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
2017. 4. 21. 13:05
1. 소리에 관한 것
자음의 표기 | 첫소리 | 예사표기 | 된표기 | 거센표기 | (X) | 본래 된소리 (O) | | 솟적새 햇슥 붓석 붓두막 붓적 곳갈 차닥거리 석가래 껑둥하다 뭉둥그리다 등살 딸국질 떠들석 말숙하다 안스럽다 거풀 | 소쩍새 해쓱하다 부썩 부뚜막 부쩍 고깔 치다꺼리 서까래 껑뚱하다 뭉뚱그리다 등쌀 딸꾹질 떠들썩 말쑥하다 안쓰럽다 꺼풀 | | | 본래 된소리 (O) | (X) | | 널빤지 덩더꿍 송두리째 재떨이 먼지떨이 | 널판지 덩더쿵 송두리채 재털이 먼지털이 | (X) | 겹친음절 (O) | | 딱닥 꼿곳 똑닥똑닥 쓱삭쓱삭 쌉살하다 씁스레하다 짝자꿍 | 딱딱 꼿꼿 똑딱똑딱 쓱싹쓱싹 쌉쌀하다 씁쓰레하다 짝짜꿍 | | [ㄱ, ㅂ] → 된소리나기(예사표기) | (X) | | 깍두기 싹둑 법석 덥석 몹시 맵시 젓갈 밉살 색시 갑자기 거꾸로 절뚝거리다 | 깍뚜기 싹뚝 법썩 덥썩 몹씨 맵씨 젓깔 밉쌀 색씨 갑짜기 꺼꾸로 쩔뚝거리다 | | 본래 예사소리 (O) | (X) | | 감다 닦다 부러지다 세다 작다 둑 숙맥 강술 자장면 주꾸미 고깔 으름장 | 깜다 딱다 뿌러지다 쎄다 짝다 뚝 쑥맥 깡술 짜장면 쭈꾸미 꼬깔 으름짱 | | 본래 예사소리 (O) | | (X) | 가톨릭 갈고리 개비 나침반 부추기다 부대 덩굴 초가삼간 윗간 | | 카톨릭 갈코리 개피 나침판 부추키다 푸대 덩쿨 초가삼칸 윗칸 | (X) | | 본래 거센소리 (O) | 끄나불 나발꽃 한 간 | | 끄나풀 나팔꽃 한 칸 | | (X) | 본래 거센소리 (O) | | 넝꿀 떨어먹다 삵괭이 | 넝쿨 털어먹다 살쾡이 |
|
끝소리 | 받침 | 소리 | 단어 | ‘ㅅ’ | ‘ㄷ’ | 덧저고리[덛-] 돗자리[돋-] 엇셈[얻-] 웃어른[욷-] 핫옷 무릇 사뭇 얼핏 자칫하면 뭇(衆) 엿 첫 헛 갓스물 걸핏하면 그까짓 기껏 놋그릇 덧셈 빗장 삿대 솟접다 짓밟다 햇곡식 풋고추 동짓달 젓가락 | 'ㄷ' | 거두어 잡다 → 걷잡다 도두 보다 → 돋보다 곧장 낟가리 | ‘ㄹ' (호전현상) | 이틀 → 이튿날 사흘 → 사흗날 나흘 → 나흗날 술 →숟가락 삼질 →삼짓 이틀 →이튿날 설 → 섣달 설 →섣부르다 잘 →잗주름 잘 →잗다랗다 풀 →푿소 바늘 →반짇고리 | ‘ㅌ’ | ‘바깥’→‘밭’ | 밭벽 밭사돈 밭쪽 밭부모 밭상재 | ‘겉으로’→‘겉’ | 겉잡다 | ‘ㅋ' | '녘 ‘ | 동녘 들녘 새벽녘 동틀녘 부엌 | 받침 | (O) | (X) | - | 그러잖아도 조그마하다 죽자사자 하릴없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해쓱(핼쑥) 빈털터리 쿵더쿵 덩더꿍 허탕 허투루 머지않아 꼭두각시 도떼기시장 | 그렇잖아도 조그만하다 죽자살자 할일없이 앞서거니 뒷서거니 핼쓱 빈털털이 쿵덕쿵 덩덕꿍 헛탕 헛으로 멀지않아 꼭둑각시 돗떼기시장 | **기타 | 깍지 깍두기 늦깎이 꺾꽂이 실낱 샅바 고삿 벋가다 벋놓다 낮잡다 애꿎다 얄궂다 짓궂다 무릅쓰다 오지랖 헝겊 엎치락 뒤치락 엎친데 덮치다 엎지르다 엎누르다 양수겸장 움큼 돛대 붓두껍 | 깎지 깎두기 늑깎이/늦깍이 꺽꽂이/꺾꽃이 실날 삳바/삿바 고샅/고삳 벗가다 벗놓다 낫잡다/낯잡다 애꿋다/애꿏다 얄굿다/얄궃다 짖궃다 무릎쓰다 오지랍 헝겁 업치락 뒷치락 업친데 덥치다 업지르다 업누르다 양수겹장 웅큼 돗대 붓뚜껑 |
|
자음의 표기 | 두음법칙 | 구분 | 적용(O) | 적용(X) | → ‘ㅇ’ | 두음이 ‘ㄴ, ㄹ’(이중모음) → ‘ㅇ’ | 두음(X) | ㄴ | 녀, 뇨, 뉴, 니 → 여, 요, 유, 이 | 남녀(男女) 당뇨(糖尿) 결뉴(結紐) 은닉(隱匿) 쌍룡(雙龍) 낙뢰(落雷) 광한루 구릉(丘陵) | ㄹ | 랴, 려, 례, 료, 류, 리 → 야, 여, 예, 요 , 유, 이 | 녀자→여자(女子) 뇨소→요소(尿素) 뉴대→유대(紐帶) 닉명→익명(匿名) 량심→양심(良心) 력사→역사(歷史) 례의→예의(禮義) 룡궁→용궁(龍宮) 류행→유행(流行) 리발→이발(理髮) | 의존명사 | 냥(兩): 금 한 냥 년(年): 몇 년 동안 리(里): 몇 리냐? 리(理): 그럴 리가 없다 리(厘): 2푼 5리 량(輛): 객차 오십 량 | [합성어] → 역시 두음법칙 적용 | 외자이름 | -접두(한자어)- 신|여성(女性) 공|염불(念佛) 남존|여비(女婢) 회계|연도(年度) 역|이용(利用) 연|이율(吏律) 열|역학(力學) 해외|여행(旅行) 몰|염치(沒廉恥) 대한|여자|대학 국제|연합(國際聯合) 육천|육백|육십|육 -접두(고유어)- 구름|양(量) | 신|립 최|린 하|륜 채|륜 | 언중의 습관 | 미|립자(微粒子) 수|류탄(手榴彈) 파|렴치(破廉恥) | 준말 | 국제연합 → 국‧련 대한교육연합회 → 교‧련 | [겹친음절] → 역시 두음법칙 적용 | 관용적으로 굳어진 말 | 염렴불망 인린(隣)하다 낭랑하다 냉랭하다 녹록하다 늠름하다 연년생(連年生) 역력하다 적나라(赤裸裸) | 연연(戀戀)불망 유유상종(類類相從) 누누(累累)이 노노법사(老老法師) 요요(謠謠)무문 요요하다 | → ‘ㄴ’ | 두음이 ‘ㄹ’ → ‘ㄴ’ | | 락원→낙원(樂園) 래일→내일(來日) 로인→노인(老人) 뢰성→뇌성(雷聲) 루각→누각(樓閣) 릉묘→능묘(陵墓) | | [합성어] → 역시 적용 | | -접두(한자어)- 중|노동(重勞動) 비|논리(非論理) | | 렬‧률 | [모음,-ㄴ]+'렬(列‧烈)‧률(率‧律)‘ → [녈‧뉼] | [모음,-ㄴ](X) → [렬‧률] | 나열(羅列) 비열(備列) 치열(齒列) 분열(分列) 선열(先烈) 규율(規律) 비율(比率) 실패율(失敗率) 백분율(百分率) 운율(韻律) | 행렬(行列) 법률(法律) 합격률(合格率) | 란(蘭) | [고유어‧외래어]+‘란(蘭)’ | [한자어]+‘란(蘭)’ | 어린이|난 어머니|난 가십|난 스포츠|난 | 가정|란(家庭欄) 운동|란(運動蘭) |
|
활음조 | /ㄴ, ㄹ/ 첨가 | 폐염(肺炎)→폐렴 지이산(智異山)→지리산 그양→그냥 예일곱→예닐곱 오유월(五六月)→오뉴월 오육십(五六十)→오륙십 오육(五六)도→오륙도 육육(六六)봉→육륙봉 | ‘ㄴ'→’ㄹ' | 한아버지→할아버지 안음→아름 한나산(漢羅山)→한라산 수낙(受諾)→수락 허낙(許諾)→허락 논난(論難)→논란 곤난(困難)→곤란 의녕(寧)→의령 재녕(寧)→재령 대노(大怒)→대로 희노애락(喜怒哀樂)→희로애락 | **주의 (‘ㄴ’↛‘ㄹ’) 승낙(承諾) 만난(萬難) 안녕(安寧) 분노(忿怒) | | | **주의 (본래 ‘ㄹ’) 토론(討論) **주의 (‘ㄹ’→‘ㄴ’) 의론(議論)→의논 |
|
모음의 표기 | 양성‧음성 (끼리끼리) | 양성모음 [ㅏ, ㅗ, ㅡ] | 음성모음 [ㅓ, ㅜ, ㅣ] | 원형의식 강한 것 (O) | (X) | 부조(扶助) 사돈(査頓) 삼촌(三寸) | 부주 사둔 삼춘 | (X) | 음성모음으로 변형되어 쓰임이 굳어진 것 (O) | 깡총깡총 오손도손 발가송이 보통이 봉족(奉足) 뻗장다리 주초(柱礎) 칠삭동이 쌍동이 귀염동이 막동이 | 깡충깡충 오순도순 발가숭이 보퉁이 봉죽 뻗정다리 주추 칠삭둥이 쌍둥이 귀염둥이 막둥이 | ㅐ(O) | ㅔ(X) | 덮개 찌개 농땡이 알맹이 부지깽이 도르래 맷돌 생채기 채신머리없다 닷새 왠지 | 덮게 찌게 농뗑이 알멩이 부지껭이 도르레 멧돌 생체기 체신머리없다 닷세 웬지 | ㅐ(X) | ㅔ(O) | 가개 지개 개슴츠레 배개 해매다 굼뱅이 돌맹이 도때기 목재(木製) 물래 배짱이 째째하다 캥기다 금새 이래 여드래 아흐래 왠만한 왠일 | 가게 지게 게슴츠레 베개 헤매다 굼벵이 돌멩이 도떼기 목제(木製) 물레 베짱이 쩨쩨하다 켕기다 금세 이레 여드레 아흐레 웬만한 웬일 | ㅏ, ㅡ(O) | ㅓ(X) | 하고자 천장(天仗) 통틀어 으스름 달밤 뭉뚱그리다 | 하고저 천정 통털어 어스름 달밤 뭉떵거리다 | ㅏ, ㅡ(X) | ㅓ(O) | -상/승 싶다 천장부지 하마트면 어느듯 그지 드럽다 | -성 싶다 천정부지 하마터면 어느덧 거지 더럽다 | ㅏ(X) | ㅡ(O) | ㅔ(O) | ㅣ(X) | 본따다 초생달 사팔때기 | 본뜨다 초승달 사팔뜨기 | 베다 | 비다 | ㅗ, ㅡ(O) | ㅜ(X) | 갈고리 꽃봉오리 삼촌 사돈 부조 비뚜로 애송이 짓고땡 하고많은 그리고 아등바등 오므리다 후드득 땡초 | 갈쿠리 꽃봉우리 삼춘 사둔 부주 비뚜루 애숭이 짓구땡 하구많은 그리구 아둥바둥 오므리다 후두둑 땡추 | ㅗ, ㅡ(X) | ㅜ(O) | 고동 산봉오리 봉족 주초 소코리 심술통이 쌍동이 | 고둥 산봉우리 봉죽 주추 소쿠리 심술퉁이 쌍둥이 | ㅗ(O) | ㅡ(X) | | 무동 | 무등 | | ㅡ(O) | ㅣ(X) | 까슬까슬 메스껍다 으스대다 부스스 으스스 게슴츠레 망측하다 뭉그적 복슬강아지 | 까실까질 메시껍다 으시대다 부시시 으시시 게슴치레 망칙하다 뭉기적 복실강아지 | ㅡ(X) | ㅣ(O) | 금슬(琴瑟) | 금실 | | ㅜ(O) | ㅣ(X) | 부수다 두루뭉술 미숫가루 상추 지루하다 고수레 | 부시다 두루뭉실 미싯가루 상치 지리하다 고시레 | | ㅜ(X) | ㅣ(O) | 추근대다 | 치근대다 |
|
모음의 표기 | 단‧이중 (단순지향) | 단모음 | 이중모음 | 게 | 계‧례‧몌‧폐‧혜 | (O) | (X) | 게송(偈頌) 게시판(揭示板) 휴게실(休憩室) 게양(揭揚) 게재(揭載) 게류(憩流) | 계송 계시판 휴계실 계양 계재 계류 | (X) | (O) | 게수나무 게집 핑게 비게 게시다 사fp 연메 페품 헤택 | 계수나무 계집 핑계 비계 계시다 사례(事例) 연몌(連袂) 폐품(廢品) 혜택(惠澤) | ㅡ, ㅣ | ㅢ | (O) | (X) | 잔디 헤죽헤죽 여느 | 잔듸 희죽희죽 여늬 | (X) | (O) | 닝큼/냉큼 띠어쓰기 띠엄띠엄 씨여 티여 닐리리 히망 히다 으이 무니 보니 오니 본이 하늬바람 유히 귀뜸 | 닁큼 띄어쓰기 띄엄띄엄 씌여 틔여 늴리리 희망 희다 의의(意義) 무늬 보늬 오늬 본의(本義) 하늬바람 유희 귀띔 | (O) | (X) | 으레 케케묵다 괴팍하다 허우대 허우적 끼어들다 성대모사 처넣다 | 으례 켸켸묵다 괴팍하다 허위다 허위적 끼여들다 성대묘사 쳐넣다 | 미루나무 미륵 온달 | 미류(美柳)나무 미력(微力) 왼달 | (X) | (O) | 뉘엇뉘엇 되먹지 않다 게집애/기집애 키다 얼차래 매칠 | 뉘엿뉘엿 돼먹지 않다 계집애 켜다 얼차려 며칠 | | 준이중모음 | | (X) | ㅚ‧ㅟ | | 개나리봇짐 딩굴다 팅기다 방구 뼈다구 뿔따구 아구 | 괴나리봇짐 뒹굴다 튕기다 방귀 뼈다귀 뿔따귀 아귀(餓鬼) | |
|
‘이’ 첨가 (원칙:비표준어) | '이‘ 첨가 (X) | '이‘ 첨가 (O) | (O) | (X) | (O) | | 이유없는 사동접미사의 첨가 | 사동접미사 ‘이’ | 개다 패다 헤매다 설레다 목이 메다 되뇌다 | 개이다 패이다 헤매이다 설레이다 목이 메이다 되뇌이다 | 깃들이다 | ‘ㅣ’모음 역행동화 | 원칙→비표준어 | 원칙→비표준어 | 예외 | 아기 아비 가자미 지푸라기 가랑이 노랑이 아지랑이 어미 건더기 구더기 | 애기 애비 가재미 지푸래기 가랭이 노랭이 아지랭이 에미 건데기 구데기 | ** ‘-내기’ (사람) 서울내기 시골내기 신출내기 풋내기 냄비(외래어) | ‘-장이’(기술자) | 특성(X) | | 미장이 유기장이 칠장이 간판장이 땜장이 양복장이 옹기장이 | 미쟁이 유기쟁이 칠쟁이 간판쟁이 땜쟁이 양복쟁이 옹기쟁이 | | 기술자(X) | | ‘-쟁이’(특성) | 멋장이 소금장이 골목장이 침장이 겁장이 고집장이 때장이 무식장이 담장이덩쿨 | | 멋쟁이 소금쟁이 골목쟁이 침쟁이 겁쟁애 고집쟁이 때쟁이 무식쟁이 담쟁이덩쿨 | 웃 | 윗 | 위 | 위 ⇎ 아래 | 위 ⇔ 아래 | 웃국 웃돈 웃어른 웃기 웃비 웃옷(겉옷) | 예사소리 | 된소리‧거친소리 | 윗넓이 윗눈썹 윗머리 윗당줄 윗덧줄 윗막이 윗바람 윗사랑 윗중방 | 위짝 위쪽 위채 위층 위치마 위턱 위팔 | ‘句’ | 원칙 → 구 | 예외 → 귀 | [한자]+[구(句)] - 거의 대부분 | [구(句)]+[한자(X)] | 구절(句節) 절구(絶句) 경구(警句) 시구(詩句) | 글귀(-句) 귀글(句-) |
|