착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해설] 현상학에 기초를 둔 행위이론은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은 전혀 다른 대상을 다룬다고 본다. 사회과학의 대상은 인간의 행위이고, 행위는 인간의 주관적 세계를 반영한 것이며, 사람들은 행위에 의미를 부여한다. 이에 반해 자연과학의 대상인 물질의 작용에는 이와 같은 사람들이 부여하는 의미가 없다고 본다.
[정답] ②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p.217-219.
ㅡㅡㅡ
5.Bachrach와 Baratz의 무의사결정이론(non-decision making theor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Dahl의 다원론을 비판하면서 제시한 이론이다.
② 무의사결정이론은 신엘리트론에 해당한다.
③ 넓은 의미의 무의사결정은 정책의제설정 과정뿐만 아니라 정책결정 과정, 그리고 정책집행 과정에서도 발생한다.
④ 무의사결정의 수단으로 폭력, 권력, 편견의 동원과 정치체제의 규범․규칙․절차의 조작 등을 들 수 있다.
⑤ 무의사결정이론은 엘리트들의 무관심이나 무능력으로 인해 일반 대중이나 사회적 약자의 이익과 의견이 무시되는 것을 밝혀 낸 이론이다.
[해설] P. Bachrach & Baratz(1962)의 무의사결정이론(non-decision making theory)은 엘리트들이 자신들에게 불리한 문제는 처음부터 제기조차 되지 못하도록 일반 국민의 요구를 억압하는 현상을 설명한 이론이다. 즉, 무의사결정은 엘리트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은밀하고 비밀리에 권력을 행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무관심이나 무능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은 아니다.
[정답] ⑤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p.391-392.
ㅡㅡ
6.현대 조직이론은 분석수준과 행동적 정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미시적 수준의 이론으로서 수동적 적응론의 성격이 강한 (마)에 해당하는 이론은?
행동적 정향
분석 수준 | 환경결정론 | 수동적 적응론 | 자유의지론 |
거시적(조직군) 수준 | (가) | (나) | (다) |
미시적(개별 조직) 수준 | (라) | (마) | (바) |
① 조직개체군 생태학 ② 조직경제학
③ 제도이론 ④ 상황적합이론
⑤ 자원의존이론
[해설] 조직이론의 분류
행동적 정향 분석 수준 | 환경결정론 | 수동적 적응론 | 자유의지론 |
거시적(조직군) 수준 | ∙조직경제학 ∙조직개체군 생태학 | ∙제도이론
| ∙조직 간 관계론 ∙공동체 생태학 |
미시적(개별 조직) 수준 | ∙관료제이론
| ∙상황적합이론
| ∙전략적 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 |
[정답] ④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612.
[참고 문제] 오메가행정학개론, 198쪽, 570번 문제 570. 조직과 환경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분류할 때 거시적(조직군) 수준의 이론으로서, 수동적 적응론의 성격이 강한 것은? ①상황적합이론 ② 제도이론 ③ 조직경제학 ④조직개체군 생태학
[해설] 조직과 환경의 관계에 대한 이론의 분류
[정답] ② |
ㅡㅡ
7.우리나라의 책임운영기관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공성뿐만 아니라 경쟁 원리도 중시한다.
② 책임운영기관의 직원은 법률상 공무원이 아니다.
③ 영국의 Executive Agency에서 유래한 기관이다.
④ 일본의 독립행정법인과도 유사한 이념을 가진 기관이다.
⑤ 조사연구형 책임운영기관도 있다.
[해설] 책임운영기관이란 정부가 수행하는 사무 중 공공성을 유지하면서도 경쟁 원리에 따라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전문성이 있어 성과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 사무에 대하여 책임운영기관장에게 행정 및 재정상의 자율성을 부여하고 그 운영 성과에 대하여 책임을 지도록 하는 행정기관이다. 우리나라의 책임운영기관은 정부조직에 속하며, 그 종류에는 중앙책임운영기관과 소속책임운영기관이 있다. 그리고 책임운영기관에 근무하는 직원은 모두 공무원이다.
[정답] ②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p.726-727.
ㅡㅡ
8.엽관주의(spoils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관료가 정당을 위해서 봉사하기 때문에 행정의 공정성 확보가 용이하다.
② 국민의 지지에 따라서 정부가 구성되므로 정책추진이 용이하며 의회와 행정부 간의 조정이 활성화된다.
③ 모든 사람은 누구나 일정한 자격만 갖추면 공직에 취임할 수 있다는 기회균등의 정신을 구현할 수 있다.
④ 엽관주의를 택한 영국에서는 대대적인 교체가 있었으나, 일단 임용이 되면 종신적 성격을 띠어 신분이 보장되었다.
⑤ 엽관주의란 공직임용기준을 개인의 객관적인 능력, 자격, 성적에 두는 인사행정제도이다.
[해설] 엽관주의(Spoils System)는 공무원의 인사관리나 공직 임용에 있어 그 기준을 정치적 충성도, 즉 당파성에 두는 제도이다. 엽관주의는 국민의 지지를 받은 정당의 당원을 관직에 임명함으로써
국민 의사를 존중하는 민주통제의 강화와 책임행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대한 정책변동에 대응이 유리하고, 관리자 양성이나 리더십 강화에 기여한다. 또한 국민 요구에 대한 관료적 대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① 틀림. 엽관주의는 관료의 정당 사병화로 말미암아 행정의 공정성과 국민에 대한 책임성이 저하된다.
③ 틀림. 모든 사람은 누구나 일정한 자격만 갖추면 공직에 취임할 수 있다는 기회균등의 정신을 구현할 수 있는 제도는 실적주의이다.
④ 틀림. 정실주의를 택한 영국에서는 주기적인 대대적 교체가 없었으며, 일단 임용이 되면 종신적 성격을 띠어 신분이 보장되었다.
⑤ 틀림. 공직임용기준을 개인의 객관적인 능력, 자격, 성적에 두는 인사행정제도는 실적주의이다.
[정답] ②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p.868-873.
ㅡㅡ
9.미국에서 행정학의 이론이 발전된 시간적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인간관계론 → 과학적 관리론 → 신행정이론 → 신공공관리론
② 과학적 관리론 → 신공공관라론 → 신행정이론 → 인간관계론
③ 과학적 관리론 → 인간관계론 → 신공공관리론 → 신행정이론
④ 인간관계론 → 신행정이론 → 신공공관리론 → 과학적 관리론
⑤ 과학적 관리론 → 인간관계론 → 신행정이론 → 신공공관리론
[해설] 이론의 발달 순서는 과학적 관리론 → 인간관계론 → 신행정이론 → 신공공관리론이다.
[정답] ⑤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183.
ㅡㅡㅡ
10.예산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품목별예산제도에서는 지출항목을 너무 엄격하게 분류하여 전반적인 정부 기능 혹은 전체 사업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렵다.
② 성과주의 예산서에는 전형적으로 사업의 목적과 목표에 대한 기술서가 포함되고 성취될 업무량에 대한 측정, 업무가 완료될 경우 효율성, 그리고 사업의 효과성 등이 포함된다.
③ 자본예산제도에서는 정부지출을 경상적 지출과 자본적 지출로 구분하고 경상적 지출은 경상적 세입인 조세수입으로 충당한다.
④ 계획예산제도는 행정부에 대한 의회의 통제력을 강화시킨다는 점에서 의회의 지지를 받았다.
⑤ 객관적 기준을 사용하는 계획예산제도와는 달리 영기준 예산제도는 우선순위를 설정할 때 의사결정자들의 주관적 판단에 많이 의존한다.
[해설] 예산심의 기능 약화를 우려한 의회는 계획예산제도(PPBS)에 대해 처음부터 반대의 입장을 보였다. 의회는 행정부에 대한 재정통제를 목적으로 기존의 예산편성 방법을 고수했다.
[정답] ④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1152.
ㅡㅡㅡ
11.미국의 행정학자 C. E. Gilbert는 행정통제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다음 중 내부적-공식적 행정통제(A) 유형과 내부적-비공식적 행정통제(B) 유형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A) (B)
① 감사원에 의한 통제 - 공무원으로서의 직업윤리
② 국무총리실에 의한 통제 - 이익집단에 의한 통제
③ 동료집단의 평가와 비판 - 공무원으로서의 직업윤리
④ 언론 및 여론에 의한 통제 - 계층제를 통한 통제
⑤ 감사원에 의한 통제 - 계층제를 통한 통제
[해설] 통제 주체에 따른 분류:내부통제와 외부통제(Gilbert의 분류)
구 분 | 내부통제 | 외부통제 |
공 식 | ∙행정수반(대통령) 및 국무총리실에 의한 통제 ∙계층제(상관) 및 인사관리제도를 통한 통제 ∙독립통제기관(감사원, 국민권익위원회)에 의한 통제 ∙교차기능조직(기재부, 행안부 등)에 의한 통제 ∙정부업무평가(구 심사평가)에 의한 통제 | ∙입법부에 의한 통제 ∙사법부(헌법재판소, 법원)에 의한 통제 ∙옴부즈만에 의한 통제 |
비공식 | ∙행정윤리(전문직업상의 행동규범)에 의한 통제 ∙동료 집단의 평가와 비판에 의한 통제 ∙대표관료제 ∙공익 | ∙민중통제 ∙시민에 의한 통제 ∙이익집단에 의한 통제 ∙여론, 매스컴, 인터넷 등에 의한 통제 ∙정당에 의한 통제 |
[정답] ①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1370.
.
ㅡㅡㅡ
12.행정환경의 복합성에 따른 다양한 접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란 하나의 사회 내부에서 복수 문화의 공존을 바람직한 것으로 보고, 문화의 공존이 가져오는 긍정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평가하려고 하는 주장 내지 운동을 지칭한다.
② 딜레마이론에서는 변화를 추진하는 변화담당자 혹은 조직의 책임자들의 지적․정치적 능력과 더불어 시간적 리더십을 강조하고 있다.
③ R.D.Putnam은 사회적 자본을 사람들의 협조행동을 활발하게 함으로써 사회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신뢰, 규범, 네트워크 등 사회조직의 특징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④ 갈등관리를 위한 협상론적 시각의 연구들은 협상자 상호 간의 관계, 특히 신뢰관계 형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이는 사회적 자본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⑤ 시차이론에서 도입하고 있는 제도와 정책 변화에 내재하는 시차적 요소는 시간 차이에 대한 전제(혹은 가정),인과관계의 시차적 성격, 숙성기간, 변화의 속도와 안전성 등이다.
[해설] ②는 시차적 접근방법과 관련된 설명이다. 시차적 접근방법(time lag approach)은 사회현상을 발생시키는 주체들의 속성이나 행태가 시간적 차이를 두고 변화되는 사실을 사회현상에 적용하는 연구 방법을 말한다. 시차적 접근방법은 시간적 차이에서 오는 정책의 실패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정책담당자들의 지적·정치적 능력과 더불어 시간적 리더십을 강조한다. 그리고 제도개혁과 관련된 조직행태를 설명하고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분석틀을 제시해 준다.
[정답] ②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243.
ㅡㅡ
13.동기이론을 동기를 유발하는 내용에 중점을 두는 내용이론과 동기를 일으키는 과정에 중점을 두는 과정이론으로 나눌 때, <보기>에서 내용이론과 관련된 이론을 모두 바르게 묶은 것은?
ㄱ. Vroom의 기대이론 ㄴ. Maslow의 욕구계층이론 ㄷ. Porter & Lawler의 업적만족이론 ㄹ. Adams의 형평성이론 ㅁ. Argyris의 성숙-미성숙이론 ㅂ. Skinner의 강화이론 ㅅ. Ouchi의 Z이론 |
① ㄱ, ㄴ, ㅁ, ㅂ ② ㄱ, ㄴ, ㄹ
③ ㄴ, ㄷ, ㅁ ④ ㄴ, ㅁ, ㅅ
⑤ ㄴ, ㅂ, ㅅ
[해설] ㄴ, ㅁ, ㅅ은 내용이론에 속하고 ㄱ, ㄷ, ㄹ, ㅂ은 과정이론에 속한다.
[정답] ④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750.
ㅡㅡ
14.조직은 크게 기능별 조직과 사업별 조직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음 중 기능별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능의 중복을 막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② 전문지식과 기술의 깊이를 제고할 수 있다.
③ 기능 간 조정이 용이하므로 환경 변화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④ 전체 업무의 성과에 대한 책임소재를 규명하는 것이 어렵다.
⑤ 수평적 조정의 필요성이 낮을 때 효과적인 조직구조이다.
[해설] ③은 사업별 조직에 대한 설명이다. 기능별 조직은 조직의 전체 업무를 공동 기능별로 부서화하는 방식이다. 기능별 조직은 부서별로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부서들 간의 조정과 협력이 요구되는 환경 변화에 둔감하다.
[정답] ③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p. 597-598.
ㅡㅡ
15.통일성 원칙이란 특정 수입과 특정 지출이 연계되어서는 안 된다는 예산의 원칙이다.<보기>에서 통일성 원칙의 예외와 관련 된 세목을 모두 바르게 묶은 것은?
[보기] ㄱ. 법인세 ㄴ. 교통․에너지․환경세 ㄷ. 교육세 ㄹ. 지방교육세 ㅁ. 농어촌특별세 ㅂ. 소득세 |
① ㄱ, ㄴ, ㄷ ② ㄱ, ㄴ, ㄹ, ㅁ
③ ㄴ, ㄷ, ㄹ ④ ㄴ, ㄷ, ㄹ, ㅁ
⑤ ㄴ, ㄷ, ㄹ, ㅂ
[해설] 통일성 원칙 위배 : 특별회계, 기금, 목적세(국세 중 교육세, 교통·에너지·환경세, 농어촌특별세, 지방세 중 지역자원시설세, 지방교육세), 수입대체경비, 수입금마련지출제도
[정답] ④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1032.
ㅡㅡㅡ
16.현재 우리나라에서 둘 이상의 지방자치단체가 그 사무를 공동으로 처리하는 광역행정의 방식이거나 이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은?
① 행정협의회의 구성 ② 지방자치단체조합의 설립
③ 사무의 위탁 ④ 지방자치단체장 등의 협의체의 설립
⑤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설치
[해설]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에 의하면 특별지방행정기관은 ‘국가의 특정한 중앙행정기관에 소속되어 해당 관할구역 내에서 시행되는 소속 중앙행정기관의 권한에 속하는 행정사무를 관장하는 국가의 지방행정기관’을 말한다. 특별지방행정기관도 광역행정의 방식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둘 이상의 지방자치단체가 그 사무를 공동으로 처리하기 위해 설치했다고 볼 수는 없기 때문에 정답은 ⑤가 된다. 나머지 ①②③④는 둘 이상의 지방자치단체가 그 사무를 공동으로 처리하는 광역행정의 방식으로서 지방자치법에서 규정하고 제도들이다.
[정답] ⑤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p. 1224-1226. 1255-1256.
ㅡㅡ
17.신공공관리론 분야의 대표적 저작인 Osborne & Gaebler의「정부재창조론」에서 제시된 ‘기업가적 정부 운영의 10대 원리’에 속하지 않은 것은?
① 지역사회가 주도하는 정부 ② 미래에 대비하는 정부
③ 상식이 있는 정부 ④ 성과지향적 정부
⑤ 시장지향적 정부
[해설] ③은 Osborne & Gaebler의「정부재창조론」에서 제시된 ‘기업가적 정부 운영의 10대 원리’와 관계없다.
<Osborne & Gaebler의「정부재창조론」에서 제시된 ‘기업가적 정부 운영의 10대 원리’>
구 분 | 전통적 관료제 | 신공공관리론(기업가적 정부) | ||
정부 역할 | 노젓기 역할 | 방향키(steering) 역할 | : | 촉진적 정부 |
정부 활동 | 직접 해줌. | 할 수 있도록 해줌. | : | 지역사회에 힘을 부여하는 정부 |
서비스 공급 방식 | 서비스의 독점공급 | 경쟁 도입 | : | 경쟁적 정부 |
행정 메커니즘 | 시장 메커니즘 | : | 시장 지향적 정부 | |
관리기제 | 규칙 중심 관리 | 임무 중심 관리 | : | 사명 지향적 정부 |
관리 방식 | 투입 중심 예산 | 성과 지향적 예산 | : | 성과 지향적 정부 |
지출 지향 | 수익 창출 | : | 기업가형 정부 | |
집권적 계층제 | 참여와 팀워크 | : | 분권형 정부 | |
사후 치료 | 예측과 예방 | : | 미래 지향적 정부 | |
주체 및 책임성 | 관료 중심 | 고객 중심 | : | 고객 지향적 정부 |
[정답] ③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255.
ㅡㅡ
18. Nakamura와 Smallwood는 정책결정자와 정책집행자 사이의 관계를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다음의 설명에 맞는 정책집행자의 유형은?
정보, 기술, 현실 여건들 때문에 결정자들이 구체적인 정책이나 목표를 설정하지 못하고 추상적인 수준에 머문다. 결정자들은 정책에 대한 확신이 없고 정책의 대부분을 집행자들에게 위임한다. 집행자들은 정책 목표의 구체화, 수단 선택, 정책 시행을 자기 책임 하에 관장한다. |
① 지시적 위임형 ② 고전적 기술자형
③ 협상형 ④ 재량적 실험형
⑤ 관료적 기업가형
[해설] 문제의 박스 내용은 재량적 실험형에 대한 설명이다. 재량적 실험형은 공식적 정책결정자는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목표를 지지하지만, 지식이나 다른 확실성의 결여로 인해서 이를 확실하게 표현할 수가 없다. 정책결정자는 집행자에게 목표를 명확히 하고 이를 달성할 수 있는 수단을 개발할 수 있도록 광범위한 재량권을 준다. 그리고 집행자는 이와 같은 업무를 수행할 능력이 있으며, 이를 기꺼이 수행할 의사가 있다.
[정답] ④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p.519-521.
ㅡㅡ
19.목표관리(MBO: Management by Objective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목표설정에 있어 조직 구성원의 참여를 중시한다.
② 중장기적인 목표 달성의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③ Y이론적 인간관에 입각한 관리 방법이다.
④ 결과 지향적 관리 방법이다.
⑤ 업무수행자의 목표 성취도를 평가하고, 환류를 강조한다.
[해설] 목표관리(MBO: Management by Objectives)는 현실적·계량 가능한 양적·단기적·결과 지향적·가시적인 목표(objective)를 중시한다.
[정답] ② [출처] 2012 알파행정학개론, p.801.
ㅡㅡ
20.쓰레기통모형(garbage can model)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어떤 선택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합의를 가지고 의사결정에 참여한다.
② 쓰레기통모형에서 의사결정은 혼란 속에서도 매우 합리적으로 이루어진다.
③ M.Cohen, J.March, J.Olsen은 이 모형에 대한 연구에서 응집성이 강한 조직의 의사결정 행태를 분석하였다.
④ 쓰레기통모형의 정책결정 유형으로 진빼기 결정(choice by flight)과 날치기 통과(choice by oversight) 등을 들 수 있다.
⑤ 의사결정은 5가지 요소로 구성되는데 해결해야 할 문제, 해결책,참여자, 필요한 정보, 의사결정의 기회이다.
[해설] 쓰레기통 모형은 조직화된 무정부 상태에서 자원의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진빼기 결정(choice by flight)과 날치기 통과(choice by oversight) 등의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① 틀림. 쓰레기통 모형에서는 참여하는 사람들의 선호가 분명치 않으며, 의사결정에 적용할 인과관계에 관한 지식과 그 적용기술의 기초가 불분명하다.
② 틀림. 쓰레기통 모형은 극도로 불합리한 집단적 의사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이다.
③ 틀림. 쓰레기통 모형은 M. Cohen과 J. March, J. Olsen 등이 고안한 모형으로, 보다 복잡하고 혼란한 상황, 즉 조직화된 무정부 상태(organized anarchies) 속에서 조직이 어떠한 결정 행태를 나타내는가에 연구의 초점을 둔 모형이다. 응집성이 강한 조직의 의사결정 행태를 분석한 것은 Allison이 제시한 합리모형이다.
⑤ 틀림. 쓰레기통 모형에서 제시한 의사결정의 4 가지 요소는 해결해야 할 문제, 해결책,참여자, 의사결정의 기회 등이다. 필요한 정보의 흐름은 관계없다.
[정답] ④ [출처] 2012 알파행정
'행정학 > 00 기출 정답 해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 9급 서울시 행정학 문제 정답 및 해설// (0) | 2017.03.25 |
---|---|
2013 9급 지방직 행정학 문제 정답 및 해설// (0) | 2017.03.25 |
2013 9급 국가직 행정학 문제 정답 및 해설// (0) | 2017.03.25 |
2012 9급 국회직 행정학 문제 정답 및 해설// (0) | 2017.03.25 |
2012 9급 서울시 행정학 문제 정답 및 해설// (0) | 2017.03.25 |
2012 9급 지방직 행정학 문제 정답 및 해설// (0) | 2017.03.25 |
2012 9급 국가직 행정학 문제 정답 및 해설// (0) | 2017.03.25 |
2011 9급 서울시 행정학 문제 정답 및 해설// (0) | 2017.03.25 |
2011 9급 지방직 행정학 문제 정답 및 해설// (0) | 2017.03.25 |
2011 9급 국가직 행정학 문제 정답 및 해설// (0) | 2017.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